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적 동질성

Search Result 11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the Regionalization of Point Rainfall by Multivariate Analysis Technique (다변량 분석기법에 의한 지점강우의 권역화 연구)

  • Park, Sang-Woo;Jun, Byong-Ho;Jang, Suk-Hw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6 no.5
    • /
    • pp.879-892
    • /
    • 2003
  • This study has performed the regionalization of point rainfall which has the hydrological homogeneity for regional frequency analysis of the rainfall. For the study, the recorded rainfall data were collected from 60 rainfall gauge stations distributed all over country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32 rainfall characteristic elements were analyzed from the collected data. Using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o be data reduction technique of the multivariate analysis and the cluster analysis to be grouping technique about many of rainfall characteristic elements of each station, the regionalization of point rainfall was accomplished rationally and efficiently. As the result, hydrological homogeneous regions of point rainfall were divided by 5 regions and 3 other regions, and rainfall characteristics of divided each region were analyzed and compared relatively using regional mean values of each rainfall element data.

Ecological Factors Influencing the Bird Diversity on Baekdudaegan Protected Area Cheonwangbong to Aghwibong Region (백두대간보호지역의 천왕봉에서 악휘봉 구간에 서식하는 조류의 다양성에 영향을 주는 생태적 요인)

  • Hyun-Su Hwang;Doory No;Yunkyoung Lee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8 no.1
    • /
    • pp.48-54
    • /
    • 2024
  •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rom April 2021 to December 2022 to investigate habitat factors affecting bird diversity in the region between Cheonwangbong Peak and Aghwibong in Baekdudaegan protected area, South Korea. Since the region has a spatial scale of 736.4 km2 and is an area where a wide variety of habitats are mixed, we selected 20 survey areas of 3 km x 3 km by analysis of habitat homogeneit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abitat environment and bird diversity in the survey area, it was found that the diversity of bird communities was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diversity of terrestrial insects, slope, average habitat area, mean size of patches, elevation, and forest type, and distance from agricultural land. The slope of habitat, forest type, and distance from agricultural land affect the occurrence of food sources directly and indirectly, and the average area of habitats and forest type is closely related to the structural diversity of habitats. Therefore, it is determined that the diversity of bird communities is affected by the amount of food generated within the habitat and the diversity of habitats. It is determin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bird communities and habitat environments in this surveyed region can be basic ecological data for establishing forest management measures to promote the diversity of bird communities.

Comparison of Segmentation Weight Parameters for Object-oriented Classification (객체기반 영상분류를 위한 영상분할 가중치 비교)

  • Lee, Jung-Bin;Heo, Joon;Sohn, Hong-Gyoo;Yun, Kong-Hyu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289-292
    • /
    • 2007
  • 객체기반 영상분류를 위한 영상분할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는 분할축척(Scale), 분광 정보(Color), 공간 정보(Shape) 등이 있으며 공간 정보에 해당하는 공간 변수는 평활도(Smoothness)와 조밀도(Compactness)가 있다. 이들 가중치의 선택이 최종적으로 객체기반 영상분류의 결과를 좌우하게 된다. 본 연구는 객체기반 영상분류의 준비 과정이라 할 수 있는 영상분할에 있어서 다양한 가중치를 적용을 통하여 영상을 분할하였다. 영상분할을 위해 적용한 가중치는 10, 20, 30의 분할축척(Scale)과 분광 정보(Color)와 공간 정보(Shape)간의 가중치 조합, 공간 변수인 평활도(Smoothness)와 조밀도(Compactness)간의 가중치 조합을 사용하였다. 각 가중치 조합을 통하여 분할된 영상의 분석은 Moran's I 와 객체 내부 분산(Intrasegment Variance)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객체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하여 Moran's I를 계산하였으며 분류된 지역의 동질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객체 면적을 고려한 객체 내부 분산(Intrasegment Variance)값을 계산하였다. Moran's I 가 낮은 값을 가질수록 객체 간의 공간상관관계가 낮아지므로 이웃 객체간의 이질성은 높아지며 객체 내부 분산(Intrasegment Variance)이 낮은 값을 가질수록 지역간의 동질성은 높아지게 된다. Moran's I 와 객체 내부 분산(Intrasegment Variance)의 조합을 통하여 객체기반 영상분류 시 가장 높은 분류 정확도가 예상되는 밴드별 영상분할 가중치를 얻을 수 있다.

