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정위치

Search Result 67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the Effect of Designated Domestic Traffic Separation Scheme(TSS) -Focused on the Marine Casualty & the Marine Traffic Flow- (국내 통항분리수역 설치 효과에 관한 연구 -해양사고 및 해상교통흐름을 중심으로-)

  • Kim, Chol-Seong;Jeong, Jae-Yong;Lee, Ho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7 no.1
    • /
    • pp.61-68
    • /
    • 2011
  • The "ship's routeing" system was adopted by IMO and has been operated on the major sea routes of all over the world for the prevention of marine casualty and the improvement of marine traffic flow. Thereupon, also in Korea, the "Hong-do" and "Bogil-do" sea routes on southern coast were designated to mandatory sea area by traffic separation scheme(TSS) in 2003, and the "Geomun-do" sea route on southern coast was designated in 2005. But there were few or no studies on the effect of designated traffic separation scheme in Korea. For this reason, in this paper, we evaluated the contribution of traffic separation scheme to the prevention of marine casualty and the improvement of marine traffic flow after designation of domestic traffic separation scheme using data of the marine casualties and ship's tracks from AIS information. The results of evaluation showed that on the contrary, the cases of marine casualties were increased on some sea routes and regular traffic flows were disturbed by some vessels after designation of traffic separation scheme. For the safer and better sea routes, alternative ideas such as reposition of ship's routing on "Hong-do" and "Bogil-do" sea areas were suggested.

Map-based location information Application (지도 기반 위치정보 저장 어플리케이션)

  • Oh, Ji-Seon;Lee, Su-Jin;Hyeon, Ga-Young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7.11a
    • /
    • pp.478-479
    • /
    • 2017
  • 위치 정보의 카테고리 지정 및 메모 추가, 어플리케이션 간의 공유 기능을 통해서 보다 빠른 위치 정보 저장,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장소 추천 기능을 포함하는 위치 정보 저장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자 한다.

어항소식

  • 한국어항협회
    • Monthly Newsletter
    • /
    • no.4
    • /
    • pp.1-4
    • /
    • 1988
  • 시설투자 크게 늘려야 - 어항예산늘리고 투자촉진해야할 까닭 - 88어항시설사업전모 - 어항사후관리 철저 - 지정어항위치도

  • PDF

A Study on Semiautomatic Field-based Image Warping and Morphing (반자동 필드 기반 영상 워핑 및 모핑에 관한 연구)

  • 이형진;김형민;곽노윤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232-237
    • /
    • 2004
  • 영상 워핑 및 모핑은 영상 안에서 각 화소들 사이의 공간적인 관계를 재구성하는 영상처리와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이 결합된 분야로서 메쉬 방식과 필드 방식 둥이 대표적이다. 이중에서 필드 방식은 상대적으로 많은 연산량을 요구하는 것에 반해 제어선 설정이 용이하며 설정된 제어선의 위치나 길이의 변화에 대해 비교적 덜 민감하다는 장점이 있다. 필드 방식은 사용자가 제어선을 지정하는 과정의 대부분을 수작업에 의존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양질의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숙련을 요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논문은 소스 영상과 목표 영상에서 워핑 대상체 쌍의 형상 정보를 획득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최소한의 특징점 쌍만을 지정하면 이렇게 지정된 특징점 쌍을 기준 삼아 다각형 기반 정점 탐색에 의해 소스 영상과 목표 영상에 상호 대응되는 제어선들을 자동적으로 설정한 후, 제어선 길이의 비율과 제어선으로부터의 이격 거리를 이용하여 영상 워핑과 모핑을 수행함으로써 영상 워핑 및 모핑의 반자동화를 실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어선을 설정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비숙련자도 최소의 제어선만을 지정하여 자연스러운 워핑 및 모핑의 결과를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 PDF

미래전 양상과 정보화 군 방향

  • Lee, Ho-Seung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1 s.227
    • /
    • pp.24-35
    • /
    • 1998
  • 21세기 미래전 양상은 기존의 전투 행태에서 디지탈 전투 가 추가된 양상으로 수행하고 선견.선결.선행 개념으로 수행될 것이다. 우리 한반도는 강대국들의 틈바구니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지정학적 위치에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전략은 이스라엘이나 일본처럼 기술집약적 정보군 개념의 군사력 건설만이 이를 가능케 할 것이다.

