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역애착도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4초

가상관광체험이 현장여행의도에 미치는 영향 -행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Virtual Tour Experience on Actual Travel Inten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Happiness)

  • 이위가;왕악준;유자양
    • 지능정보연구
    • /
    • 제29권1호
    • /
    • pp.65-78
    • /
    • 2023
  • 본 연구는 지역 애착 이론을 기반으로 가상 애착을 통해 관광객의 가상 관광 경험을 현장 관광 의지로 전환하는 방법을 탐색하고 행복의 조절 역할을 탐구한다. 관광 능력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현장 관광 의향 모델을 구축했다. SPSS 24.0 와 AMOS 24.0 등의 분석 도구를 통해 분석한다. 우리는 가상 경험이 지상 여행에 대한 의지로 전환될 수 있는지, 행복이 가상 관광 경험에 대한 가상 애착을 어떻게 조절하는지 탐구하기를 희망합니다. 그 결과 가상여행경험과 가상 애착의 관계는 행복감에 의해 조절되고, 가상 애착은 장소 애착(장소의존성 및 장소정체성)과 양(+)의 관계가 있으며, 장소 애착은 실제 여행의도와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관광객과 관광지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관광의 발전을 위한 참고 자료와 제언을 제시한다.

지역전통음식의 관광상품으로서 이미지, 애착이 장기지향성 및 행동의도간 구조적 관계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mage, attachment, long-term orienta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as a tourism product of local traditional food)

  • 서경도;이정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75-83
    • /
    • 2021
  • 본 연구는 음식관광상품의 이미지, 애착이 장기지향성 및 행동의도간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여 분석결과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비확률추출법의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였으며 설문조사는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라북도, 전라남도에 거주하고 있으며 지역전통음식을 경험한 고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방법은 주 연구자의 지인과 관련 전문가들을 협의 및 활용하여 조사대상자를 선정 후 우편 및 이메일로 발송·회송하는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25.0, AMOS25.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검증결과, 음식관광의 이미지와 애착간의 관계, 전통음식의 애착은 장기지향성간의 관계, 전통음식의 애착은 행동의도간의 관계는 유의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넷째, 전통음식의 장기지향성은 행동의도 관계의 연구목적에 따른 가설설정의 관계에서 유의한 정(+)의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음식을 하나의 자원으로서 활성화시키기 위해선 음식자체의 이미지를 좋게 하는 것은 애착, 장기지향성, 행동의도에 미치는데 긍정적 역할한다는 것을 재확인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론연구를 기반으로 실증적 연구를 한 것은 긍정적이나. 설문조사의 편의추출과 지역적 한계로 조사되었기에 일반화를 하는데 많은 무리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것을 보완하여 주기적, 전국단위의 연구조사가 필요하다.

도시재생사업 인지도가 장소애착에 미치는 영향 - 청주시 중앙동 도시재생사업 대상지를 중심으로 - (Impacts of Awarenes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on place attachment : Focused on Urban Regeneration project of Jungang-dong in Cheongju)

  • 오후;장인수;황희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643-654
    • /
    • 2016
  • 도시재생(Urban Regeneration)은 지역의 경제적 발전과 활성화 도모를 궁극적 목표로 한다. 도시재생사업의 목표달성과 지속적 운영을 위해서는, 그 장소를 찾는 사람들의 인식을 살펴야 하며 이러한 인식은 그 장소에 많은 관심과 방문을 유도함으로써 지역 활성화 등의 실현수단이 되는 장소애착(place attachment)으로 대변된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을 진행 중인 청주시 중앙동을 중심으로 물리적 환경과 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도를 측정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인지도가 장소애착 형성에 영향을 주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용객은 도시재생사업 요인을 인지함으로써 '나는 이곳에 오래 머무르고 싶다', '나는 현재 장소의 모습이 바뀌면 그리울 것이다'라는 장소애착을 형성하지만 '이곳은 다른 곳과 차별적이다'라는 장소애착은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물리적 환경과 활동 프로그램을 동시에 반영하고 보다 풍부한 이용객의 심리를 형성하는 도시재생사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근린공간으로서 도심지 쌈지공원의 이용행태와 장소애착에 관한 연구 - 수도권 지역의 한평공원 및 한뼘공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Usage Behaviors and Place Attachment of Urban SSamji Park as a Neighborhood Space - Focused on Hanpyeong Park and Hanpyeom Park located in Capital Area-)

