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1. 연구모형
그림 2. 경쟁모형
그림 3. 최종모형
표 1. 측정변인 간 상관, 평균, 표준편차
표 2.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의 적합도 지수 비교
표 3. 최종모형의 경로추정치
표 4. 간접(매개)효과 검증 결과
References
- M. A. Straus, "Prevalence of Violence Against Dating Partners by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Worldwide," Violence Against Women, Vol.10, pp.790-811, 2004. https://doi.org/10.1177/1077801204265552
-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여성대상 폭력에 대한 연구,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을 중심으로, pp.251-331, 2016.
- 세계일보, "작년 데이트폭력으로 16명 숨져" '이별살인' 이제 현실…가해자 처벌은?, 2018년 03월 29일.
- 최예슬, 데이트폭력 범죄억제를 위한 범죄 및 심리학적 고찰: 신고율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박경은, "결혼적령기 남성의 심리적 데이트폭력 경험," 상담학연구, 제18권, 제4호, pp.409-430, 2017. https://doi.org/10.15703/KJC.18.4.201708.409
- 곽성정, 우정희, 김남이, "성인여성의 성인애착, 책임귀인, 자아존중감이 친밀한 관계의 심리적 폭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9권, 제1호, pp.75-84, 2018. https://doi.org/10.15207/JKCS.2018.9.1.075
- M. Kasian and S. L. Painter, "Frequency and severity of psychological abuse in a dating population,"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Vol.7, No.3, pp.350-364, 1992. https://doi.org/10.1177/088626092007003005
- J. E. Stets, "Verbal and physical aggression in marriag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pp.501-514, 1990.
- 서울경제, '데이트 폭력' 20-30대가 58%…최근 10년간 재범률 77% 달해, 2016년 03월 06일.
- Y. J. Ha and M. K. Seo, "A Study of Perception and Experiences of Dating Violence,"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Vol.30, No.4, pp.79-103, 2014.
- 손문숙, 조재연, 데이트폭력 피해 실태조사 결과와 과제, 한국여성의전화, 2016.
- C. M. Dardis, K. J. Dixon, K. M. Edwards, and J. A. Turchik, "An Examination of the Factors Related to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Among Young Men and Women and Associated Theoretical Explanations," A Review of the Literature, Trauma, Violence, & Abuse, Vol.16, No.2, pp.136-152, 2014.
- J. C. Babcock, N. S. Jacobson, J. M. Gttman, and T. P. Yerington, "Attachment, Emotional Regulation, and the Function of Marital Violence: Differences Between Secure, reoccupied, and Dismissing Violent and Nonviolent Husbands," Journal of Family Violence, Vol.15, No.4, pp.391-409, 2000. https://doi.org/10.1023/A:1007558330501
- J. Bookwala and B. Zdaniuk, "Adult attachment styles and aggressive behavior within dating relationships," Journal of Social & Personal Relationships, Vol.15, No.2, pp.175-190, 1998. https://doi.org/10.1177/0265407598152003
- D. G. Dutton, K. Saunders, A. Starzomski, and K. Bartholomew, "Intimacy-anger and insecure attachment as precursors of abuse in intimate relationship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24, No.15, pp.1367-1386, 1994. https://doi.org/10.1111/j.1559-1816.1994.tb01554.x
- J. E. Kesner, T. Julian, and P. C. McKenry, "Applications of attachment theory to male violence toward female intimates," Journal of Family Violence, Vol.12, No.2, pp.211-228, 1997. https://doi.org/10.1023/A:1022840812546
- A. M. Mauricio and B. Gormley, "Male Perpetration of Physical Violence Against Female Partners The Interaction of Dominance Needs and Attachment Insecurity,"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Vol.16, No.10, pp.1066-1081, 2001. https://doi.org/10.1177/088626001016010006
- J. H. J and K. H. Seo, "Relations of Parental Attachment and Clingingness in Dating Relat ionships to Dating Violenc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22, No.5, pp.209-229, 2015.
- 이승우, 남재성,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피해요인 검증 -가정폭력 노출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범죄심리연구, 제14권, 제4호, pp.53-72, 2018.
- 송영주, 장현아, "애착 외상과 데이트 폭력 피해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범죄심리연구, 제13권, 제1호, pp.111-140, 2017.
- 도한나, 아동기 학대경험이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피해에 미치는 영향: 부모애착과 낭만적 애착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제오복, 김병석, 최희철, "성인애착과 결혼만족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폭력과 희망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7권, 제6호, pp.453-473, 2016.
- 양승애, 서경현, "집착 성향과 대학생의 데이트폭력간의 관계: 경계선 성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제21권, 제10호, pp.315-336, 2014.
- D. L. Haynie, T. Farhat, A. Brooks-Russell, J. Wang, B. Barbieri, and R. J. Iannotti,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and victimization among US adolescents: Prevalence, patterns, and associations with health complaints and substance use,"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Vol.53, No.2, pp.194-201, 2013. https://doi.org/10.1016/j.jadohealth.2013.02.008
- G. Martin, 임금선 역, 좋은 것도 중독이 될 수 있다[When Good Things Become Addictions],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4(원전은 1990년에 출판).