  • PDF

Comparative Study of Regional Frequency Analysis Methods of Rainfall in Han River Basin (한강 유역에서의 강우 지역빈도 해석 방법의 비교 연구)

  • Um, Myoung-Jin;Lim, Seung-Teak;Nam, Woo-Sung;Cho, Won-Cheol;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072-107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한강유역 109개 지점의 강우관측소에서 관측된 지속기간별 연최대강우량을 기본으로 각 지속기간별 L-모멘트값을 산정하고, 한강유역에 적합한 빈도해석기법을 정의하기 위하여 지역구분을 실시하였다. 지역구분을 위한 군집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각 지점별 기상학적 인자와 지형학적 인자를 변수로 사용하였다. 군집분석 기법인 Ward, 평균연결법, Fuzzy-c means, Two-Step방법을 이용하여 지역구분을 실시하였다. GIS를 이용하여 각 방법들을 이용하여 군집된 결과를 도시한 결과 Fuzzy-c means방법으로 구분된 지역구분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분된 지역의 동질성 여부를 판단하고 적정 분포형을 선정하였으며 지점빈도해석 및 지역빈도해석을 통하여 빈도별 확률 수문량을 산정하였다. 산정된 결과의 정확도 알아보기 위해 모의발생을 시킨 후, 각 기법별로 산정된 상대 평균 제곱근 오차(Relative Root Mean Square Error, RRMSE)를 비교 분석한 결과 대체적으로 지수홍수법과 계층적 방법이 낮은 RRMSE를 나타냈다. 따라서 한강유역에서는 지수홍수법과 계층적 방법을 적용한 지역빈도해석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stimation of design flood derived by regional frequency analysis (지역빈도분석에 의한 금강유역의 설계홍수량 산정)

  • Da Ye Kim;Seung Jin M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04-104
    • /
    • 2023
  • 최근 2017년 청주, 천안의 홍수, 2020년 용담댐 상류와 대청댐 상류의 홍수, 2022년 청주의 도시침수를 비롯한 서울 도심의 침수피해와 같은 홍수 발생은 지역의 국민들에게 막대한 재산상의 피해를 입히고 있다. 국가적 차원에서 치수의 목적을 달성하고 경제적으로 적절한 규모의 수리구조물을 설계하기 위해 하천의 주요지점에 대한 신뢰성 있는 설계홍수량의 제시는 반드시 필요한 현실에 직면해 있다. 특히 해당 지점의 수리시설물은 점빈도분석에 의한 설계홍수량을 적용하나, 관측자료가 없는 미계측 지점에 위치한 수리시설물은 지역빈도분석에 의한 설계홍수량을 산정하여 적용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금강 유역을 대상으로 점빈도분석과 지역빈도분석에 의한 설계홍수량 결과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지역빈도분석을 위한 수위관측소의 선정은 금강유역 80개 수위관측소 중 장기간 연최대홍수량 자료가 있고 유량자료의 연결성 및 신뢰성이 확보된 46개수위관측소를 대상으로 하였다. 46개 수위관측소의 연최대홍수량 계열을 대상으로 동질성, 독립성 및 이상치 검정을 수행하였으며, 세 가지 검정 모두 적절한 수위 관측소 지점은 36개 지점으로 분석되었다. 36개 수위관측소의 기본통계치(평균, 표준편차, 분산, 왜곡도 및 첨예도)를 산정한 후 3변수 Gamma 분포 계열인 GEV, GLO, GPA의 확률 분포를 적용하였다. 확률 분포별 매개변수는 전산화를 통해 L-모멘트의 차수를 0~4까지 변화시켜 LH-모멘트법에 적용하였다. LH-모멘트법에 의해 산정된 확률 분포들의 매개변수를 적용하여 적합도 검정을 수행하였다. 지역빈도분석을 위해 36개 수위관측소를 K-Means clustering 방법을 통해 4개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통해LH-모멘트의 적정차수와 확률 분포에 따른 점빈도분석(지점 대상)과 지역빈도분석(지역 대상) 결과인 설계홍수량을 산정하였으며, 점빈도분석과 지역빈도분석에 의해 산정된 설계홍수량간의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리구조물 설계 시 안정적인 조건 제시 및 관리체계 구축에 기여하고 방재대책 수립 시 경제·사회적 요소를 반영한 합리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Social Diversity and Quality of Life among People Living in Seoul: An Application of Multilevel Model (도시의 사회적 다양성이 서울시민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다수준모형을 활용하여 -)

