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 수집종

Search Result 361,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Growth, Vitamin C, and Mineral Contents of Sedum sarmentosum in Soil and Hydroponic Cultivation (토경 및 수경재배에서 돌나물의 생육, 비타민 C와 무기성분 함량 변이)

  • Lee, Seung-Yeob;Kim, Hyo-Jin;Bae, Jong-Hyang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
    • v.29 no.3
    • /
    • pp.195-200
    • /
    • 2011
  • The growth, yield and quality of Sedum sarmentosum between soil and hydroponic cultivation were compared to produce high-quality shoots in summer season. The plants were collected from four places in Korea and cultivated in a plastic film house with 50% shading. A 1:1:1 mixtures of sand, upland soil and substrate (N-P-K: 330-220-400 $mg{\cdot}L^{-1}$) was used for soil cultivation, and a nutrient film technique (NFT) with Yamazaki-lettuce nutrient solution used for hydroponics. After 30 days of cultivation, plant height ranged from 18.4 to 21.8 cm a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oil and hydroponic cultivation. Number of shoot, leaf length, leaf width, number of leaf, fresh weight, and dry weight significantly increased in hydroponics compared to those in soil cultivation. Fresh and dry weights in hydroponics were greater in 'Gunsan' and 'Wando' collections than those in other collections. Stem diameter and compression-force significantly increased in soil cultivation rather than hydroponic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ollection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hoot bitterness and vitamin C content between cultivation methods or among the collections. Most mineral contents except Fe in hydroponics were higher than those in soil cultivation. K, Na, Zn contents in hydroponics were over 2 times higher than those in soil cultivation.

management and exploitation of ecological data in lakes and rivers (수생태계의 데이터수집과 활용)

  • KIM, Bom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7.08a
    • /
    • pp.103-103
    • /
    • 2017
  • 생태학 분야에서는 생물의 분포, 변동, 서식환경요인의 변화, 등의 여러 종류의 데이터들이 수집되고 있는데 데이터의 형태가 다양하여 데이터의 관리와 활용형태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근래에 들어 각 종 측정기기들이 개발되면서 생태조사 분야에서도 데이터의 양이 급증하는 시점에 있다. 수생태계 분야에서도 전통적인 생물상조사의 데이터는 크게 증가하지 않고 있지만 자동측정센서가 개발된 항목의 경우에는 데이터가 급증하는 단계에 있다. 수생태계에서 흔히 조사되는 플랑크톤의 군집구조 자료를 보면 하나의 조사대상 시료에서 출현하는 종의 수가 50 종정도에 이르며 각 개체의 종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있으므로 종조성조사는 아직 자동화가 어렵다. 그러므로 플랑크톤 자료의 특성은 조사의 시료수(case)는 적고 측정항목(변수 variable)이 많은 특성을 가진다. 반면에 센서가 개발된 수질과 관련된 항목들은 자동측정설비가 확대되고 있어 변수는 적지만 장기간의 time series 들이 수집되고 있다. 녹조현상이 관심을 끌면서 여러 곳에 식물플랑크톤의 양을 측정하는 chlorophyll 센서가 설치되고 있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그 외에 정량화되지 못하는 정성적 자료들도 수집되고 있으며 자료수집방법의 표준화도 미흡한 예가 많이 있고, 자료의 형태가 다양하여 데이터의 관리와 활용을 어렵게 한다. 환경부는 전국의 주요 하천 지점에서 정기적으로 수질을 측정하여 공개하고 있으며, 일부 지점에는 자동수질측정시설을 설치하여 측정의 빈도를 높이고 있다. 하천이나 호수에서 센서를 이용한 고빈도 모니터링은 그 동안 인지하지 못하였던 단기적 생태계 변화에 대해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여 연구의 장르를 넓혀 가고 있다. 도시하천에서 산소를 측정한 사례를 보면 강우 시에 일시적으로 산소가 고갈되는 현상이 관찰되며, 부영양한 호수와 하천에서는 주야간 산소의 급격한 변동이 생태계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식물플랑크톤 센서의 연구에 의해 단기적인 변동이 크게 나타나고 있음이 새로이 밝혀지기도 하였다. 데이터의 수집과 활용도를 높이려는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과거에는 개인단위로 이루어지던 연구가 이제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공유하는 플랫폼이 만들어 지면서 공동연구가 확대되고 있고, 국제적으로 지역을 초월하는 공동연구도 가능하게 되었다. 국제호수관측망학회(Global Lake Ecological Observatory Network, GLEON)이 그 사례이며 세계 여러 나라의 학자들이 참여하여 국제적으로 데이터를 공유하고 공동연구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생태계데이터의 증가는 생태학자들의 연구역량을 초과하는 데이터의 관리와 활용의 능력을 요구할 것이며 환경 생태 IT 분야의 융합연구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그간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는 일부 성과가 있었으나 아직 수집된 데이터의 활용도를 높이고 타분야와의 협력연구 시너지를 확대하려는 노력은 부족하다. 이제는 데이터의 수집과 저장뿐 아니라 데이터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학제적 협력연구를 촉진하는 off-line 모임도 확대할 때이다.