  • PDF

Restoration of Distorted Document Image Due to Depth Variation by Using Structured Light (Structured light를 이용한 깊이 차이에 문자 왜곡 교정)

  • Heo, Hoon;Chae, Ok-S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487-489
    • /
    • 2001
  • 제본된 책이나 고문서를 디자타이즈할 때 책을 바르게 펴지 못하거나 지정된 위치나 방위로 위치시키지 못해서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힘을 가할 수 없는 고문서의 경우에는 바르게 펼수가 없기 때문에 깊이 차이에 의한 문서의 왜곡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Structured Light을 이용하여 깊이 차에 의한 문자의 왜곡을 복원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입력시 책의 위치와 방위에 대한 제한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책의 위치와 방위 변화에 적을 알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 PDF

Switching Positionality of Border Region as Exceptional Space (예외 공간으로서 접경지역의 위치성 전환)

  • Kim, Boo-Heon;Lee, Sung-Cheol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0 no.3
    • /
    • pp.267-286
    • /
    • 2017
  •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spatiality of North Korea and China border regions through investigating the excep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s with the concept of positionality, which allows us to realize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subject and object. Border regions could be identified appropriately by considering the concept of switching positionality, as it is a kind of multiple space in which its sudden closure and opening should be configured in accordance with geopolitical and geoeconomic changes centering around border line. The main arguments of this research concerned with border regions with the concept of switching positionality are fallen into three. Firstly, changes in border regions should be analyzed by investigating more broader contexts and conjunctural perspectives, and even an internal condition stemmed from locality. Secondly, trajectories of border regions could be analyzed by the assemblages of various powers. Finally, the positionality of economic actors should be examined by identifying dynamic relations between geoeconomics and geopolitics.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positionality has led to a number of insights into discussions on time-space, and spatiality in relational-dialectical, socio-spatial, and power-topological perspectives. Based upon this concept of positionality, the research has identified exceptional characteristics in North Korea and China border regions. It argues that the exceptionality of the region has stemmed from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unstability of geopolitical security and various geoeconomic benefits.

Building a Web-Based Undesignated Cultural Heritage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 A Case Study of the Namsan Area in Kyeongju - (웹을 이용한 비지정 문화재 관리 시스템 구축 - 경주 남산 지역을 중심으로 -)

  • Jo, Myung-Hee;Jang, Sung-Hyun;Kim, Hyoung-Sub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5 no.4
    • /
    • pp.151-16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uild a web-server for culture heritage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in order to efficiently manage and safely preserve un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in the Namsan area in Kyeongju, which have been neglected so far.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on the basis of un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in the study area. To acquire the location and range GPS were used and spatial data including geographic coordinates, visual materials and 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ough field survey. In addition, in order to obtained reliable and accurate locations of un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which are scattered,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were used. The spatial database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standard of cultural properties and attribute data was linked to geo-spatial information(digital map and aerial photographs). This system was built in a web-server environment. The result shows detailed description on the selected output for selected location and property information can be located on the map. In particular, a database to search for the status and modification of cultural properties will provide information to the users.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ulture Guide Application (문화재 가이드 애플리케이션 설계 및 구현)

  • Lee, Won Joo;Jo, Seok-Hee;Shin, Eun-Bi;Jung, Jin-Goo;Jeon, Se-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91-92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Android 앱 기반의 새로운 문화재 관광 가이드 서비스를 제안한다. 본 서비스는 Google Map API와 문화재청에서 제공하는 전국 지정문화재 현황 API를 활용하여 문화재의 위치와 음성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한다. 먼저 자신의 위치를 기반으로 주변의 문화재를 지도에 마커를 통하여 표시 해준다. 이는 위치 검색을 통하여 위치를 지정하여서도 가능하다. 마커가 표시된 문화재에 NFC태그를 설치하여 태그를 할 때 음성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마커가 표시된 문화재의 정보를 리스트로 나타내어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서비스를 통해 기존 여행 가이드를 통해 제공받던 서비스를 무료로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더 많은 문화 관광이 활성화 될 수 있다.

  • PDF

Script-based goal directed animation system (스크립트기반 목표지향적 애니메이션 시스템)

  • Moon, Sung-Kwang;Cho, Jung-Hee;Jung, Moon-Ryul;Paik, Doo-Wo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2 no.2
    • /
    • pp.45-52
    • /
    • 1996
  • 키프레임 방식의 3차원 애니메이션 시스템은 애니메이터가 관절을 가진 복합물체에 대해 주요 장면의 각 관절각을 지정하면 애니메이션 시스템이 보간을 이용하여 중간 동작을 생성한다. 이 경우 애니메이션 생성 작업이 애니메이터의 기술에 전적으로 의존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은 애니메이터가 몸의 주요 부위의 목표 위치나 목표 방향만 지정하면 중간동작을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스크립트 기반의 목표지향적 애니메이션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