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diating Effect of Relationship Addi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ous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Violence Victimization

불안애착이 심리적 폭력 피해에 미치는 영향에서 관계중독의 매개효과

  • 송연주 (동신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 최가연 (동신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 박대순 (동신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Received : 2019.04.02
  • Accepted : 2019.04.29
  • Published : 2019.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xious attachment on psychological violence victimization and the role of relationship addi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ous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violence victimization. To do this, 201 adults between 20~30 years old who live in G city and J area were administered anxious attachment, relationship addiction, and psychological violence victimization scal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2.0 for correlational analys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for mediating effect validation was performed using AMOS 22.0. As a resul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anxious attachment, relationship addiction and psychological violence victimization. Also, the effects of relationship addiction on the relationship showed full mediation effect. This suggests that anxious attachment may lead to psychological violence victimization through relationship addiction. Through this study, a counseling intervention method which is helpful to clients who have psychological violence victimization is presented. Based on the study, finding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성인 남녀가 지각한 불안애착이 심리적 폭력 피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불안애착과 심리적 폭력 피해 간의 관계에서 관계중독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도시 및 J지역에 거주하는 20~30대 성인 남녀 201명에게 불안정한 성인애착, 갈등책략 및 관계중독 척도를 실시하였고, 그 중 이성교제 경험이 없는 것으로 보고한 6명을 제외하고 195명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불안애착, 관계중독, 심리적 폭력 피해 간에는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불안애착이 심리적 폭력 피해에 미치는 영향에서 관계중독은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불안애착이 관계중독을 통해 심리적 폭력 피해로 이어질 수 있음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시사점을 제공함으로써 연인과의 데이트 시 심리적 폭력 경험자의 특성을 이해하고 폭력 피해 감소를 위한 상담 개입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Keywords

