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5523/JKSESE.2019.12.3.184

Needs and Directions for Developing Localization Materials in Geology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 Focused on the Unit of 'Strata and Fossils'  

Lim, Sungma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v.12, no.3, 2019 , pp. 184-19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needs and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localization data in the geological field of elementary school. Many studies show that geology-related learning is highly effective in the form of direct learning, and It is reported that this lear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scientific attitudes. As such, the first-hand experience of the geological learning is outdoor geology learning and is the basis and core of the development of localization materials. However, the analysis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development of outdoor geology learning site is mainly conducted in some regions.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geological sites are distributed evenly throughout Korea, it is necessary to actively develop geological-related localization materials to learn elementary school geology-related units. In addition, some areas where outdoor geological study grounds were developed are composed only of learning places and no specific learning 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In this regard, not only geological researchers but also field teachers working in the area need much effort. Development of localization material in the geological field needs to be developed at the level of material presented in the geology unit of the textbook. And in the actual class, it is desirable to use the textbook data and the developed localization data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the outdoor geology field should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pre-experience-post activities so that learners can have various geological experiences.
Keywords
geology; localization; elementary science; textbook; strata; fossil;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9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Manner, B. M. (1995). Field studies benefit students and teachers.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43(2), 128-131.   DOI
2 Mogk, D., & Goodwin, C. (2012). Learning in the field: Synthesis of research on thinking and learning in the geosciences.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Special Paper 486, 131-163.
3 Orion, N. (1993). A model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field trips as integral part of the science curriculum.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3(6), 325-331.   DOI
4 Ramasundaram, V., Grunwald, S., Mageot, A., & Comerford, N. B. (2005). Development of an environmental virtual laboratory. Computer and Education, 45(1), 21-34.   DOI
5 Stoffels, N. T. (2005). There is a worksheet to be followed: A case study of a science teacher's use of learning support texts for practical work. African Journal of Research in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9(2), 147-157.
6 Tyler, R. W. (1949). Basic principle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Chicago: Univ. of Chicago Press.
7 Wier, B., Cain, B. J., & Fredricks, K. (2000). "Living inside the earth", Children's preconceptions about how we addressed them. Paper presented at the national conference of the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Orlando, FL.
8 Bruner, J. S. (1960). The process of education. Cambridge, Mass: Harvard Univ. Press.
9 공룡 화석 분포 지역 및 종류[대한민국 국가지도집]. (2019.11.20.). URL: http://nationalatlas.ngii.go.kr/pages/page_1339.php
10 Orion, N. (1989). Development of a high school geology course based on field trips.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37(1), 13-17.   DOI
11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5-74호.
12 교육부(2018). 초등학교 3-4학년군 교사용 지도서 과학 4-1.
13 국가지질공원[국가지질공원]. (2019.11.20). URL: http://www.koreageoparks.kr/cms/archive.do?htmlNo=1&pageId=KR0402030000
14 김덕호, 홍승호(2014). 초등 영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지층과 화석 관련 STEAM 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학연구, 46(4), 1-25.
15 김덕호, 홍승호(2015). 초등과학 지질 관련 단원의 학습에 적합한 제주도 체험학습장 개발: '지층과 화석'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 26(2), 25-46.
16 김민성, 유수진, 전영권(2018). 초등학생용 청송세계지질공원 교육교재 개발 및 적용.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4(1), 192-205.
17 김범기, 이항로, 김기정(1996). 천문 개념 취도와 공간 능력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24(2), 216-225.
18 김순식, 이용섭, 이하룡(2013). 초등과학 지역화 수업전략이 학생들의 환경인식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1), 60-68.   DOI
19 김순식, 최성봉(2010). 환경에 대한 반성적 글쓰기 활동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환경민감도와 실천의지에 미치는 효과. 한국환경과학회지, 19(1), 69-80.
20 김정길(2003). 야외 지질 학습을 위한 현장자료 개발. 초등교육연구, 17(2), 27-41.
21 김해경(2015). 지역 지질을 활용한 초등학교 야외지질학습장의 개발: 오동도를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2), 128-138.   DOI
22 김해경(2017). 보성군 선소 해안일대의 지형.지질특성과 교육적 활용방안. 한국도서연구, 29(4), 183-197.
23 김해경(2018). 야외지질학습장으로서 압해도 동측 해안 노두의 활용방안. 한국도서연구, 30(3), 197-210.
24 김해경, 오강호(2018). 보성 남측 해안 퇴적암 지역에서 야외지질학습장 개발 및 교수-학습 방안. 한국도서연구, 30(1). 115-128.
25 김해경(2019). 무안군 남측 대죽도(중앙동산) 노두의 특징과 교육적 활용방안. 한국도서연구, 31(1), 169-183.
26 김해경, 김정길, 장병주(1994). 초등학교의 야외 현장 학습에 관한 연구. 초등과학교육, 13(2), 195-205.
27 김해경, 오강호(2017). 해안의 노두에서 야외지질학습코스의 개발과 교수-학습 전략: 목포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도서연구, 29(1), 187-201.
