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 활성화 계획

Search Result 40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일본의 지역 상권 활성화 정책 - TMO를 중심으로 -

  • Baek, I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11a
    • /
    • pp.417-442
    • /
    • 2005
  • 일본은 최근 몇 년 동안에는 기존의 대규모점포법을 폐지하고 마찌쭈쿠리(마을 조성) 3법을 제정하여 지역 상권 및 경제 활성화에 대한 지원을 추진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에서 중심 시가지 활성화 시책의 효과가 가시적으로 나타나고 있지는 않으나, 향후 고령화 사회가 가속화함에 따라 컴팩트한 중심시가지를 활성화하는 것은 지역 경제 활성화에 필수불가결한 정책으로 인식되고 있다 .일본은 기존의 지원 방식이 무차별적이었다는 진단에 따라 지자체의 계획에 대해 우선 순위를 정하고 선택과 집중 원리를 적용할 계획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중소유통업에 대한 지원정책은 재래시장에 대한 지원 방식 위주로 진행되어 왔으나, 향후 지역 상권 활성화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Priority Projects for Urban Regeneration (도시재생사업의 모니터링 및 평가방안 연구: 선도지역을 사례로)

  • Kim, Ryoon-Hee;Lee, Jong-Gun;Lee, Sam-Su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6 no.1
    • /
    • pp.1-9
    • /
    • 2015
  • This study is significant by suggesting the plan of urban regeneration strategy, selection of vitalization area and build basic DB for establishing a plan of urban regeneration vitalization and draw measures to evaluate and monitor as urban regeneration project is promoted in earnest. For the process of study, basic DB and evaluation monitoring index were examined based on collaboration proposal of 13 leading areas and (the agenda of) the plan of urban regeneration vitalization in 4 areas(Seoul, Changwon, Busan, Yeongju). This study can be concluded as follows; First, general information system which can support regeneration strategy vitalization plans for smooth promotion of the project and manage regeneration vitalization project and all kinds of city maintenance projects systematically are necessary. Second, monitoring of regeneration project should be firstly institutionalized. thrid, it's necessary to secure that city or county foundational management plan and the relations during the establishment of strategic vitalization plan. Finally, it's necessary to introduce and evaluate modularized plan suitable for Bottom-up regeneration project.

A Study on the Demand Zone of Housing for New Town: Focused on Seoul Metropolitan Area (택지개발지구의 주택 수요권역 실증 연구: 수도권을 중심으로)

  • Kim, Jong-Lim;Cho, Han-Jin;So, Soon-Woo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6 no.3
    • /
    • pp.107-115
    • /
    • 2015
  • Recently one of interest concern in domestic housing market is to reduce the difference of supply and demand. Exact demand estimation by accurate demand region is a essential cue to reduce the gap. This empirical study compared the data of housing subscriber's real address with estimated demand area on household movement, which are applied by advanced studies. This empirical case data is related to 3 housing development districts in metropolitan area.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the real demand area has a more widened coverage compared with those of household movement one. For to establish exact demand area, we found, more complementary considerations should be taken. Especially some factors such as distance between a project site and downtown of Seoul Metropolitan City, locational competitiveness on main demand and behind demand, and development scale are more considerable variables. In additionally, we found the demand areas are influenced by housing rental types, sizes and the real estate business trends. And also, this study found thos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with housing price and locational competitiveness.

법령과 고시 - "서울특별시 지역건설산업 활성화에 관한 조례" 개정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75
    • /
    • pp.46-47
    • /
    • 2013
  • 서울특별시는 지난 5월 16일 "서울특별시 지역건설산업 활성화에 관한 조례"를 개정 공포했다. 서울특별시는 사업의 기본계획 단계에서 분할발주 여부를 검토 시행하고, 활성화 추진 목표 달성 현황을 매 반기별로 건설위원회에 보고토록 제도화함으로써 지역중소건설업체의 분할발주 활성화에 물꼬를 텄다. 주요 개정내용으로는 지역 중소건설업자의 공사참여 기회를 보장하기 위하여 분할 발주 가능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예산편성과 기본설계 등 사업의 계획단계부터 검토 시행토록(제6조제2항, 신설) 했으며, 매년 반기별로 활성화계획의 추진 목표 달성 현황을 보고하되 정성적인 부분과 정량적인 부분을 모두 보고토록(제4조제6항, 신설) 한 것이다. 이번 조례 개정으로 서울특별시는 "공사의 성격상 공종을 분리하여도 하자책임 구분이 용이하고 품질 및 안전관리에 지장이 없는 기계설비공사 등에 대해 분리발주를 적극 적용함으로써 지역 중소전문건설업체의 권익을 도모하는 한편 타 시 도의 표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PDF

