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체험활동

Search Result 15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Needs and Directions for Developing Localization Materials in Geology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 Focused on the Unit of 'Strata and Fossils' (초등과학 교과서 지질 분야의 지역화 자료 개발의 필요성과 방향 : '지층과 화석' 단원을 중심으로)

  • Lim, Sungm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
    • v.12 no.3
    • /
    • pp.184-197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needs and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localization data in the geological field of elementary school. Many studies show that geology-related learning is highly effective in the form of direct learning, and It is reported that this lear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scientific attitudes. As such, the first-hand experience of the geological learning is outdoor geology learning and is the basis and core of the development of localization materials. However, the analysis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development of outdoor geology learning site is mainly conducted in some regions.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geological sites are distributed evenly throughout Korea, it is necessary to actively develop geological-related localization materials to learn elementary school geology-related units. In addition, some areas where outdoor geological study grounds were developed are composed only of learning places and no specific learning 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In this regard, not only geological researchers but also field teachers working in the area need much effort. Development of localization material in the geological field needs to be developed at the level of material presented in the geology unit of the textbook. And in the actual class, it is desirable to use the textbook data and the developed localization data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the outdoor geology field should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pre-experience-post activities so that learners can have various geological experiences.

Effects of Science Club Activity on Science-Related Attitudes of 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과학반 활동이 초등학교 여학생들의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 Shin, Ae-Kyung;Jang, Chi-Hoon;Hyun, Dong-Geo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1 no.4
    • /
    • pp.505-51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extracurricular science club activities affect sciencerelated attitudes of 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was organised with thirty 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ected from a school in a small city and two schools in a town at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e students were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a variety of scientific experiences and inquiry activities for ten months.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another thirty girl students chosen from the same schools. The pre-test and post-test on science-related attitudes were administered to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meaningful changes have been observed in science-related attitud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ereas the control group reveals no meaningful changes. Science-related attitudes have been analyzed in three categories such as cognition, interests, scientific attitude.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meaningful changes in all of the three categories, while the control group shows no change in any category. When the female students from small city and those from the town were separated, the result shows that the latter shows more positive changes in science-related attitudes through science club activities than the former.