  • Choi, Hee-Yong;Seo, Eun-Hye;Jun, Hee-Jung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6 no.1
    • /
    • pp.69-88
    • /
    • 2020
  •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attention to social diversity within communities.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social diversity is positively related to social trust and social capital that are intimately related to quality of life. Because of the controversy on social segregation that is an opposite concept of social diversity and is a factor negatively affecting quality of life, more studies on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diversity and quality of life should be undertaken. This study employs a multilevel model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capital and quality of life. We analyzed the association using both the pooled sample and samples splitted based on social class. The empirical result shows that the occupational diversity positively affects quality of life while the income diversity negatively affects quality of life. These results provide useful policy implications for setting urban policy directions.

A SEQUENTIAL LAND USE / TRANSPORTATION MODEL WITH EXTERNALITIES : LINKING THE DYNAMICS OF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URBAN SPATIAL STRUCTURE (도시토지이용과 교통에 관한 연속적 모형 : 지역경제성장과 도시공간구조와의 동태적 접근)

  • 서종국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3 no.2
    • /
    • pp.19-42
    • /
    • 1995
  • 1980년대 후기부터 교통정책의 우선 목표는 지역경제성장 자체가 교통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종래의 관리 중시의 정책은 다시 토지이용 정책으로 변화를 초래하엿다. 오늘날 대도시는 개개 졍제활동 주체들의 동적인 경제 행태에근거하여 분산구조를 띠고 있다. 이러한 동적인 경제행태에 미치는 요소들은 교통체계와 토지이용과 상호연관성의 연구에 필수적인 지가, 인구분포, 통행행태등이다. 그러나 전통적인 단핵도시 모형은 대도시의 분산구조형태의 동적인 과정을 설명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대도시의 변천과정을-도심 및 부심의 출현·소멸현상-설명함으로써 도시교통정책 필수적인 입지와 통행패턴에 대한 새로운 동태적 이론의 기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지역경제 성장과 도시공간구조와의 동태적관계를 통합하는 토지이용과 교통의 연속 모형을 개발·응용하였다. 개발된 모형에서는 교통량에 따른 교통비용, 도시공간구조로 인한 외부효과들, 경제활동주체들의 비동질성, 이주비용, 그리고 집적 이익등이 매기마다 내생적으로 결정되어 대도시의 공간구조 변화를 설명한다. 경제 호라동주체들간의 ? 호물리적 교류는 소득 증대에 의하여 경제구조가 변함에 따라 새로이 결정된다. 가상적 도시와 자료를 가지고 실험한 결과 비동질적인 경제주체들의 불균형적 성장이 장기적으로 도시구조에 영향을 미치며, 기본적인 경제행위에 따라 장기동태적인 과정을 통하여나타나는 도시의 분산구조형태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교통비용의 변화에 따른 민감도분석을 통하여 모형의 실용성을 검정하였다.

  • PDF

A Historical-Geographical Identification of East Asia as a Cultural Region (동아시아 문화지역의 역사-지리적 설정)

  • Ryu, Je-Hu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2 no.5
    • /
    • pp.728-744
    • /
    • 2007
  • In East Asia, regional identity can be expected to obtain popular consent more successfully when it is firmly based on historical-geographical reality.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pply a broadened concept of place to the identification of East Asia as a cultural region. Cultural mixture within places at various scales, rather than cultural integration across those places, would give greater coherence to East Asia as a cultural region. This cultural mixture varies from one place to another, depending on the relative position in power relations. It could appear in the form of either domination or resistance, and even entanglement. The concept of a "mountain as a contested place" is proposed as an experimental effort to search for the basis for cultural identity within East Asia. This concept of place should be extended to the individual studies of such spatial units as houses, gardens, villages and cities. These individual studies, if accumulated, would result in improved theories of East Asia as a region that has a distinct cultural identity in historical-geographical terms.