CCTHCV_2019_v19n6_292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모형

CCTHCV_2019_v19n6_292_f0002.png 이미지

그림 2. 경쟁모형

CCTHCV_2019_v19n6_292_f0003.png 이미지

그림 3. 최종모형

표 1. 측정변인 간 상관, 평균, 표준편차

CCTHCV_2019_v19n6_292_t0001.png 이미지

표 2.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의 적합도 지수 비교

CCTHCV_2019_v19n6_292_t0002.png 이미지

표 3. 최종모형의 경로추정치

CCTHCV_2019_v19n6_292_t0003.png 이미지

표 4. 간접(매개)효과 검증 결과

CCTHCV_2019_v19n6_292_t0004.png 이미지

References

  1. M. A. Straus, "Prevalence of Violence Against Dating Partners by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Worldwide," Violence Against Women, Vol.10, pp.790-811, 2004. https://doi.org/10.1177/1077801204265552
  2.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여성대상 폭력에 대한 연구,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을 중심으로, pp.251-331, 2016.
  3. 세계일보, "작년 데이트폭력으로 16명 숨져" '이별살인' 이제 현실…가해자 처벌은?, 2018년 03월 29일.
  4. 최예슬, 데이트폭력 범죄억제를 위한 범죄 및 심리학적 고찰: 신고율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5. 박경은, "결혼적령기 남성의 심리적 데이트폭력 경험," 상담학연구, 제18권, 제4호, pp.409-430, 2017. https://doi.org/10.15703/KJC.18.4.201708.409
  6. 곽성정, 우정희, 김남이, "성인여성의 성인애착, 책임귀인, 자아존중감이 친밀한 관계의 심리적 폭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9권, 제1호, pp.75-84, 2018. https://doi.org/10.15207/JKCS.2018.9.1.075
  7. M. Kasian and S. L. Painter, "Frequency and severity of psychological abuse in a dating population,"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Vol.7, No.3, pp.350-364, 1992. https://doi.org/10.1177/088626092007003005
  8. J. E. Stets, "Verbal and physical aggression in marriag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pp.501-514, 1990.
  9. 서울경제, '데이트 폭력' 20-30대가 58%…최근 10년간 재범률 77% 달해, 2016년 03월 06일.
  10. Y. J. Ha and M. K. Seo, "A Study of Perception and Experiences of Dating Violence,"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Vol.30, No.4, pp.79-103, 2014.
  11. 손문숙, 조재연, 데이트폭력 피해 실태조사 결과와 과제, 한국여성의전화, 2016.
  12. C. M. Dardis, K. J. Dixon, K. M. Edwards, and J. A. Turchik, "An Examination of the Factors Related to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Among Young Men and Women and Associated Theoretical Explanations," A Review of the Literature, Trauma, Violence, & Abuse, Vol.16, No.2, pp.136-152, 2014.
  13. J. C. Babcock, N. S. Jacobson, J. M. Gttman, and T. P. Yerington, "Attachment, Emotional Regulation, and the Function of Marital Violence: Differences Between Secure, reoccupied, and Dismissing Violent and Nonviolent Husbands," Journal of Family Violence, Vol.15, No.4, pp.391-409, 2000. https://doi.org/10.1023/A:1007558330501
  14. J. Bookwala and B. Zdaniuk, "Adult attachment styles and aggressive behavior within dating relationships," Journal of Social & Personal Relationships, Vol.15, No.2, pp.175-190, 1998. https://doi.org/10.1177/0265407598152003
  15. D. G. Dutton, K. Saunders, A. Starzomski, and K. Bartholomew, "Intimacy-anger and insecure attachment as precursors of abuse in intimate relationship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24, No.15, pp.1367-1386, 1994. https://doi.org/10.1111/j.1559-1816.1994.tb01554.x
  16. J. E. Kesner, T. Julian, and P. C. McKenry, "Applications of attachment theory to male violence toward female intimates," Journal of Family Violence, Vol.12, No.2, pp.211-228, 1997. https://doi.org/10.1023/A:1022840812546
  17. A. M. Mauricio and B. Gormley, "Male Perpetration of Physical Violence Against Female Partners The Interaction of Dominance Needs and Attachment Insecurity,"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Vol.16, No.10, pp.1066-1081, 2001. https://doi.org/10.1177/088626001016010006
  18. J. H. J and K. H. Seo, "Relations of Parental Attachment and Clingingness in Dating Relat ionships to Dating Violenc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22, No.5, pp.209-229, 2015.
  19. 이승우, 남재성,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피해요인 검증 -가정폭력 노출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범죄심리연구, 제14권, 제4호, pp.53-72, 2018.
  20. 송영주, 장현아, "애착 외상과 데이트 폭력 피해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범죄심리연구, 제13권, 제1호, pp.111-140, 2017.
  21. 도한나, 아동기 학대경험이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피해에 미치는 영향: 부모애착과 낭만적 애착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22. 제오복, 김병석, 최희철, "성인애착과 결혼만족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폭력과 희망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7권, 제6호, pp.453-473, 2016.
  23. 양승애, 서경현, "집착 성향과 대학생의 데이트폭력간의 관계: 경계선 성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제21권, 제10호, pp.315-336, 2014.
  24. D. L. Haynie, T. Farhat, A. Brooks-Russell, J. Wang, B. Barbieri, and R. J. Iannotti,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and victimization among US adolescents: Prevalence, patterns, and associations with health complaints and substance use,"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Vol.53, No.2, pp.194-201, 2013. https://doi.org/10.1016/j.jadohealth.2013.02.008