  • PDF

Shoot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Selected Individuals in Japanese Angelica (Aralia elata (Miq.) Seem.) (두릅나무 선발개체의 새순 특성 및 생리 활성 분석)

  • Jiae Seo;Hanna Shin;Jeong Ho Song;Mun Seop Kim;Young Ki Kim;Jin-Tae L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56-56
    • /
    • 2020
  • 봄철 새순을 식용하는 두릅나무는 기능성 건강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어, 생리활성이 뛰어난 고품질의 두릅나무 신품종을 개발하여 고부가가치 창출 및 상업적 용도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두릅나무 선발개체,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지역종 및 일본품종 등 총 46개체의 새순 특성을 조사하고, 이들 중 새순 특성이 우수한 25개체의 항산화, 항노화, 미백저해 활성 및 항염증 활성 등 생리활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새순 특성을 조사한 결과, 「임산물표준규격」에 따른 등급 구분에서 46개 수집 개체 중 13개 개체가 '특'품에, 22개체는 '상'품에 해당하였다. 특히, 원주에서 선발한 개체들은 새순 굵기가 2.2±0.2cm, 새순 1개의 무게가 49.5±7.6g으로 지역종 및 일본 품종과 비교했을 때 새순 특성이 2~3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리활성 분석결과 항노화 활성, 미백 저해 활성 및 항염증 활성은 선발개체가 일본품종과 지역종에 비해 우수한 반면 항산화 활성은 낮게 나타났다. 생리 활성이 우수한 선발개체의 일반성분 함량은 일본품종과 지역종에 비해 낮았으나, Ca 등의 무기성분 함량은 더 높았다.

  • PDF

Genetic Diversity of Rehmannia glutinosa Genotypes Assessed by Molecular Markers (분자표지자에 의한 지황 유전집단의 유전적 다양성)

  • Bang, Kyong-Hwan;Chung, Jong-Wook;Kim, Young-Chang;Lee, Jei-Wan;Kim, Hong-Sig;Kim, Dong-Hwi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8 no.4
    • /
    • pp.435-440
    • /
    • 2008
  •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markers were used to identify the genetic diversities among and within varieties and landraces of Rehmannia glutinosa. Polymorphic and reproducible bands were produced by 10 primers out of total 20 primers used in the experiment. In RAPD analysis of the 11 genotypes, 64 fragments out of 73 amplified genomic DNA fragments were polymorphic which represented an average 6.4 polymorphic fragments per primer. Number of amplified fragments with random primers ranged from 2 (OPA-1) to 13 (OPA-11) and varied in size from 200 bp to 1,400 bp. Especially, OPA-10, OPA-11 and OPA-19 primers showed specific bands for varieties of Korea Jiwhang and Jiwhang il ho, which could be useful for discriminating from other varieties and landraces of R. glutinosa. Percentage polymorphism ranged from a minimum of 50% (OPA-1) to a maximum of 100% (OPA-11), with an average of 87.7%. Similarity coefficients were higher in the genotypes of Korea Jiwhang and Jiwhang il ho than in other populations. In cluster analysis, genotypes of Korea Jiwhang, Jiwhang il ho, and Japanese accession were separated from those of other varieties and landraces. Average of genetic diversity within the population $(H_S)$ was 0.110, while average of total genetic diversity $(H_T)$ was 0.229. Across all RAPD makers the $G_{ST}$ value was 0.517, indicating that about 52% of the total genetic variation could be explained by RAPDs differences while the remaining 48% might be attributable to differences among samples. Consequently, RAPD analysis was useful method to discriminate different populations such as domestic varieties and other landrace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ill be used to understand the population and evolutionary genetics of R. gllutinosa.

