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역응급의료센터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34초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음독환자의 약물중독 분석 (The Analysis of Acute Drug Intoxication in Emergency Medical Center)

  • 이태용;김선예;조병준;박정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750-757
    • /
    • 2010
  • 본 연구는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음독환자의 발생현황 및 중독학적 특성이 거주 지역 및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5개 병원 응급의료센터의 의무기록을 2007년 1월 1일부터 2007년 12월 31일까지 조사하였다. 총 624명 내원 환자 중에서 65세 이상 노인음독환자를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중독 원인물질이 농약인 경우가 농촌지역 노인군에서 도시지역 노인군보다 높았으며, 성별 분포, 동거가족 유무, 질병력, 자살기왕력, 내원시 의식 상태, 내원시 음주 상태 등에는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농약 중독은 사망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수로 농약의 판매와 관리에 대한 새로운 지침 마련이 절실히 요구된다. 또한 지역과 연령 특성을 고려한 자살방지 프로그램의 활성화와 중독예방 교육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의료취약지역 응급실 전담간호사 근무환경이 근무 불만족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Effect of the Working Environment of Nurses Working in Emergency Departments in Medically Vulnerable Areas on Work Dis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 양희정;이진희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4-34
    • /
    • 2021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work dis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for dedicated nurses working in emergency departments of vulnerable areas of health c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isk factors related to the working environment that influence job dis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turnover among dedicated nurses working in emergency rooms in areas of medical vulnerability. Methods: We conducted a survey of nurses working in emergency rooms in vulnerable areas of medical care,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two consecutive years.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working environment variable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work environment dis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s dependent variables, respectively. Results: The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both dissatisfactions with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urnover intention at the current institution were age, overlapping work in other departments, and the total work experience of nurses. Annual salary, the average number of double-duty (continuous work) per month, type of work, and work experience of nurses at the current institu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dissatisfaction with the working environmen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ought to be of great help if the government takes reference when establishing medical policies in vulnerable areas in the future.

일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자살시도 환자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a Suicide Attempt Patients Admitted to an Emergency Medical Center)

  • 한예진;정홍량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9-170
    • /
    • 2015
  • 본 연구는 2013년 7월부터 2014년 6월까지 충남 S지역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자살시도환자 의 의무기록을 기반으로 한 일반적 특성, 응급진료결과 등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성별, 연령별, 자살시도환자의 전원율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망률은 남성과 여성의 비율이 비숫하게 나타났고,연령에 있어서는 30-39세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살률을 낮추기 위한 연령대에 맞는 효율적인 자살예방프로그램의 정책적 도입을 통하여 공중보건비용을 줄이는 사업계획에 활용하고자 한다.

  • PDF

전남지역 재난의료대응 유관기관 재난의료대응 지식, 인식 및 교육 요구도 차이 분석 (The difference in knowledge, awareness, and educational demand about disaster medical response-related institutions in Jeollanam-do)

  • 박명희;정은경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1-36
    • /
    • 2022
  • Purpose: This descriptive research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and perception of the natural disaster medical system by relevant disaster medical response teams in Jeonnam region, and provide baseline data for a disast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analysis of priorities of educational demand. Methods: Onlin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00 research participants including paramedics from five fire stations in J province, 22 public health centers, two disaster base hospitals, ERU (Emergency Response Units), and DMAT (Disaster Medical Assistance Team). The questionnaires elicited basic information about respondents, their knowledge and perception on disaster preparation and response, cooperation system, and educational and training needs. Results: The top priority items selected were: other disasters for paramedics, first aid for the rapid response team, and command system for DMAT. Conclusion: Customized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must be developed to suit each organizational need. Detailed operational guidelines must be established and with them a unified educational curriculum should be put into practice.

Nurses awareness of paramedics and their opinions on a paramedic's proper duties in emergency medical centers

  • KIM, Yong-Seok;KANG, Hyo-Young;KIM, Jin-Wo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159-168
    • /
    • 2020
  • 본 연구는 전국 권역·지역응급의료기관 내 경력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1급 응급구조사에 대한 인지와 적정 업무에 대한 의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설문문항은 총 61문항으로 일반적인 사항, 응급의료센터에서의 1급 응급구조사에 대한 인식, 1급 응급구조사의 업무 관련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SPSS21.0 version을 통해 빈도 분석과, 분산 분석 등의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응급의료기관 내 1급 응급구조사 업무에 대한 긍정적인 의견은 33개의 문항에서 나타났다. 또한 응급의료기관 내 1급 응급구조사의 필요성과 업무의 중요성 그리고 전문성 및 증원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인 의견이 높게 나타났으며, 집단 간 차이는 없었다.

A Study on the Injury Charateristics of Trauma Patients by Madical information -Focused on the Patients in a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in Gwangju

  • Jeun, Young-J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1호
    • /
    • pp.239-244
    • /
    • 2020
  • 본 연구는 광주지역 권역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환자의 의료정보를 기초로 외상의 중등도별 특성 분석을 통한 손상발생의 위험요소를 파악하여 손상예방대책을 위한 보건예방정책 제언 및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9년 9월 1일부터12월 31일까지 4개월간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258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손상외인 관련성을 연구의 통계학적 분석을 위하여 SPSS-Window(ver. 20.1)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손상 환자 중 전체 2585명 환자에서 성별은 남성(61.3%)이 여성(38.7%)보다 더 많았으며, 20대에서 50대까지의 연령층에서 발생률이 높았으며 중증도를 감안하면 50대(16.8%)의 연령층이 가장 많았다(P<.001). 둘째, 중등도에 따른 손상외인의 발생장소로는 도로 및 교통지역(35.1%)이 가장 높았다(P<.001). 셋째, 중등도에 따른 손상발생의 시간은 12-18시(35.8%)로 높았다(P<.001). 넷째, 중등도에 따른 손상부위는 두부 및 안면부(55.4%)에서 가장 높았다(P<.001). 다섯째, 중등도에 따른 손상 유형은 열린상처(31.2%)에서 높았다(P<.001). 향후 손상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로 외상환자 등 중증도별 특성에 따라 구체적인 보건예방정책 수립이 요구된다.

