The Contamination Characteristics of BTEX and TPH Components in Silty Soils with the Oil Leakage Event from Point Source

점오염원 형태의 유류누출 사건에 의한 실트질 토양층에서 BTEX와 TPH 성분의 오염도 연구

  • Kang, Dong-Hwa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Geo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Chung, Sang-Yo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Geo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Go, Dong-Ho (Environmental Geology Team, Korea Rural Community & Agriculture Corporation)
  • 강동환 (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과) ;
  • 정상용 (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과) ;
  • 고동호 (한국농촌공사 환경지질팀)
  • Published : 2006.12.30

Abstract

The contamination characteristics of BTEX and TPH components in silty soils with the oil leakage event from point source were studied. The over ratios of three soil pollution standard for TPH component were $1.5{\sim}1.7$ times higher than that of BTEX component. The mean and maximum values of BTEX and TPH components with sample points were B-zone > A-zone > C-zone, and the highest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at $1{\sim}2m$ depth below surface. BTEX and TPH components were increased with linear distance in zone within 120 m and 80 m from point source. For the zone more than 120 m, BTEX and TPH concentrations were under soil pollution standard. The cutoff values of indicator kriging using BTEX and TPH components were defined as confirmative limit, warn- ing limit and counterplan limit. The variograms of indicator-transformed data were selected linear model. The contamination ranges of BTEX and TPH components using confirmative limit and warning limit were estimated similar, but the contamination range of those using counterplan limit was much reduced. The maximum contamination probabilities were estimated by probability maps usinB confirmative limit, warning limit and counterplan limit. The maximum contamination probabilities with three soil pollution standard were estimated 26%, 26% and 13% for BTEX component, and 44%, 38% and 26% for TPH component.

본 논문에서는 점오염원 형태의 유류누출이 발생되었던 실트질 토양층에서 BTEX와 TPH 성분의 오염특성이 연구되었다. TPH 성분의 토양오염기준별 초과율은 BTEX 성분에 비해 $1.5{\sim}1.7$ 배정도 높았다. BTEX와 TPH 성분의 채취지점별 평균과 최대값은 B-zone>A-zone>C-zone의 순이며, 두 성분 모두 지표면하 $1{\sim}2m$구간에서 오염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오염원에서 수리경사 하부 방향으로 120m와 80m 이내인 지역에서는 BTEX와 TPH 농도가 이격거리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120 m 이상 이격된 지역에서는 토양오염기순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BTEX와 TPH 성분에 대한 지시크리깅의 제한값으로는 토양오염 확인기준, 우려기준 및 대책기준 값이 적용되었다. 지시변환된 자료의 베리오그램 분석에 의하면, BTEX와 TPH성분 모두 선형모델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형모델을 적용한 BTEX와 TPH 성분의 확률도에서 토양오염 확인기준과 우려기준의 오염 범위는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대책기준의 오염 범위는 매우 축소되었다. 토양오염 확인기준, 우려기준 및 대책기준에 의해 작성된 확률도에서 BTEX와 TPH 성분의 최대 오염 확률은 BTEX성분이 26%, 26% 및 13%, TPH 성분은 44%, 38% 및 26%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동환, 정상용, 김병우, 김태형, 2003, Indicator 크리깅을 이용한 부산 지하수 수질의 오염도 연구, 한국지 하수토양환경학회 2003년도 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pp.249-253
  2. 고동호, 2006, 실트질 토양층에서의 BTEX 및 TPH 성분의 토양오염기준별 확률도를 이용한 오염범위추정, 석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84p
  3. 고동호, 정상용, 강동환, 김을영, 2006, 토양층 내 BTEX 및 TPH 성분의 토양오염기준별 오염 확률과 확률도,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6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pp.143-147
  4. 김태형, 정상용, 강동환, 김민철, 서상기, 2004, 지하수 오염 분포도 작성에서 정규크리깅과 지시크리깅 기법의 상호 보완성 연구,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 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pp.477-481
  5. 농업기반공사, 2003, 103 유류중대 지하수오염정화사업 보고서, 165p
  6. 심병완, 정상용, 강동환, 김규범, 박희영, 2000, 영산강.섬진강 유역의 지하수 데이터베이스 자료에 대한 지 구통계학적 분석, 지질공학회지, 10(2), pp.131-142
  7. 이민희, 정상용, 최상일, 강동환, 김민철, 2002, 계면활성 제 원위치 토양 세정법을 이용한 유류 오염 지역 토양.지하수 정화 실증 시험,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지, 7(4), pp.77-86
  8. 이진용, 이철효, 이강근, 2002, 유류오염 지역에서의 토 양증기추출법 및 바이오벤팅의 적용성 평가연구, 지질학회지, 38(1), pp.101-114
  9. 유훈선, 2006, 지구통계기법을 이용한 산업단지 토양층 내 중금속 오염특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98p
  10. 유훈선, 정상용, 강동환, 2005, 크리깅을 이용한 울산미 포산업단지의 토양층 내 중금속성분의 농도분포 및 오염가능성 연구, 2005년 대한지질학회 제 60차 정기 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p.176
  11. 정상용, 강동환, 박희영, 심병완, 2000(a), 부산지역 지하수 오염현황 분석을 위한 지구통계기법의 응용, 대한지질공학회지, 10(3), pp.247-261
  12. 정상용, 심병완, 김규범, 강동환, 박희영, 2000(b), 지구통계기법을 이용한 영산강.섬진강 유역의 지하수 수질 특성 연구, 7(3), pp.125-132
  13. 정상용, 유인걸, 윤명재, 권해우, 허선희, 1999, 불균질.이방성 대수층의 지하수 유동분석에 지구통계기법의 응용, 지질공학회지, 9(2), pp.147-159
  14. 한승호, 공성호, 강정우, 2005, 유류오염 토양/지하수 정 화를 위해 개발된 DSB(Deep-Site Biopile) System 현장적용특성,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 10(2), pp.28-34
  15. Carr, J. R., and Nai-hsien Mao, 1993, A General Form of Probability Kriging for Estimation of the Indicator and Uniform Transforms, Mathematical Geology, 25(4), pp.425-438 https://doi.org/10.1007/BF00894777
  16. Goovaerts, P., 1994, Comparative Performance of IndiIndicator Algorithms for Modeling Conditional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s, Mathematical Geology, 26(3), pp.389-411 https://doi.org/10.1007/BF02089230
  17. Johnson, N. M., and S. J. Dreiss, 1989, Hydrostratigraphic Interpretation Using Indicator Geostatistics, Water Resources Research, 25(12), pp.2501-2510 https://doi.org/10.1029/WR025i012p02501
  18. Journel, A. G., and C. J. Huijbregts, 1978, Mining Geostatistics, Academic Press, 600p
  19. Marinoni, O., 2003, Improving geological models using a combined ordinary-indicator kriging approach, Engineering Geology, 69, pp.37-45 https://doi.org/10.1016/S0013-7952(02)00246-6
  20. Sminchak, J. R., David F. Dominic, and Robert W. Ritzi, Jr., 1996, Indicator Geostatistical Analysis of Sand Interconnections Within a Till, Groundwater, 34(6), pp.1125-1131 https://doi.org/10.1111/j.1745-6584.1996.tb02179.x
  21. Posa, D., and D. Marcotte, 1992, Robustness of Kriging Weights to Non-Bias Conditions, Mathematical Geology, 24(7), pp.759-773 https://doi.org/10.1007/BF00890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