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2초

아동복지시설 사례관리수행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hibiting Factors of Case Management in Child Welfare Facilities)

  • 김현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83-196
    • /
    • 2017
  • 본 연구는 주요 아동복지시설에서의 사례관리 수행정도 및 사례관리수행을 저해하는 요인 및 이를 보완해 줄 수 있는 요인들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181명, 아동보호전문기관 및 가정위탁지원센터 종사자 9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역아동센터의 경우 대인관계기술, 사례관리지침, 슈퍼비전, 네트워크 활용정도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타 아동복지시설의 경우 개인적 저해요인, 사회복지근무경력, 사례관리경력, 네트워크 활용정도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른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로는 종사자들의 대인관계기술을 증진시키고 슈퍼비전 체계를 강화시키며 명확한 사례관리수행 가이드 라인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또한 아동복지시설의 지역내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네트워크 내 기관들 간의 협력과 상호지지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지역아동센터의 정체성에 대한 관련 집단들의 주관적 인식유형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Related group's Concerning the Identity of Community Children Center)

  • 장지선;이영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400-8407
    • /
    • 2015
  • 본 연구는 Q 방법론을 적용하여 지역아동센터의 정체성에 대한 관련 집단들의 인식 유형을 분석하였다. Q진술문은 문헌연구와 심층면접을 통해 총 337개의 진술문을 수집하고, 최종적으로 23개의 Q진술문을 선정하였다. P표본은 지역아동센터 관련 집단에 속한 총 40명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QUANL PC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어, 제 1유형: 아동, 가정, 지역을 이끄는 기관, 제 2유형: 헌신과 사명감으로 운영하는 기관, 제 3유형: 가정을 보완하는 기관, 제 4유형: 체계적인 운영지원 표준화가 급선무인 기관으로 명명하였다. 지역아동센터의 정체성에 대한 관련종사자들의 인식유형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지역아동센터의 운영과 바람직한 방향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Factors influencing Job Performance of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 신희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786-796
    • /
    • 2013
  •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성과와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직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접근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직무성과와 관련 변수들의 특성과 변인들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임파워먼트 요인, 네트워크 요인, 직무특성 요인에 따라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직무성과와 각 관련 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각 단계마다 새로운 변수군을 투입하여 각 모델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리하여 변수들의 영향력, 유의미성, 모델 전체의 설명력 변화를 통하여 임파워먼트 요인, 네트워크 요인, 직무특성 요인 등의 변수들이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할 수 있었다.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지역사회서비스 연계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ervice Networking Experiences of Workers in Community Child Centers)

  • 김현주;현안나
    • 아동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03-119
    • /
    • 2011
  •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the service networking experiences of workers in community child centers and the impact of various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ir service networking experiences.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mailed to the all community child centers in the Kyungnam area, and the data thus collected from 128 worker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most study participants did in fact possess service networking experience; however, the frequency was relatively low and the types of agencies in which this networking experienced was gained were somewhat limited. The results from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being licensed social workers, the number of years in which a center had been operating, the numbers of workers and volunteers, the capacity of the centers, and workers' participation in work-related training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frequency of worker's networking experienc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practice in promoting service networking among community child centers and other community resources were also discussed.

지역아동센터 종사자가 인식한 센터아동의 신체활동 증진 장애요인과 개선방안 (Barriers and Improvements to Promoting Physical Activity among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Perspectives of Service Providers)

  • 박지영;황가희;조정현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09-121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barriers and improvements to promoting physical activity among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Methods: A qualitative research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was employed. Thre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18 service providers, and open-ended questions were used.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s they were spoken and transcribed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Two main themes in the barriers to promoting physical activity were 'lack of resources' and 'limitations of program composition'. In addition, five sub-themes emerged as a result of analysis: 1) lack of human resources, 2) lack of finance, 3) lack of space, 4) one-off and short-term physical activity programs, 5) learning-oriented program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adequate human resources and a realistic government subsidy that allow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to provide sufficient services to children. In addition, promoting physical activity can be achieved through physical activity programs focused on peer group advisors, habituation, and development of programs suited to the needs of children and their environment.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환경 및 직무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Work Environment and Work-related Stress on the Mental Health of Workers at a Community Childcare Center)