전북 남원 일대의 야외지질 학습자료 개발

  • Jo, Gyu-Seong;Jeong, Deok-Ho;Park, Gyeong-Jin;Jang, Hyeon-Geun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66-66
    • /
    • 2010
  • 야외지질학습은 교실에서 경험할 수 없는 물질과 현상을 관찰하고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Orion 1989). 또한 체험활동으로서 교실에서 학습한 내용의 구체적인 예를 제공하여 교육과정을 촉진시키는데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야외 활동은 교실 활동보다 학생들의 경험과 훨씬 더 밀접히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의미가 있을 수 있다. 야외실습 중에서 얻은 경험은 학생들이 그가 관찰한 것에 대해 읽도록 동기화시키고, 교과서와 자연조건에서의 실제적 경험 사이의 차이를 연결해 주는 다리를 제공해 줄 수 있다(홍정수, 장남기, 1997). 야외학습을 위한 적절한 장소는 먼저 학습주제나 목표와 부합되는 곳이어야 하며, 지리적으로 가깝고 안전한 곳이어야 한다(김찬종, 2008). 그렇기 때문에 각 지역별로 학습주제와 부합된 지역을 선정하여 야외지질 학습자료를 개발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북 남원 일대를 중심으로 한 야외지질 학습자료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북 남원지역은 한반도의 중요지괴에 해당하는 영남육괴 지리산지구에 해당하며 편마암 복합체를 기저로 이를 관입하는 수 차례의 화성활동과 지구조운동으로 복잡한 지질양상을 보인다. 또한 지리산 지역은 평안분지와 경상분지의 일부가 보존되어 있고 지질시대를 달리하는 각종 화성암류가 골고루 분포하여 각 지질시대별로 화성활동과 지구조 운동이 활발했음을 시사해준다. 본 연구에서는 남원 지역의 지질학적 특징을 관찰하기 용이한 지역을 대상으로 총 5곳을 선정하였다. 남원 시내에 소재한 춘향대교 아래 지역은 중생대 쥐라기에 관입한 저반상의 남원화강암과 페그마타이트가 다수 분포하는 곳이다. 이 지역에서는 무수히 많은 관입암체를 찾을 수 있는데 다수의 지진과 지각변동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장소는 다양한 바위들을 관찰할 수 있는 구룡계곡 일대이다. 이 장소는 오랜기간 동안 물의 흐름에 의해 풍화와 침식을 받은 다양한 크기의 바위를 관찰하고 구별함으로써 풍화에 따른 원마도의 관계, 바위들의 배치 형태를 통해 고지형 및 고수류의 방향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남원에서 장수 방향에 위치한 만행산 주변에는 흑운모편마암에 우세한데, 이 지역에서는 흑운모편마암에 나타나는 변성구조로 볼 때 높은 열과 압력을 받은 광역변성작용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관입암체 내에 다양한 맥들이 관입을 해와 이를 통해 관입암체들의 상대연령을 판단해보는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네 번째 장소는 남원시 인월면 인풍리 소재의 인월 피바위 지역이다. 이 지역에서는 압쇄상 화강암이 주로 관찰되는데 이는 기원암인 반상화강암이 동력변성작용을 받아 생성된 것이다. 다섯 번째 지역은 지리산 내의 뱀사골로 지리산 인근에 분포하는 대표적인 편마암인 반상변정질 편마암을 관찰할 수 있다. 변정이란 변성작용을 받는 동안 형성되는 것으로 변성작용을 받는 동안 생긴 것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 생성당시 원래 모암속에 포함되어 있는 반정들도 있다.

  • PDF

Teaching World Geography Using Travelog To Reinforce Affective Domain (세계지리 수업에서 여행기를 활용한 정의적 영역의 보완)

  • Son, Myong Cheo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2 no.3
    • /
    • pp.730-744
    • /
    • 2016
  • This study aims to seek for solution to reinforce affective domain in World Geography instruction using travelog. The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World Geography textbooks are given too much emphasis on cognitive domain. This overevaluation is due to the fact that official World Geography curriculum is concentrated in cognitive domain. Second, Travelogs can be effectively used for reinforcing affective domain in World Geography education. They can reinforce the various attitudes and values that students need. I hope that this study could activate discussion on affective domain and graphic skills in geography education.

  • PDF

Convergence Approach of the Marine Tourism Policy (해양관광 정책의 융복합적 접근에 관한 연구)

  • Lee, Jung-Chul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2
    • /
    • pp.233-238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ecessity of policy approach in terms of complex combination of tourists and fishing villag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policies related to the marine tourism industry were investigated and the law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coastal area and fishing port area were investigated. As a convergence approach to marine tourism policy, First, the development of marine tourism resources should be based on the increase of hydrophilic activit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r seasons. In particular, the need to dig through support of projects such as the successful model that made aquarium associations etc. that are currently in progress, such as "fishing village experience".