A Study on District Respectable Public Parking Planning for Urban Revitalization -Comparison of Santa Barbara Public Parking System- (도심활성화를 위한 용도별 지역연계 공영주차장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산타바바라시의 공영주차장 비교를 중심으로-)

  • Oh, Joon-Gu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3
    • /
    • pp.684-691
    • /
    • 2016
  • This study defines three types of public parking for commercial business, cultural tours, sales and market areas. We compared the Santa Barbara parking system with Korean examples for use in urban revitalization with a proper planning strategy based on district-specific public park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layout and location of public parking entrances need to consider the urban grid and linkages. 2. Public parking should place emphasis on respecting a district's character and user convenience. 3. The success of public parking extends to revitalization of pedestrian paths at target areas.

지역산업진흥과 지역기술지도와의 연계

  • Lee, Gyeong-Mi
    •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 /
    • 2005.06a
    • /
    • pp.33-45
    • /
    • 2005
  • 현재 지역산업진흥계획이 수립되기까지 수도권 억제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 및 법령들이 수립${\sim}$제정되어 왔으나, 그 성과는 미흡하였고, 첨단산업과 지역의 발전을 함께 추구한 과학기술 집적지 조성정책도 연구기관과 산업체간의 기술개발에 대한 수급의 불일치, 지역별 특성화와 차별화 미흡, 사업간 연계성 부족 등으로 성과는 미약하였다. 중앙 부처에서 다양한 지역산업 관련 기술개발 지원사업도 전개해 왔으나, 부처별로 독자적으로 사업을 추진하여, 정책 상호간의 연계성이 부족하고 투자 효율성이 저조하여, 산업자원부에서 산업발전법에 근거하여 2002년 '지역산업진흥계획'을 수립하였다. 이 계획은 지역별 전략산업을 중심으로 한 지역혁신체제 구축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지역의 내생적 성장을 위한 네트워크 형성, 투입요소 증대에서 지역 산업경쟁력 강화로의 전환,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공동 계획입안 등에서 기존의 정책들과 차이를 보인다. 지역산업정책의 최종목표는 '지역균형발전'이며, 중간목표는 '지역산업의 활성화'라고 할 수 있다. '지역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기본전략으로 '3개 권역별 전략산업 집중 육성'과 '제도적 기반 구축'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기본전략은 매우 포괄적이어서 정책수단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본전략 하에 추진하고자하는 사업들을 검토하고 평가의 목적에 맞게 유형화함으로써 동지역균형발전과 지역경쟁력의 강화이며, 그 기본전략으로는 지자체의 역할제고를 바탕으로 한 전략산업 중심의 지역혁신체제(Regional Innovation System : RIS) 구축을 제안하고 있다. 지역 내에서는 각 조직 간의 역할분담이나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인력과 재원 및 특정분야에 대한 중복투자 문제가 지적되고 있으며 각각 소규모여서 규모의 경제효과를 꾀할 수 없고 경제적 효과가 가시화되는 데에는 오랜 시일이 걸리고 있고, 지역의 산업발전을 체계적으로 기획하고 지역내 다양한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총괄 추진기구가 없어 효율적인 지역산업육성에 한계가 있었다. 지방정부의 과학기술예산 및 전담조직, 산업경제예산 및 전담 조직의 부족과 미 정착으로 독자적인 지역과학기술정책이나 지역산업정책은 물론이고 지역혁신정책을 수행하기 어려웠으나, 지역의 특성과 잠재력에 맞는 사업을 발굴하여 중앙정부에 건의하고 지역 내 각 프로젝트를 총괄 조정하는 중개자 역할을 지역전략산업기획단이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지역혁신체제의 중심기관으로 중개기관과 협력 프로그램에 의한 플랫폼 구축 및 지역산업발전의 기획${\sim}$조정기구로서, 선진국의 지역발전기구(Regional Development Agency : RDA)인 지역전략산업기획단이 2002년도부터 산업자원부와 9개 시도에 의해 설립되어 지역네트워크의 활성화와 클러스터의 형성 촉진을 하게 되었고 2004년도에는 13개시도로 확대${\sim}$운영되고 있고, 지역특화사업(H/W)과 지역산업기술개발과제(S/W)와 함께 패케지 형태로 지원되며, 주요역할은 크게 지역산업의 정책기획 분야와 평가관리, 지역혁신역량 조사 및 DB구축 등으로 구분된다. 그중에서도 권역별, 지역별, 지역산업진흥사업 육성과 중장기 산업발전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지역혁신역량을 바탕으로 한 지역 Technology Road Map(TRM)작성사업은 전국공통의 1단계 사업으로 실시 ?榮쨉?, 2005년 3월 기준으로 9개 지역(강원, 대전, 충남, 충북, 경북, 울산, 전남, 전북, 제주) 26개 산업분야를 대상으로 23개가 완료된 상황이다. 이를 근거로 한 지역정책과 R&D 과제 및 필요 인프라의 도출이 체계적으로 구축되어 지역산업 발전을 위한 기술역량이 강화될 것이다.

