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정기준

Search Result 72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Fundamental Research for Regulation Criteria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of Light House Heritage (등대문화유산의 문화재등록기준안 마련을 위한 기초연구)

  • Kwon, Ki-Hyuk;Shin, Dae-Woong;Park, Byung-Tae;Yu, Hye-R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422-423
    • /
    • 2013
  • This study is a fundamental research for light house heritage which has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to be designated as cultural heritage. Therefore, the institution of designated and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are to be reviewed and proper standards of choosing suitable light house heritage are to be arranged. Some elements to be considered for the proper regulation criteria are authenticity of cultural assets, assesment base and guideline of conservation and management.

  • PDF

돋보기 / 전문업체 선정 투명하고 공정해야

  • Korea Database Promotion Center
    • Digital Contents
    • /
    • no.9 s.100
    • /
    • pp.84-85
    • /
    • 2001
  • 정보보호전문업체의 지정심사에 관한 고시에서는 시행규칙의 위임을 받아 제출서류의 서식, 업무수행능력심사의 세부평가기준, 정보보호관리규정의 주요내용 등 정보보호전문업체의 지정심사에 필요한 세부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the Solution of School Zone Problems (어린이 보호구역의 문제점 및 대책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남구를 중심으로 -)

  • 신동철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312-322
    • /
    • 1998
  • 본 논문은 학교 권역의 도로 및 교통요건을 조사하여 어린이 보호구역의 지정 및 관리기준의 적용 실태와 문제점 등을 분서하며, 어린이 보호구역의 조성기준을 적정화하고 체계적인 대책을 수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어린이 보호구역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어린이 보호구역이 지정·관리기준 및 외국의 School Zone 사례를 살펴보았다. 현재 어린이 보호구역으로 지정·관리되고 있는 광주시 남구의 14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어린이 보호구역별 도로 및 교통현황과 함께 적용되고 있는 어린이 보호구역의 지정 범위 및 교통규제, 중요안전 시설물의 설치현황 등을 조사하였다. 또 연도주민의 설문을 통해 보행의 안전성과 교통사고의 위험성 등을 조사·분석하였다. 그 결과 12m 이하의 이면도로가 전체대상 통학로의 64.6%에 해당되며, 2차로 이상의 도로는 35.4%로서 이면도로에 접하는 초등학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교통규제방안으로 시행되고 잇는 것은 8개 초등학교의 시차별 주차규제와 4개 초등학교의 총 10개의 과속방지턱이 설치되어 있을 뿐이다. 또한 설문을 통해 보행환경의 위험성을 분석한 결과 차량의 속도와 주차차량에 의한 통행 방해나 사고위험을 가장 많이 인식함에 따라 그에 따른 안전시설의 추가 설치가 뒤따라야 하겠다. 이러한 어린이 보호구역에서의 어린이나 보행자의 안전성과 쾌적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안전시설의 설치에 따른 유지 및 관리가 중요하다.

  • PDF

A Comparison on the Designation Tendency and Characteristics of Scenic Site in Korea and Japan (한일 명승지정 추이 및 특성에 관한 비교)

  • Kim, d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47-148
    • /
    • 2017
  •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명승 지정 관련 정책을 비교분석한 결과, 한국과 일본은 법령의 제정 및 지정기준 측면에서 유사성을 지니고 있으나, 문화재보호법 제정이후 독자적인 명승정책의 시행이 이루어져 왔다. 일본은 정원을 중심으로 하는 인문명승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한국은 자연명승 중심에서 역사문화명승과 자연명승이 유사한 비율을 보이는 형태로 변화하였다.

  • PDF

New Methodology about the Criteria for Appointing School Zones (어린이보호구역 지정 기준의 방법론 제시에 관한 연구)

  • Kim, Yo-Sep;Park, Je-Jin;Park, Kwang-Won;Park, Seong-Yong;Kim, Jeong-H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6 no.5
    • /
    • pp.29-40
    • /
    • 2008
  • Police agency is indicated that the number of children's traffic accident is tending downwards, however about one child is dead every day due to traffic accident. Major parts of the accidents happen during walking; among the rest, jaywalking is the biggest reason. Many accidents take plate on the road to school or near the home so government legislate children safeguard zone at 1995. According to the legislation, drivers have to reduce speed and there are safety facilities for children at children safeguard zone. This study finds the problems of children safeguard zone and suggest more effective and quantitative method for children safeguard zone. Firstly this study grasps the characters of children's pattern movement and children's traffic accident at children safeguard zone and then divides specific danger factors of children's traffic accident at children safeguard zone. Secondly, each factor is given danger level depending on danger degree and suggests effective method for assignment standard of children safeguard zone using all of these things.