- S. Peabody, Addiction to love: Over coming obsession and dependency in relationships, Celestial Arts, 2011.
- C. Hazan and P. R. Shaver, "Romantic love conceptualized as an attachment proc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2, pp.511-524, 1987. https://doi.org/10.1037/0022-3514.52.3.511
- 김진희, "대학생의 성인애착 유형과 이성관계: 관계중독, 친밀감 두려움, 대인관계 유능성 중심으로," 가족과 가족치료, 제25권, 제4호, pp.911-929, 2017.
- 김지연, 심혜원, "불안정 성인애착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이성관계 갈등해결 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2호, pp.73-100, 2016.
- 김하늘, 유제민, "성인애착, 유기도식 및 중독성격과 관계중독성 집착행동과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24권, 제9호, pp.485-507, 2017.
- 이계선, 정남운, "성인애착과 관계중독의 관계: 자기대상욕구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제29권, pp.31-57, 2013.
- D. G. Dutton, The abusive personality: Violence and control in intimate relation ships, New York: The Guilford Press, 1998.
- J. Pearson, "Relationship dependent women: Their views on symptoms and recovery," Virginia Counselors Journal, Vol.19, pp.3-13, 1991.
- 이혜원, 미혼여성의 데이트폭력 경험과 대인관계 문제, 우울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이윤연, 장현아, "아동기 외상과 데이트 폭력 피해의 관계: 유기도식과 관계중독의 이중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22권, 제2호, pp.191-209, 2017. https://doi.org/10.18205/KPA.2017.22.2.005
- 장시온, 관계중독, 자기 및 타인용서가 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영향,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R. C. Fraley, K. A. Brennan, and N. G. Waller, "An Item Response Theory Analysis of Self-Report Measures of Adult Attach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8, pp.350-365, 2000. https://doi.org/10.1037/0022-3514.78.2.350
- 정구철, "연인관계에서의 집착과 반추적 반응이 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1호, pp.479-490,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11.479
- 김성현, 친밀관계 경험 검사 개정판 타당화 연구: 확증적 요인분석과 문 항반응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R. J. Gelles and M. A. Straus, Intimate violence: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abuse in the American family, New York: Simon and Schuster, 1990.
- M. Straus, S. Hamby, Boney-McCoy, and D. Sugarman, "The revised Conflict Tactics Scales(CTS2)," Journal of Family, Vol.17, No.3, pp.283-316, 1996.
- 김정란, 대학생의 이성교제 중 폭력과 대처행동,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 P. Susan, Addiction to Love. Random house, Inc. New York, 2011.
- 우상우, 관계중독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이론적 모형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D. W. Russell, J. H. Kahn, R. Spoth, and E. M. Altmaier,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5, No.1, pp.18-29, 1998. https://doi.org/10.1037/0022-0167.45.1.18
- P. E. Shrout and N. Bolger,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Vol.7, No.4, pp.422-445, 2002. https://doi.org/10.1037/1082-989X.7.4.422
- S. G. West, J. F. Finch, and P. J. Curran,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56-75, Thousand Oaks: Sage, 1995.
- 김진화, "아동기 외상과 성인애착, 데이트 폭력의 관계," 모래놀이치료연구, 제6권, 제2호, pp.67-87, 2010.
- 서백임, 대학생 남녀의 성인애착, 심리적 통제성, 성역할 태도가 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박진희, 성인 애착과 데이트 폭력의 관계: 내현적 자기애와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손다슬, 성인애착과 데이트폭력 간의 관계: 관계신념과 책임귀인의 매개효과,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 최정환, 불안정 성인애착이 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영향: 자기애와 성적 자기애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허수진, 성인의 불안애착이 데이트폭력에 미치는 영향: 통제행동의 매개효과,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 K. Bartholomew and L. M. Horowitz, "Attachment styles among young adults: A test of a four-category mode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1, pp.226-244, 1991. https://doi.org/10.1037/0022-3514.61.2.226
- N. L. Collins and S. J. Read, "Adult attachment, working models, and relationship quality in dating coup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8, pp.644-663, 1990. https://doi.org/10.1037/0022-3514.58.4.644
- 이수현, 여대생의 대인불안, 대인관계유형, 낭만적애착유형과 관계중독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김세광, 홍혜영, "내현적 자기애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곤란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8호, pp392-407,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8.392
- 이정은, 폭력적 데이트 관계 지속에 관한 투자모델의 타당성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J. M. Gottman and R. W. Levenson, "The timing of divorce over a 14-year period,"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62, No.3, pp.737-745, 2000.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0.00737.x
- 심희정, 서미아,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애착손상 및 상태-특성 불안이 부부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31호, pp.133-145,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