  • PDF

Evaluating Local Economic Development Policy and Suggesting Some Policy Alternatives: the Case of Goryeong County, Korea (고령군의 지역경제 실태와 정책 과제)

  • Lee, Jong-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4 no.6
    • /
    • pp.664-679
    • /
    • 2008
  • This paper attempts to evaluate the local economy and the local economic development policy in Goryeong County and to propose some policy alternatives for local economic development. Goryeong County has a locational advantage, which is not just geographically proximate to Daegu, a large metropolis, but also connected directly to the national highway networks. This region can also be regarded as a rural area, in a sense that the primary industry still plays a more important role for the local economy than the secondary industry and the tertiary industry. However, it is problematic that the local economic development strategies of Goryeong are universal rather than strategic and systematic. In order to design an effective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policy, the policy makers are necessary to deliberately consider regional specificity and geo-political and geo-economic situations around the region.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say that policy makers, particularly in rural regions, need to break from the fantasy of high-tech industries. In this context, I propose some region-specific and context-specific policy ideas, including the promotion of the agro-food cluster and the build-up of the em-industrial complexes specialized in mechatronics and transportation equipment manufacturing.

  • PDF

A Study on the Effect Analysis Which the Activation Plan by Ttransferring Government Building Reaches in the Neighboring Area (공공청사 이전에 따른 활성화 방안이 주변지역에 미치는 영향분석에 관한 연구)

  • Kim, Jong Gu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9 no.2D
    • /
    • pp.275-286
    • /
    • 2009
  • As a government building transferred to the outskirts of a city, it's easy to foresee a doughnut effect from advancement process of the city. In the case of Busan city comparing different cities a doughnut effect is being advanced seriously. To the access method for a city center activation the possibility which there will be a various branch, but in this research we analyzed factors of the stagnation in the public Government building neighboring area. And then made a proposal for the city activation plan by transferring the public Government building, analyze influence to surrounding areas using factor analysis. Hence,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plan for the activation of existig city and evaluates it which is presented consequently. In the case of Dongrae government office, a problem of the neighboring area and condition of present were surveyed and causes of the stagnation in existing city analyzed. Consequently the important five factors were extracted as follows; 1) historical and the cultural factor, 2) factor of creating the special street, 3) urban planning factor, 4) factor of transferring government office.

Weights of Attributes in Creating Transit Malls (대중교통전용지구의 조성목적에 따른 계획요소별 중요도 평가)

  • Park, Jong-Il;Chang, Justin S.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2 no.2
    • /
    • pp.130-138
    • /
    • 2014
  • This paper assessed the weights of attributes in creating transit malls. The aim of the creation was classified as travel demand management and urban revitalization. The attributes were grouped into four aspects, or 4As: attraction, amenity, accessibility, and activity. These dimensions represented land-use, urban design, transport, and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respectively.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was applied to explore the weights. Accessibility(52.7%), attraction(25.6%), amenity(13.7%), and activity(8.0%) were the order of magnitude in weights for the purpose of travel demand management, while attraction(36.1%), accessibility(30.6%), amenity(17.7%), and activity(15.6%) were that of urban revitalization. The multi criteria analysis also showed different size of weights in the sub planning attribut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imin implementingtransit malls should be differentiated and highlight that the combined land-use and transport plan is essential for the successful development. Car accessibility and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are also understood as the important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