대학생들의 야외 지질 실습 전과 후의 퇴적층 형성의 이해도 변화 비교

  • O, Jin-Yeong;Jeong, Gong-Su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71-71
    • /
    • 2010
  • 대학생들의 야외 지질 실습 전과 후에 퇴적층 형성에 대한 이해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충남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3학년 재학생 27명을 대상으로 3일 동안, 참여 학생들에게 매일 실습 전과 후로 나누어 6번의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문항은 모두 주관식이며, 3일에 걸쳐 총 68문항을 제공하였다. 제시된 문항은 퇴적층 형성과 관련된 기본개념 31문항과 조사 지역의 노두관찰 37문항으로 분류 된다. 야외 실습 전과 후의 개인별 점수를 각각 비교한 결과 실습에 참여한 모든 학생들의 점수가 향상되었다. 실습 3일에 대한 전체 학생들의 평균점수는 실습 전에 28.3점, 후에 51.6점으로 실습 전보다 후에 34.2% 향상되었다. 또한 전체 학생들의 기본개념 31문항에 대한 평균점수는 실습 전에 19.8점, 후에 26.9점으로 22.9%, 조사 지역 노두관찰 37문항에 대해서는 실습전에 8.5점, 후에 24.7점으로 43.8%가 각각 향상되었다. 퇴적층은 공간적으로 넓은 장소와 시간적으로 오랜 기간 동안에 걸쳐 형성되어 학생들은 광범위한 공간적, 시간적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며 대학의 지질학 교육 과정에서 야외실습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야외 실습은 학습자가 직접 자연과 같은 실제 세계를 관찰하고 조사하는 활동으로 이루어지는 학습 방법으로 교실 밖에서 일어나는 모든 학습을 총칭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야외 실습 후에 학생들의 점수가 향상된 것을 보여주었다. 이런 결과는 야외 실습이 야외에서 학습자가 주체가 되어 적극적인 참여로 학습하는 학생 중심 학습이고, 자연 환경을 학습의 장으로 하여 실물을 활용한 직접적인 조사활동과 같은 경험에 의한 체험 학습이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야외 실습에서 그룹 활동은 학생들이 지질조사를 하면서 발견된 문제나 내용에 대해 공유할 수 있는 토론 학습인 동시에 야외 활동에서 교수는 전문가 혹은 학습 촉매자로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주거나 학생들에게 질문이나 토론의 기회를 주어 학생들의 지적, 정신적 향상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야외 실습은 계획, 실행, 정리 단계가 매우 중요하다. 우선 장소 선정에 있어 강의실에서 토론된 주제 및 개념과 관련된 장소를 선정해야 하며, 야외에서는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수 간의 그룹 활동, 토의 및 질문 시간을 충분히 가져야 함은 물론 실습 후에는 세미나를 통해 야외 활동에서 새롭게 발견하거나 조사 및 학습한 내용, 해결하지 못한 문제 등을 토론하고 정리하는 과정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A Meta-Analysis on Effects of Infant's Sociality Development in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Chan-Woo Kim;Duk-Byeong Park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29 no.4
    • /
    • pp.225-250
    • /
    • 2022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fant's social development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through meta-analysis. The final nine studies(total of 165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59 in the control group) were selected as a method of systematic review. Meta-analysis on overall effect size estimation, chi-square test, significance analysis, publication bias analysis, and subgroup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R program. The overall effect size of 9 studies was 1.59, indicating a large effect size. As a result of subgroup analysis of the sub-factors of sociality, autonomy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at 1.47, the adjusted effect size of cooperation was 1.34, the effect size adjusted for peer interaction was 1.29, and the adjusted effect size for perspective-taking ability was 0.97. All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a meta-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participation period(4, 5~6, 7~8weeks), the number of sessions(6~10, 11~15, 16~20), the frequency per week(1, 2, 5), and the participation time(40, 60, 90, 120, 150min),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ffect size was larger when the participation period was 4 weeks, the number of sessions was 16 to 20, the frequency was 2 times per week, and the participation time was 40 minutes. This results can be usefully utilized by policy makers and forest commentators related to the vitalization of forest education through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Analysis of the Effects of In-service Education Program on Rural Amenity (농촌어메니티 교원 연수 프로그램 효과 분석)

