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창숙, 2016, 한국의 여행지리와 중국의 관광지 리 교육과정 비교,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1), 267-285.
- 강현석, 2005, 합리주의적 교육과정 체제에서 배 제된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교과목 개발의 방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23(2), 83-115.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과학 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별책 7].
- 교육부, 2015,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7].
- 길현주, 2011, 사회과 정의적 영역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2007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43(4), 1-23.
- 김다원, 2015, 세계시민교육에서 '여행'의 교육적 의미 탐색, 국제이해교육연구, 10(2), 131-162.
- 김동환, 2005, 텍스트 화자와 학습자의 유사성에 따른 학습자 선호도와 학습 효과에 관한 연구 -중학교 지역 지리 단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병종, 2008, 김병종의 라틴화첩기행, 랜덤하우스.
- 김이재, 2015, 지리적 상상력을 기르는 여행지리 교육의 가능성, 2015년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동계학술대회 자료집, 56-57.
- 김진희.임미은, 2014, 공정여행 수업활동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의 의미 탐색, 한국교육, 41(3), 213-239.
- 김학희, 2006, 세계지리에서 여행의 교육적 의미 탐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4(3), 231-250.
- 류재명, 2002, 한국 지리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0(1), 27-40.
- 미노, 2007, 컬러풀 아프리카, 즐거운 상상.
- 박복순, 2005, 텍스트 서술 양식에 따른 학습자 선호도와 학습 효과에 관한 연구 -중학교 세계 지리 단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편, 2007, 교육학 용어사전.
- 손명철, 2014, 중학교 사회교과서의 학습활동 분석과 재구성 -현행 중학교 사회(1) 교과서 지리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2(3), 61-70.
- 심승희.김현주, 2016,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교 진로선택과목 여행지리의 개발과 관련 논의,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4(1), 87-98.
- 안병윤, 2011, 여행 이야기 텍스트 활용과 그 유형에 따른 학습자 선호도 및 학습효과에 대한 연구: 고등학교 세계지리 교과를 중심으로, 지리교육논집, 55, 43-53.
- 옥한석, 2010, 인터넷 여행기 분석에 의한 대중의 지리적 관심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8(2), 185-197.
- 위상복 외, 2014, 고등학교 세계지리, 비상교육.
- 윤신원, 2015, 지리쌤과 함께하는 행복 여행, 2015년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동계학술대회 자료집, 10-31.
- 이경한, 1996, 지리교육의 가치목표와 그 내용에 관한 고찰, 대한지리학회지, 31(1), 38-48.
- 이경한, 2015, 유네스코 세계시민교육과 세계지리의 연계성 분석, 국제이해교육연구, 10(2), 131-162.
- 이동민, 2016, 2015 개정 고등학교 여행지리 교육 과정 성취기준의 의미구조 분석, 한국지리학회지, 5(1), 1-11.
- 전수남, 2009,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과서에 나타난 내러티브형 텍스트 분석,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철기, 2011a, "지리교과서에 서술된 내러티브 텍스트 분석,"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9(1), 49-85.
- 조철기, 2011b, "내러티브를 활용한 지리 수업의 가치 탐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9(2), 153-170.
- 조철기, 2013a,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 주 지리교육과정과 내러티브 지리교과서의 특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1(1), 49-63.
- 조철기, 2013b, 정의적 영역의 발달을 위한 지도 학습의 활용 방안, 사회과교육, 52(1), 71-84.
- 조철기, 2014, 지리교육학, 푸른길.
- 최성길 외, 2012, 중학교 사회(1), 비상교육.
- 하름 데 블레이/유나영 옮김, 2015, 왜 지금 지리학인가, 사회평론.
- 한승희, 1997, 내러티브 사고 양식의 교육적 의미, 교육과정연구, 15(1), 400-423.
- Bloom, Benjamin Samuel, ed., 1956,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Handbook I: Cognitive Domain, Longman.
- Bruner, Jerome S., 1986, Active Minds, Possible World,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 Harrow, Anita J., 1972, A Taxonomy of the Psychomotor Domain, McKay Co. Inc.
- Krathwohl, D. H., Bloom, B. S. & Masia, B. B., 1964,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Handbook II: Affective Domain, New York: Mack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