부산 지역 응급의료정보센터를 통한 산모와 신생아 전원에 대한 연구 (Analysis of Maternal and Neonatal Transport by the 1339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Center in Busan Area)

  • 김미진;이명철;유재호;김묘징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1호
    • /
    • pp.137-142
    • /
    • 2011
  • 목적: 산모와 신생아 환자의 응급 진료는 치료의 특수성 때문에 치료할 수 있는 의료 기관 및 자원이 한정적이며,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한다. 이에 저자들은 부산 지역 1339 응급의료 정보 센터를 통해 산모와 신생아 환자의 전원 상태를 조사하고, 주산기 의료 전달 체계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9년 1월 1일부터 2009년 12월 31일까지 부산 지역 1339 응급 의료 정보 센터 전산 시스템에 입력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전원이 의뢰된 산모 378명과 신생아 136명을 대상으로 전원 성공률, 전원 결정까지 접촉한 의료 기관 수 및 소요 시간, 전원 이유, 전원 거절 이유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산모는 전원 성공률이 65.5%였고, 전원 결정까지 접촉한 의료 기관은 2.7개, 소요 시간은 평균 24.4분(11.3-29.8분)이었다. 전원을 의뢰한 이유는 미숙아 분만이 가장 많았고, 전원이 거절된 이유는 의료진 부족, 의료 장비 부족, 병상 부족 순이었다. 신생아는 전원 성공률이 71.3%였고. 전원 결정까지 접촉한 의료 기관은 2.4개, 소요 시간은 평균 15.6분(7.9-21.3분)이었다. 전원을 의뢰한 이유는 호흡기 증상이 가장 많았고, 전원이 거절된 이유는 병상 부족, 의료 장비 부족, 의료진 부족 순이었다. 결론: 응급 의료 정보 센터를 통해 많은 산모와 신생아가 전원되나 전원 성공률은 높지 않았다. 산모와 신생아 환자에 대한 주산기 진료 체계의 적정성 평가와 함께 앞으로 통합적이고 지역화된 주산기 의료 전달 체계의 구축을 위해서는 국가적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겠다.

응급의료센터 환자의 내원 정보 및 실태 분석 (Analysis of Arrival Information and Status of the Patients in Emergency Department)

  • 이삼범;도병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277-282
    • /
    • 1999
  • 1998년 4월 1일부터 7일까지 1주일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응급의료센터를 방문하는 환자 464명을 대상으로 응급 환자 조사 대장을 작성하여 환자의 일반적인 정보 내용과 현황에 대하여 전향적으로 조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 기간중 내원 환자수는 일 평균 66.3명이었으며, 대기 환자수는 평균 17.3명으로 당일 총진료 환자수는 83.6명이었다. 2. 내원 방법은 걸어서 내원한 환자가 57.3%로 가장 많았고, 교통편은 자가용이 58.0%, 구급차가 26.3%였으며, 발생 장소는 거주지가 85.3%로 가장 많았고, 지역별로는 대구 지역이 81.5%였다. 타 병원을 경유하여 내원한 환자는 2.6%, 직접 내원한 환자는 97.4%였다. 3. 내원 원인 분류상 질환이 74.6%로 가장 많았고, 사고 환자가 71명(15.3%)이었으며 이중 교통 사고가 49명(10.6%)을 차지하였다. 4. 진료를 의뢰한 임상과는 내과가 26.6%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소아과 16.8%, 정형외과 8.6%, 신경과 8.2%, 신경외과 7.8% 순으로 많았으며 응급의학과를 포함한 기타 과는 8.2%를 차지하였다. 5. 진료 결과 입원이 38.4%, 퇴원이 61.0%, 도착시 사망 환차가 0.6%였으며 타 병원으로의 전원은 1례도 없었다. 결론적으로 3차 의료기관의 응급의료센터에서의 진료는 질병 환자 중심의 진료와 당일 진료후 퇴원가능한 경한 환자 중심의 "fast tracking"을 이용한 신속한 진료 및 외상 환자 및 중환자 중심의 진료 등의 다원적인 진료 형태가 요구되며 이러한 진료형태의 개발과 확립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일 권역응급의료센터를 방문하는 요양병원 환자들의 특성 및 사망 위험요인 (Characteristics and Mortality Risk Factors in Geriatric Hospital Patients visiting One Region-wide Emergency Department)

  • 김경완;장숙랑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27-336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mortality risk factors of geriatric hospital patients who visited one region-wide emergency department (ED). It's basically meant to develop criteria for the patient management of geriatric hospitals and to provide related information. Methods: A retrospective research study was implemented us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The subjects in this study included 484 geriatric hospital patients who were selected from among 15,994 patients that visited one region-wide ED between January 1, 2014, and December 31, 2015.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ath, a change for the better and no change for the better, which were results of treatment, according to the length of stay in hospital, hospitalization in a general ward, not having an operation or surgery, the presence or absence of malignant neoplasm, the insertion of foley catheter, intubation, ventilator and the insertion of central venous catheter.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patient management system is necessary in geriatric hospitals and that competent healthcare workers who can properly respond to emergencies are required as 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