28 김해경, 이경학, 나경아(2017). 지역의 지질 자료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2), 173-184.   DOI
29 김화성, 함호식, 이문원(2013). 화성암 지역의 야외지질학습장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34(3), 274-285.   DOI
30 김훈희, 최호성(2004). 지역화 교육과정의 학습 내용 조직 모형의 구안. 교육과정연구, 22(4), 113-134.
31 노병섭, 양우헌, 조규성(2009). 전북 마이산 일대의 야외지질 교수.학습자료 개발 및 초등 교사들의 반응. 한국지구과학회지, 30(7), 869-882.   DOI
32 도순남, 최호성(2004). 교육의 지역화에 관한 교원의 인식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1(1), 171-197.
33 맹승호, 위수민(2005). 시화호 탄도 해안과 한염 지역의 야외 지질 답사 수업 모형에 대한 질적 분석.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6(1), 9-29.
34 박재문, 양우헌, 조규성(2007). 전북 부안군 채석강 일대의 야외지질 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8(7), 747-761.   DOI
35 배창호, 김정길, 김해경(2002). 초등학교 야외 지질학습현장 개발 및 활용방안. 초등과학교육, 21(2), 241-252.
36 서동욱(2004). 야외 지질 학습장의 퇴적암과 지질 구조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관찰 및 가설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5(7), 586-594.
37 위수민, 임성만(2012). 화성암 관찰과 지식에 대한 제주도, 울릉도, 충북 지역 학생들의 비교. 한국지구과학회, 33(1), 1-9.   DOI
38 심규철, 이명희, 이재영, 육근철(2004). 과학과 교육과정 지역화 실태 조사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3), 181-188.
39 오강호, 손정모, 김해경(2017). 초등 및 중학생을 위한 사옥도와 증도 일대 야외지질학습장 개발 및 활용방안. 한국도서연구, 29(2), 147-165.
40 위수민, 곽정실, 조현준(2008). 초등학교 과학과 지질 단원 교수-학습 활동에서 교사와 학생이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7(4), 420-436.
41 이창규(1995). 교육과정 지역화의 효율적 방안탐색.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이창진, 정상원(2005). 충북 괴산군 두타산 일대의 야외지질조사 학습장 개발.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6(1), 41-57.
43 이창진, 홍석의(2003). 고등학교 학생을 위한 가상지질조사 웹 컨텐츠 개발: 제주도 송악산과 지삿개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4(3), 172-180.
44 임청환, 정진우(1993). 국민학교 자연과 천문분야 내용 분석과 문제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2), 247-256.
45 조규성, 양우현, 신순선, 오재명, 정덕호(2012). 변산반도 격포 적벽강 일대 야외지질 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33(7), 658-671.   DOI
46 진연자, 위수민, 임성만(2016). 나선형 순환학습을 이용한 야외 지질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포천 아트밸리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8), 123-148.
47 천종배, 김희수(2018). 실제 야외지질답사와 가상 야외지질답사의 수업효과 비교. 현장과학교육, 12(3), 331-340.   DOI
48 최윤성, 김찬종, 최승언(2018).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 구성을 활용한 야외지질학습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39(2), 178-192.   DOI
49 한영욱, 샘재윤(2005). 초등학교 암석원의 실태분서 및 암석단원 지도를 위한 효과적 인 방안 모색. 부산교육대학교 논문집, 7(1), 59-78.
50 한준상(2001). 학습학. 서울: 학지사.
51 Caliskan, O. (2011). Virtual field trips in education of earth and environment sciences. Procedia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5, 3239-3243.   DOI
52 홍정수, 장남기(1997). 중등학교 과학과 야외활동의 실태 및 개선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1), 85-92.
53 화석을 통해 알아보는 한반도의 역사[YTN science]. (2019.11.20). URL: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0033&key=201610281830407923
54 Bell, P., Lewenstein, B., Shouse, A. W., & Feder, M. A. (Eds.). (2009). Learning science in informal environments: People, places, and pursuits. National Academies Press.
55 Chin, C., & Chia, L. G. (2004). Problem-based learning: Using students' questions to drive knowledge construction. Science Education, 88(5), 707-727.   DOI
56 Duschl, R., & Smith, M. (2001). "Earth science", Brophy, J. (Ed.) Subject-specific instructional methods and activities (Advances in Research on Teaching, Vol. 8), Emerald Group Publishing Limited, Bingley, 269-290.
57 Hubisz, J. (2003). Middle-school texts don't make the grade. Physics Today, 56(5), 50-54.   DOI
58 Karplus, R., & Lawson, C. A. (1974). Science curriculum improvement study, teachers handbook. Berkeley, CA; Lawrence Hall of Science, University of California.
59 Kusnick, J. (2002). Growing pebbles and conceptual prisms: Understanding the sources of student misconceptions about rock formation.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0(1), 31-39.   DOI
60 Leite, L. (1999). Heat and temperature: an analysis of how these concepts are dealt with in textbooks. Europ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2(1), 75-88.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