  • 박훈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707-722
    • /
    • 2019
  • 근린의 개념은 근현대사를 거치며 우리사회에 지역사회를 조성하기 위한 원리로 활용되어 왔으며, 물리적 시설을 중심으로 하는 근린의 개념은 역할과 의의에 관해 꾸준히 논의 되어왔다.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쌈지공원은 근린시설로서 재생을 통한 환경의 개선과 이를 통한 지역 공동체의 확보에 역할을 하였으며, 수도권지역에 조성된 한평공원 및 한뼘공원 총 72개의 답사 조사를 통해 계획적 의의와 함께 설문조사를 통해 쌈지공원 주변 거주민과 이용자의 이용성 및 장소애착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집단별로 공원에 대한 장소애착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오늘날 공급되는 주거의 주된 유형의 차이가 생태적 공간을 경험하고자 하는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교육수준에 따라 집단별로 공원에 대한 장소애착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이용자의 이용행태에 따라 집단별로 공원에 대한 장소애착에 차이가 존재하며 이는 이용회수, 체류시간 등에 따른 구체적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관광목적지의 자원매력, 오락적 체험, 러브마크, 애착 간의 구조적 관계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resource attraction, entertainment experience, love mark and attachment in tourist destination)

  • 서경도;이정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261-268
    • /
    • 2022
  • 본 연구는 관광목적지의 자원매력, 오락적 체험, 러브마크, 애착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여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제시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각의 연구개념에 대해 이론연구를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도출 후 실증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인구비례표본출로 전국단위로 비대면 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연구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25.0과 AMOS25.0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론연구와 실증연구로 나타난 연구결과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관광목적지의 자원매력은 관광객의 체험간 영향 관계는 정(+)의 관계를 맺고 있었다. 체험과 러브마크와의 영향 관계는 정(+)의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체험과 애착 간의 관계에서도 정(+)의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그러나 러브마크와 애착 간 관계는 유의한 관계를 형성하지 않고 있었다. 관광목적지의 자원매력, 오락적 체험, 러브마크, 애착 간에 긍정적이며 유의한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선 지역적 특성이 그대로 투영된 만큼 지역적 정서, 의미, 그 외 많은 그것이 함께하고 있다. 관광자원으로서 새로운 자원의 관광행동을 위한 목적도 있지만, 지역적 색(色)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지역문화, 역사 유용한 자료이기에 보호, 보존 및 적극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설문조사의 인구통계적 특성을 기준으로 표본으로 전국단위로 연구가 되었으나 연차적인 조사로 관광객 특성의 변화가 요구된다.

지역주민의 환경축제 충성도와 그 영향요인 간의 인과관계 - 함평나비축제를 중심으로 - (The Causality among Residents' Loyalty to an Environmental Festival and Its Influential Factors: With Special Reference to Hampyung Butterfly Festival)

  • 이경진;송명규
    • 환경영향평가
    • /
    • 제23권5호
    • /
    • pp.337-352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대표적 환경축제인 함평나비축제를 대상으로 환경축제가 지역주민의 충성도 제고라는 측면에서 지향해야 할 방향과 과제를 모색하는 것이다. 이에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애착도와 같은 축제의 외생적 요인과 축제의 경제 효과, 개최자와 지역주민 간의 의사소통, 그리고 지역주민의 축제 참여의사 같은 내생적 요인이 축제의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과 경로를 구조 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애착도, 참여의사, 의사소통은 축제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이 중 애착도는 충성도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며, 만족도는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본 연구의 가설은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다만 경제 효과는 연구가설과는 달리 만족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충성도에 미치는 총 영향력은 애착도, 의사소통, 참여의사 보다 만족도가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충성도 제고를 위해서는 원천적으로 애착도 제고, 의사소통 활성화, 참여의사 제고가 긴요하겠지만 이는 장기적으로 꾸준히 추진해야 할 과제일 것이며 단기적으로는 무엇보다도 만족도 제고에 노력하여야 한다.