  • Hwang, Jeong-Im;Kim, Eun-Ja;Choi, Yoon-Ji;Rhee, Sa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9.09a
    • /
    • pp.97-9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초 중등 교원들의 농업 농촌에 대한 가치 인식 및 학교 현장에서의 학생 지도력을 높이기 위해 교원들에게 농촌어메니티에 대한 이론과 체험 학습을 제공하는 '농촌어메니티 체험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적용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농촌어메니티 개념 및 정책 이해', '농촌어메니티 현장 이해 및 체험', '농촌어메니티 수업 적용'의 3개 영역으로 구성된 총 20시간의 교원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09. 7. 23. ~ 8. 13.까지 2박 3일씩 5차에 걸쳐 20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연수 전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수에 참여한 교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여성의 비율이 56.9%로 남성(43.1%)에 비해 높았으며, 일반교사의 비율(53.3%)이 부장교사(26.9%)나 교장 교감 (19.8%)의 비율에 비해 높았다. 연령 분포에서는 50대가 35.2%로 가장 많고, 40대가 32.7%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경력이 20년 이상인 교원들이 67.2%인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기관 분포에서는 초등학교 교원들이 54.8%로 가장 많았으며, 중학교, 고등학교 교원이 각각 20.3%, 18.8%인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지역 분포에서는 중소도시에서 근무하는 교원들이 70.6%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농촌거주 경험이 있는 교원들이 64.8%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수 참여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통한 인식 변화를 분석(Paired samples t-test)한 결과 참여 이후 '농업 농촌에 대한 관심 정도', '농업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 '농촌의 생활 정주, 관광 휴양 여건에 대한 인식', '농촌어메니티에 대한 이해도'가 모두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어메니티에 대한 중요도 인식'(5점 척도)에서는 환경자원, 자연자원, 역사자원, 경관자원, 시설자원, 경제활동자원, 공동체활동자원으로 분류된 37개의 세부자원들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연수 참여 이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단, 환경자원 가운데 '수질'의 평균 점수는 사전 4.8671, 사후 4.8960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연수 전반에 대해 만족하는 교원의 비율이 98.5%로 나타났으며, 연수 이후 농업 농촌에 대한 이해도가 증가했다는 응답이 98.0%, 학생 지도력이 증가했다는 응답이 95.0%, 연수에서 학습한 내용을 학생지도시 활용하겠다는 응답이 97.5%로 집계되어, 개발된 연수 프로그램이 설계시 수립한 목적 달성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Marketing Effectiveness of the Student Assistants Activities in the School Library (학교도서관의 도서반 활동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마케팅 효과 분석 연구)

  • Choi, Yeyun;Kim, Giyeong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8 no.1
    • /
    • pp.143-165
    • /
    • 2017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students' library after-school activities on the students and the school library from a marketing perspective and to recommend marketing strategies for school libraries. For the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t nine middle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a series of statistical analyses with the survey data was performed in order for hypothesis testing.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s of the school library marketing including customer loyalty were influenced by the student assistants' activities such as internal and experiential marketing factors. Furthermore, the activities of student library assistants can be linked to word-of-mouth marketing. Based on the results, ways to use student assistants in school library marketing are suggested.

Development of Dietary Life Education Textbook and Teaching Manual for Creative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중학년의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활동중심의 식생활 교재 및 지침서 개발)

  • Her, Eun Sil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v.18 no.3
    • /
    • pp.203-212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dietary life education textbook and teaching manual for creative activ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middle grade. First, we extracted dietary life related contents from textbooks for third and fourth grade and created systematization of contents involving educational objectives, goals, contents and activities. The development of textbook and teaching manual were based on systematization of contents. The textbook was composed of five major chapters, which were 'nutrition', 'cooking', 'environment and hygiene', 'food' and 'dietary culture'. Each major chapter having six to seven smaller chapters, adding up to a total of 34 smaller chapters. The textbook was in activity format so that can be readily and directly used in actual classes. The textbook had fun characters and various activities (particularly a lot of cooking activities) to deliver the main theme of each chapter. The teaching manual was composed of background, goal, teaching plan and teaching point. The smaller chapters had learning goal, teaching-learning resources, important points,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reference material. In evaluation after operating the model school, the developed textbooks were suited for students' needs and cognitive level. This textbook can be utilized at creative activities consisting of ten to fifteen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