Development of River Zone Automatic Determination Technique by Grid-based Design Flood Level Influence Area (계획홍수위 영향범위 자동결정을 통한 정밀 하천구역 설정기법 개발)

  • Lim, Dong Hwa;Lee, Choon Ho;Shin, Hee Jae;Sim, Gyoo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12-312
    • /
    • 2022
  • 우리나라는 하천법 및 소하천정비법에 의거하여 하천기본계획 수립 또는 하천의 지정 및 변경고시 시 하천구역을 지정하고 있다. 하천구역은 일반적으로 제방부지 및 제방하심측 토지경계를 기준으로 지정하나, 제방이 존재하지 않는 무제부 구간의 경우 명확한 제방경계가 없는관계로 하천법 제 10조 3항에서 5항까지 별도의 기준을 통해 하천구역 지정을 권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천구역 설정 시 기준으로 삼는 횡단측점 자료의 경우 그 특성상 하천의 종단방향으로 불연속적인 특징을 갖고 있어 평면상 정확한 경계의 파악이 어려우며, 도로·철도 등 선형시설경계를 하천구역으로 설정 시 편입용지의 보상기준이 모호하여 다량의 민원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정비 시 기본계획이 수립되어 각 횡단측점별 결정된 계획홍수위를 기반으로 인접 지형의 홍수위 영향범위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하천구역을 정밀하게 결정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정립하고자 한다. 첫째로, 하천중심선의 각 측점의 위치정보와 하천의 지형을 위상정보체계로 구성하여 DB를 구축하였다. 둘째로, 측선과 측선사이 절점에 계획홍수위를 선형보간하여 부여하고 이를 지형도의 최단거리에 위치한 지형의 격자표고와 비교해 침수여부를 판단한다. 셋째, 최단거리 지형격자가 침수로 판단될 시 인접한 8개 지형격자의 지형표고와 홍수위를 비교하여 반복적으로 위 과정 수행을 통해 계획홍수위 기반 침수범위를 추출한다. 마지막으로, 이를 수치지형도에 중첩시켜 최종 정밀 하천구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산정된 정밀한 하천구역 경계설정을 통해 하천 내사유지 편입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명확한 하천구역 구획기준을 정립하여 토지소유주와 담당부처 간 논의 시 기반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하천구역의 신속하고 정확한 구역설정을 통해 하천인근의 토지이용 고도화 및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Management Status of Disaster Prevention District in Urban Area (도시지역 내 방재지구 관리실태에 관한 연구)

  • Jeong, Woo-Cheol;Kim, T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81-282
    • /
    • 2022
  • 본 연구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규정된 방재지구에 대하여 관련 연구 자료 및 통계를 통한 지구지정 현황과 운영제도의 문제를 검토한다. 건축물·인구밀도가 밀집된 지역으로서 시설 개선 등을 통하여 도시지역 내의 재해예방을 위해 지정이 필요한 시가지방재지구는 방재지구지정 의무화제도가 도입된 이후 서울시 등 여러 곳에서 지정되었으나 대부분 폐지되었고, 현재는 전국에서 전라남도에 5개 지구가 지정되어 있다. 지구지정 감소의 원인은 방재지구의 지정 및 관리제도가 현실적이지 못한데 기인한다. 시가지방재지구는 면적에 비해 인구가 밀집된 도시지역의 재해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재계획이며, 활성화를 위하여 지원방안 및 인센티브가 포함된 구체적인 관리 운영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 PDF

The Designation Criteria and Types of Natural Monument Plants in Different Countries (천연기념물(식물)의 유형 및 지정기준 변화에 대한 비교 고찰)

  • Son, Ji-Won;Shin, Jin-Ho;Ji, Yun-Ui;Lee, Na-Ra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0 no.2
    • /
    • pp.26-39
    • /
    • 2017
  • Natural monument system was originally developed as an environmental movement and introduced in Korea during Japanese Colonization. Korea, Japan and Germany are the countries that have the natural monument systems. They are controlled by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in Korea and Japan but by the law of the protection of natural environment in Germany. For that reason the progress of the law and policy directions are similar between Japan and Korea. The natural monument system of Korea has been in use since 1930s, but the values and conditions of natural monument systems have changed over time. In terms of contents, these days cultural identity involved are getting more important than the natural scenic and ecological values, or rarity of plants. Also it's a trend to expand the preserved area around cultural properties which have been preserved on individual basis before. Finally it is necessary to discover and manage the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as potential 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by creating the registration standard for natural heritage.

A Study on the Valuation Standards for the Korea Agricultural Heritage (한국 농어업유산의 가치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 Beak, Seung-Seok;Moon, Young-Suk;Jung, Ki-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4 no.4
    • /
    • pp.110-118
    • /
    • 2016
  • The United Nation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has established the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e Heritage Site in 2002, designating the Agricultural Heritages with global value, and carries forward conservation and management. In Korea, the Agricultural Heritage system was adopted to conserve and manage the valuable resources of agricultural space in 2012. Although, the interest in the Agricultural Heritage has been developed, the valuation standards for unique value of the Korea Agricultural Heritage has not been yet established, so discovery and designation of the Agricultural Heritage are at a standstill. Meanwhile, a study from the conceptual viewpoint of the Agricultural Heritage, resources investigation for discovery of the Agricultural Heritage, index development, and a study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methods through sightseeing are focused, and a study for the valuation standards about the Korea Agricultural Heritage are not focused. Therefore, the study has analyzed a value of the Korea Agricultural Heritage, and suggested the standards of evaluation a value of the Agricultural Heritage rightly. This study suggested the valuation standards of the Korea Agricultural Heritage used in discovery and designation of the Agricultural Heritage, so prepared a base to conduct the valu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ricultural Heritage. Such standards will contribute to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Agricultural Heritage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