Flora of Hangyeong Gotjawall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Area in Jeju-do (한경 곶자왈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식물상)

  • Park, Ji-Hyun;Hyun, Hwa-Ja;Lim, Eun-Young;Kim, Chang-Uk;Chung, Jun-Ho;Kang, Shin-Ho;Song, Gwanpi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10a
    • /
    • pp.61-61
    • /
    • 2018
  • 한경 곶자왈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은 개가시나무와 백서향 등을 포함한 암괴지대의 상록활엽수림으로서 그 중요성이 인정되어 산림유전자원 생태보전지역으로 지정 관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지역의 식물상을 조사하여 곶자왈의 분포식물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라산 서쪽 곶자왈지역 중 곶자왈 산림유전자원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을 2017년 6월부터 2017년 9월까지 20여 차례 현장조사를 통하여 표본을 수집하고 이를 기록 정리하였다. 조사지역의 식물은 총 83과 181속 236종 23변종 2품종 총 261종으로 조사결과 양치식물이 7과 18속 30종 2변종 32분류군, 나자식물이 1과 1속 2분류군, 피자식물은 74과 162속 204종 21변종 2품종 227분류군 이었다. 그 중 쌍자엽식물은 67과 139속 179종 16변종 1품종 196분류군이고, 단자엽식물이 7과 23속 25종 5변종 1품종 31분류군이었다. 조사에서 확인된 환경부 멸종위기야생식물은 개가시나무 1종 이었다. 식물 구계학적 특정식물로는 총 97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등급별로는 V등급 검정개관중, 개가시나무로 2분류군, IV등급 백서향, 녹나무 등 12분류군, III등급 아왜나무, 호자나무 등 37분류군, II등급 올벚나무, 개산초 등 13분류군, I 등급 푸조나무, 자금우 등 3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의 적색목록 식물을 분석해보면 취약(VU)은 개가시나무, 섬다래 등 3분류군, 준위협(NT)은 백서향, 약난초로 2분류군, 관심대상종(LC)은 골고사리, 새우난초 등 9분류군, 미평가종(NE)은 빌레나무 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청수 저지 곶자왈 지역의 생태학적 자료로 제주도 내 곶자왈과 비교하였을 때 맹아가 발달한 종가시나무가 우점하는 지역으로 향후 상록수림 천이에 의해 상록수 아래에 자라는 식물로 낙엽활엽수가 대체될 것으로 추정되어 지속적인 조사가 요구된다.

  • PDF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Native Pumpkins (한국 재래종 완숙호박의 품질 특성)

  • 윤선주;전하준;정희돈;정용진;서지형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9 no.1
    • /
    • pp.14-18
    • /
    • 2002
  • The weight per pumpkin was usually 4∼8 kg, and that of 'Changnyung I', 'Changsu' and 'Hoengsung' were more than 10 kg. Pumpkins from 'Nonsan', 'Samcheok' and 'Yoju' were less than 2 kg. Pumpkin shapes were flat-round in 12 pumpkins including 'Boeun' pumpkin, round in 5 pumpkins including 'changnyung II'pumpkin and long-oval in others. The content of soluble solids was 14.4 。Brix in 'Samcheok' pumpkin and it was more than 12 。Brix in 'Hapcheon' and 'Imsil' pumpkins. 'L'values in fruit flesh were lunged from 60 to 80. But 'a' and 'b' value was affected by pumpkin varieties. Soluble solids in pumpkin juice were 5.00∼9.90 。Brix. It was the highest such as 9.90 。Brix in juice from 'Jeju I ' pumpkin. Yields of pumpkin juice were 53.0∼68.0% in crude type and 48.8∼61.4% in clean type. The yield of juice was the highest in 'Yangku' pumpkin. Color acceptability of juice was the highest in 'Uljin' pumpkin.

