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804/LHIJ.2015.6.3.107

A Study on the Demand Zone of Housing for New Town: Focused on Seoul Metropolitan Area  

Kim, Jong-Lim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Cho, Han-Jin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So, Soon-Woo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Publication Information
Land and Housing Review / v.6, no.3, 2015 , pp. 107-11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Recently one of interest concern in domestic housing market is to reduce the difference of supply and demand. Exact demand estimation by accurate demand region is a essential cue to reduce the gap. This empirical study compared the data of housing subscriber's real address with estimated demand area on household movement, which are applied by advanced studies. This empirical case data is related to 3 housing development districts in metropolitan area.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the real demand area has a more widened coverage compared with those of household movement one. For to establish exact demand area, we found, more complementary considerations should be taken. Especially some factors such as distance between a project site and downtown of Seoul Metropolitan City, locational competitiveness on main demand and behind demand, and development scale are more considerable variables. In additionally, we found the demand areas are influenced by housing rental types, sizes and the real estate business trends. And also, this study found thos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with housing price and locational competitiveness.
Keywords
Demand Area; Metropolitan Area; Land Development District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민정(2005), 지역적 특성과 도시기반시설이 사회계층별 주거입지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상균(2001), 고용접근성과 녹지접근성을 고려한 잠재력 모형의 주거입지 수요 추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박천규 등(2013), 지역 부동산시장의 미시적 동태분석과 정책시뮬레이션 모형 구축 연구(I) : 주택시장을 중심으로 문제 진단과 분석기반 구축, 국토연구원.
4 박천규, 김태환, 전성애, 김영미, 전성제(2014), "주택시장의 미시적 동태분석을 위한 기반구축: 주택시장권역 구분과 활용방안", 국토정책 Brief, 454.
5 배순석(2001), "수도권 신도시개발의 인구유입 효과", 주택연구, 9(1): 5-26.
6 이민호(2011), 택지개발사업의 외부인구유입률 결정요인 연구: 수도권 택지개발사업지구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이상일, 김감영, 제갈영(2012), "지오커퓨테이션 접근에 의한 주택시장지역의 설정: 우리나라 수도권에의 적용",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5(3): 59-75.
8 이승후, 장희순(2006), "CST분석을 통한 주택분양시장의 권역 설정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연구, 12(1): 165-179.
9 이외희(2001), 택지개발사업지 유입인구의 유출지 및 이동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10 이외희, 이지은(2007), 수도권 2기 신도시지역의 인구유입특성에 관한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11 이춘호(2001), "수도권 신도시 거주자 주거만족도 비교 분석", 국토계획, 36(6): 191-204.
12 최기헌, 백민석, 이상엽(2012), "주택수요권역의 거리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20(4): 157-187.
13 최은영, 조대헌(2005), "서울시 내부 인구이도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1(2): 169-186.
14 하성규(2010), 주택정책론, 박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