  25. G. Martin, 임금선 역, 좋은 것도 중독이 될 수 있다[When Good Things Become Addictions],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4(원전은 1990년에 출판).
  26. S. Peabody, Addiction to love: Over coming obsession and dependency in relationships, Celestial Arts, 2011.
  27. C. Hazan and P. R. Shaver, "Romantic love conceptualized as an attachment proc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2, pp.511-524, 1987. https://doi.org/10.1037/0022-3514.52.3.511
  28. 김진희, "대학생의 성인애착 유형과 이성관계: 관계중독, 친밀감 두려움, 대인관계 유능성 중심으로," 가족과 가족치료, 제25권, 제4호, pp.911-929, 2017.
  29. 김지연, 심혜원, "불안정 성인애착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이성관계 갈등해결 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2호, pp.73-100, 2016.
  30. 김하늘, 유제민, "성인애착, 유기도식 및 중독성격과 관계중독성 집착행동과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24권, 제9호, pp.485-507, 2017.
  31. 이계선, 정남운, "성인애착과 관계중독의 관계: 자기대상욕구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제29권, pp.31-57, 2013.
  32. D. G. Dutton, The abusive personality: Violence and control in intimate relation ships, New York: The Guilford Press, 1998.
  33. J. Pearson, "Relationship dependent women: Their views on symptoms and recovery," Virginia Counselors Journal, Vol.19, pp.3-13, 1991.
  34. 이혜원, 미혼여성의 데이트폭력 경험과 대인관계 문제, 우울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35. 이윤연, 장현아, "아동기 외상과 데이트 폭력 피해의 관계: 유기도식과 관계중독의 이중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22권, 제2호, pp.191-209, 2017. https://doi.org/10.18205/KPA.2017.22.2.005
  36. 장시온, 관계중독, 자기 및 타인용서가 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영향,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37. R. C. Fraley, K. A. Brennan, and N. G. Waller, "An Item Response Theory Analysis of Self-Report Measures of Adult Attach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8, pp.350-365, 2000. https://doi.org/10.1037/0022-3514.78.2.350
  38. 정구철, "연인관계에서의 집착과 반추적 반응이 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1호, pp.479-490,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11.479
  39. 김성현, 친밀관계 경험 검사 개정판 타당화 연구: 확증적 요인분석과 문 항반응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40. R. J. Gelles and M. A. Straus, Intimate violence: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abuse in the American family, New York: Simon and Schuster, 1990.
  41. M. Straus, S. Hamby, Boney-McCoy, and D. Sugarman, "The revised Conflict Tactics Scales(CTS2)," Journal of Family, Vol.17, No.3, pp.283-316, 1996.
  42. 김정란, 대학생의 이성교제 중 폭력과 대처행동,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43. P. Susan, Addiction to Love. Random house, Inc. New York, 2011.
  44. 우상우, 관계중독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이론적 모형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45. D. W. Russell, J. H. Kahn, R. Spoth, and E. M. Altmaier,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5, No.1, pp.18-29, 1998. https://doi.org/10.1037/0022-0167.45.1.18
  46. P. E. Shrout and N. Bolger,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Vol.7, No.4, pp.422-445, 2002. https://doi.org/10.1037/1082-989X.7.4.422
  47. S. G. West, J. F. Finch, and P. J. Curran,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56-75, Thousand Oaks: Sage, 1995.
  48. 김진화, "아동기 외상과 성인애착, 데이트 폭력의 관계," 모래놀이치료연구, 제6권, 제2호, pp.67-87, 2010.
  49. 서백임, 대학생 남녀의 성인애착, 심리적 통제성, 성역할 태도가 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50. 박진희, 성인 애착과 데이트 폭력의 관계: 내현적 자기애와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51. 손다슬, 성인애착과 데이트폭력 간의 관계: 관계신념과 책임귀인의 매개효과,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52. 최정환, 불안정 성인애착이 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영향: 자기애와 성적 자기애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53. 허수진, 성인의 불안애착이 데이트폭력에 미치는 영향: 통제행동의 매개효과,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54. K. Bartholomew and L. M. Horowitz, "Attachment styles among young adults: A test of a four-category mode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1, pp.226-244, 1991. https://doi.org/10.1037/0022-3514.61.2.226
  55. N. L. Collins and S. J. Read, "Adult attachment, working models, and relationship quality in dating coup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8, pp.644-663, 1990. https://doi.org/10.1037/0022-3514.58.4.644
  56. 이수현, 여대생의 대인불안, 대인관계유형, 낭만적애착유형과 관계중독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57. 김세광, 홍혜영, "내현적 자기애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곤란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8호, pp392-407,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8.392
  58. 이정은, 폭력적 데이트 관계 지속에 관한 투자모델의 타당성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59. J. M. Gottman and R. W. Levenson, "The timing of divorce over a 14-year period,"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62, No.3, pp.737-745, 2000.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0.00737.x
  60. 심희정, 서미아,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애착손상 및 상태-특성 불안이 부부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31호, pp.133-145,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