Growth Characteristics and Major Medicinal Components of Endemic Resource Plants, Artemisia sp., Gynostemma pentaphyllum and Humulus japonicus, in Different Areas and Cultural Methods in Korea (자생식물 쑥, 돌외 및 환삼덩굴의 지역별, 재배방법별 생육 특성과 주요 약리 성분)

  • Ryu, Ik-Sang;Hwang, Ju-Kwang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 /
    • v.4 no.1
    • /
    • pp.27-30
    • /
    • 199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major components of three Korean endemic resource plant species, Artemisia sp., 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 and Humulus japonicus S. et Z. , growing in different areas in Korea. Three geographical types of artemisia, namely Pangssuk, Ongjinssuk and Yakssuk which were collect in Suwon, Ongjin and Eumsong, respectively were compared in yield, and Pangssuk artemisia was higher in yield than the others. However, essential oil content was the highest in Yakssuk artemisia. Dry weight of areal parts of G. pentaphyllum was higher in the cultural method with props for tendril growth than in the conventional cultural method without props. Rutin was detected in areal parts of G. pentaphyllum. Dry weight of areal parts of H. japonicus collected at the Kyeryong mountain in Chungnam province was higher than that collected in Eumsong. A phenolic compound isoquercitrin was detected in areal parts of H. japonicus.

  • PDF

Analysis of Cellular Call Traffic with City Zone Characteristics(2) (도시용도지역의 시간별 이동통신 통화량 분석(2))

  • 윤영현;손동우;김상경;최원근;안순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265-267
    • /
    • 1999
  • 이동 통신시스템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서는 이동 통신에서 발생되는 호의 패턴을 분석하는게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도시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기지국의 지역특성을 고려한 이동 통신 통화량을 분석하여,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도시를 상업, 주거, 준공업 그리고 녹지 지역으로 되어 있는 도시계획 용도지역과 이외에 특이한 호 발생 패턴이 예측되는 역과 터널 주변이라는 6개의 지역으로 구분하고, 여기에 설치되어 있는 기지국으로부터 실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 자료를 이용하여 기지국이 설치되어 있는 지역에 따라 이동 통신 기지국의 시간대별 통화량 분포를 분석하였으며, 하루 중 통화량이 가장 많은 최빈시간대와 통화량이 가장 적은 최번시간대를 구하였다. 또한, 구해진 각 종 결과를 시뮬레이션에 적용하기 위한 평균값 및 분포값을 제시하였다. 이 파라메터들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성능 및 신뢰성을 측정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값들이다.

  • PDF

Notes on the Higher fungi in Kangwon-do (I) - on Some Unrecorded Species - (강원지역의 고등균류기 (I) -수종 미기록종에 대하여-)

  • Kim, Yang-Sup;Seok, Soon-Ja;Sung, Jae-Mo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 /
    • v.26 no.2 s.85
    • /
    • pp.153-162
    • /
    • 1998
  • Some fresh fungi collected at three mountain areas in Kangwon-do in 1996 and dried specimens collected before 1996 were observed and identified. Five species, Lepiota grangei, Baeospora myriadophylla, Mycena acicula, Clitocybe sinopica and Gerronema strombodes were confirmed new to Korea and registered here with full descriptions.

  • PDF

Composition of Essential Oil of Tagetes minuta L. (만수국아재비의 정유성분 조성)

  • Hong, Chul-Un;Kim, Cheol-Sang;Kim, Nam-Gyun;Kim, Young-Hoi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 /
    • v.9 no.2
    • /
    • pp.108-115
    • /
    • 2001
  • The essential oils from the aerial parts of Tagetes minuta L. from two different locations in Korea were obtained by hydrodistillation in 0.52%(Goheung, Chonnam) and 0.48% yields(Puan, Chonbuk) as a dry weight base, respectively. A total of 69 components, accounting in 94.7% and 92.1% of the oil, respectively were identifi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ic analysis and comparison of retention indices with those of authentic compounds. The main components in both samples(Goheung, Chonnam and Puan, Chonbuk) were limonene(5.83% and 6.41%, respectively), $cis-{\beta}-ocimene$ (4.87% and 47.73%), dihydrotagetone(14.78% and 52.83%), trans-tagetone(0.64% and 2.99%), cis-tagetone(1.13% and 2.50%), trans-tagetenone(1.15% and 11.45%) and cis-tagetenone(0.69% and 1.41 %). Although these components were present in both samples, the results showed large differences in the percentage composition of these compon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