의복관여도 요인이 브랜드 애착과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지역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을 중심으로- (Effects of Clothing Involvement on Brand Attachment and Brand Loyalty -With Special Reference to Chinese College Students in Busan-)

  • 진창;이영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73-184
    • /
    • 2010
  • 현재 중국인들의 생활수준은 점점 향상하고 있으며 최근에 한국에 유학하러 오는 중국학생도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이들의 의복관여도에 따른 브랜드애착 및 브랜드충성도간의 차이를 알아보는 연구는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에 거주하는 중국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패션제품에 대한 의복관여도 요인이 브랜드애착과 브랜드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밝혀보고자 한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의복관여도 요인으로는 유행성, 인상향상, 계획성, 무관심, 그리고 선택성 5가지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브랜드 애착 요인으로는 브랜드 과시, 브랜드 중시, 브랜드 자부심 3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2. 의복관여도 요인들은 브랜드 애착 요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브랜드 애착은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의복관여도는 브랜드 애착을 경유하여 간접적으로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여성의 애착, 외상 후 성장 및 자기실현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Post-traumatic Growth, and Self-realization of Middle-aged Women)

  • 김옥희;김연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507-517
    • /
    • 2016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이들이 경험하는 외상사건의 유형과 특성을 살펴보고 이들이 외상 후 성장과 자기실현을 이루는 과정에서 애착이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 경기지역의 중년여성 221명이었고 설문지는 외상경험 질문지, 애착 척도, 외상 후 성장 척도, 자기실현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중년여성의 외상경험 유형과 특성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계수와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주요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가까운 사람의 상실(사망, 이별, 이혼, 실연, 절교)이 중년여성들에게 일반적이고, 가장 큰 위기 사건으로 보고되었고, 둘째, 애착, 외상 후 성장, 자기실현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부 모안정애착, 영적변화는 인간성, 자기수용성의 하위변인을 제외한 모든 하위변인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조방정식 모형검증 결과, 애착이 외상 후 성장과 자기실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외상 후 성장이 애착과 자기실현을 매개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불안애착이 심리적 폭력 피해에 미치는 영향에서 관계중독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Relationship Addi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ous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Violence Victimization)

  • 송연주;최가연;박대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292-301
    • /
    • 2019
  • 본 연구는 성인 남녀가 지각한 불안애착이 심리적 폭력 피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불안애착과 심리적 폭력 피해 간의 관계에서 관계중독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도시 및 J지역에 거주하는 20~30대 성인 남녀 201명에게 불안정한 성인애착, 갈등책략 및 관계중독 척도를 실시하였고, 그 중 이성교제 경험이 없는 것으로 보고한 6명을 제외하고 195명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불안애착, 관계중독, 심리적 폭력 피해 간에는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불안애착이 심리적 폭력 피해에 미치는 영향에서 관계중독은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불안애착이 관계중독을 통해 심리적 폭력 피해로 이어질 수 있음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시사점을 제공함으로써 연인과의 데이트 시 심리적 폭력 경험자의 특성을 이해하고 폭력 피해 감소를 위한 상담 개입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청소년의 또래 애착 영향 요인 탐색 (Exploring Influence Factors for Peer Attachment in Korean Youth Based on Multi-Layer Perceptron Artificial Neural Networks)

  • 변해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209-214
    • /
    • 2017
  • 본 연구는 다층 퍼셉트론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중학생의 또래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2016년 지역아동센터의 아동패널조사에 참여한 중학교 3학년 재학생 419명(남 210명, 여 209명)을 분석하였다. 종속변수는 또래애착 여부로 정의하였고, 설명변수는 성, 학업 성적 만족도, 주관적 가구경제수준, 학교생활에 대한 부모-자녀대화 빈도,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증상, 자아존중감, 주관적 생활 만족도, 휴대전화의존도를 포함하였다. 또래애착의 예측 요인은 다층 퍼셉트론 인공신경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울증상, 성, 학교생활에 대한 부모-자녀 대화 수준, 주관적 가구 경제수준, 주관적 건강상태는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관련이 높은 요인이었다. 청소년기의 성공적인 사회관계 형성을 위해서 또래 애착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고려한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