Regional Frequency Analysis using Nonparametric Kernel Function (비매개변수적 Kernel Function을 이용한 지역빈도해석)

  • Moon, Young-Il;Oh, Tae-Suk;Kim, Jong-Suk;Jeong, Min-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492-1496
    • /
    • 2006
  • 수공구조물의 설계에 있어 가중 중요한 변수 중에 하나가 확률 강우량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매개변수적인 지점빈도해석을 통해 확률 강우량을 산정하고 있으나, 최근 들어 지점별 관측자료의 부족으로 인한 지역빈도해석을 수행하여 확률강우량을 산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Index Flood 기법이나 L-moment 기법과 같은 기존의 지역빈도해석은 여러 관측 지점에서 관측된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매년최대 시간강우량 자료를 추출하여 동질성 분석을 통해 이질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된 연최대 강우량을 빈도해석 하여 확률 강우량을 결정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지역빈도해석은 매개변수적 지점빈도해석과 마찬가지로 적합도 검정에 통과한 다수의 분포형이 선정되는 경우에 어떤 분포형을 사용하느냐 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선정된 여러 강우 관측 지점의 연최대 강우량 자료에 모두 동일한 확률 분포형을 이용하므로 선정된 확률 분포형이 모든 지점의 강우 자료와 적합하지 못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또한 수문자료가 여러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복합분포(mixed distribution)형태를 가질 때, 매개변수적 해석방법으로는 다중 첨두를 갖는 확률밀도함수를 해석하는데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이러한 매개변수적 확률분포형을 이용한 빈도해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비매개변수적 빈도해석이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자료의 선별을 통해 신뢰성 있는 자료를 구축하고, 기존의 매개변수를 갖는 확률 분포형을 이용한 지역빈도해석을 적용하여 확률 강우량을 산정하였다. 그리고 동질성분석을 통해 선정된 강우자료에 대해 비매개변수적 지역빈도해석을 적용하여 확률 강우량을 산정하고 각각의 방법에 대한 빈도해석 결과를 비교하여 확률강우량 해석에 있어 하나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X>${\mu}_{max,A}$는 최대암모니아 섭취률을 이용하여 구한 결과 $0.65d^{-1}$로 나타났다.EX>$60%{\sim}87%$가 수심 10m 이내에 분포하였고, 녹조강과 남조강이 우점하는 하절기에는 5m 이내에 주로 분포하였다. 취수탑 지점의 수심이 연중 $25{\sim}35m$를 유지하는 H호의 경우 간헐식 폭기장치를 가동하는 기간은 물론 그 외 기간에도 취수구의 심도를 표층 10m 이하로 유지 할 경우 전체 조류 유입량을 60% 이상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다.심볼 및 색채 디자인 등의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들을 고려한 인터넷용 GIS기본도를 신규 제작한다. 상습침수지구와 관련된 각종 GIS데이타와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정보 가운데 공간정보와 연계되어야 하는 자료를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단계별 구축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상습침수구역관련 정보를 검색, 처리 및 분석할 수 있는 상습침수 구역 종합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토록 하였다.N, 항목에서 보 상류가 높게 나타났으나, 철거되지 않은 검전보나 안양대교보에 비해 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있어서 시장수익률을 평균적으로 초과할 수 있는 거래전

  • PDF

The Implications of Global Citizenship and Regional Identity in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Field of Geographical Education (다문화사회에서 세계시민성과 지역정체성의 지리교육적 함의)

  • Park, Seon-Heu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5 no.4
    • /
    • pp.478-493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global citizenship and regional identity in geographic educ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Geographical education inquires into places and region on local, regional, national and global scales. Geography studies geographical representation of ethnical, cultural, political diversities of human societies. Therefore geography is a very proper subject for multicultural education. Geography has also inherent legitimacy 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viewpoints that space or region has valued inherent nature which is constructed by human experience, perception and response etc. Citizenship in multicultural education requests some abilities and attitudes of world citizens superior to state or nation oriented citizenship. However the education of world citizenship doesn't mean abandonment of regional identity in geographical education. Citizenship is based on geographical units which have their territories. Regional identity is the feeling of belonging as a member of a certain region, and is formed not only by race, ethnic, gender, political and social position but also by thought of nature, landscape, national identity, regional dialect, and historical context, etc. The regional identity in multicultural society means the homogeneity which includes the heterogeneity of diverse groups, and has a key which solves the conflicts of diverse groups in the region. Consequently multicultural education in geography would focus on the cultivation of regional identities which are founded on critical thinking to solve the conflicts of multicultural society. The geographic education in multicultural society would rather emphasize on region than on race or nation, and can integrate the global vision of world citizenship with the diverse viewpoi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