  • 박해선;박옥임;강희순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805-816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affect of work environment and work-related stress on the mental health of employees. It further sought to provide insights into how employees' work environment and mental health might be improved. Result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of work environment is related to the obsession, depression, working burden is related to the obsession, depression, concern. The lower parts of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working burden effects every factors. Furthermore, levels of financial compensation and working stability also seemed to have adverse affects on mental health. Secondly, excessive working hours and duty trouble have lots of mutual relationship with the mental health. The lower parts of working stress: excess working hours, duty trouble, and imprecise responsibilities affects the mental health. Especially, the excessive working hours affected all nine parts of mental health level which were examined.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사례관리 수행과 영향요인 (Case Management Performance of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and Influential Factors)

  • 김현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3권4호
    • /
    • pp.51-65
    • /
    • 2015
  • Case management is becoming increasingly more important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actice of case management at community child centers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ir performance. In addition, this study also analysed the performance level of case management at each stage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evel at each stag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obtained from about 181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in Busan, Ulsan and Gyeongsangnamdo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Model 1 which represents the category of socio-demographic and personal factors, three factors namely gender, experience in case management, and interpersonal skill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influential and they have an explanatory power of 21.5%. Under the category of organizational factors in Model 2, four factors were found to be influential: experience in case management, interpersonal skills, availability of case management guidelines, and holding case conferences. These factors account for 33% explanatory power, 11.5% higher than that of Model 1. In Model 3 which represents the third category of community network literacy, three factors namely interpersonal skills, availability of case management guidelines, and ability to utilize networks were found to influence case management at community child centers, and they have an explanatory power of 43.4%, 10.4% higher than that of Model 2. For the practice of social welfare, these findings have the implication that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need to improve their interpersonal skills by cultivating communication skills,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skills, conflict-management skills, and other relevant skill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specific guidelines for case management, to have regular case conferences, to establish a community network, and to reinforce cooperation and mutual support among institutions within the network.

전북지역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에서 제공하는 어린이집 간식메뉴의 유형, 식품 다양성 및 학부모 만족도 연구 (Study on the snack menu pattern, food diversity and satisfaction of parent provided by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in Jeonbuk area)

  • 심은별;노정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5호
    • /
    • pp.501-513
    • /
    • 2019
  • 본 연구는 전북지역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에서 어린이집에 제공하는 2,432개의 간식메뉴의 유형과 학부모대상으로 간식의 품질특성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파악하고, 품질특성 간의 영향력을 조사하였다. 오전간식 메뉴의 79.1%는 1 품목, 오후간식의 59.1%는 2 품목, 메뉴의 스낵 음료 조합패턴은 오전간식은 F 66.1%, F+B 18.7%, 오후간식은 F+B 60%, F 40.1%이었다. 식품군별 제공비율 분석결과, 곡류는 오후간식의 87.2%, 채소류와 과일류의 오전간식 비율은 각각 21.7%, 42.4%, 고기 생선 달걀 콩류의 오전과 오후간식 비율은 15.9%, 15.7%, 우유 및 유제품류의 오전과 오후간식 비율은 34.1%, 36.6%이었다. 오전간식의 72.6%는 비조리, 오후간식은 85.6%가 조리메뉴이었다. 식품군패턴 분석결과, 오전간식은 F (31.6%), D(12.0%), F+D (10.1%), G (7.9%)의 순이며, 오후간식은 G(34.4%), G + D (27.4%), G + V (8.2%), G + M (6.3%)의 순이었다. 식품군 점수 (DDS)는 오전 1.46점, 오후 1.67점이었다. 식품군별 다빈도 메뉴품목 분석결과, 곡류는 오전 간식으로 죽류 51.8%, 오후간식은 밀가루 식품류 (34.5%), 빵류 (25.9%)이며, 고기 생선 달걀 콩류는 오전에 육류(28.7%), 콩류 (24.5%), 견과류 (23.6%)이며, 오후는 가공육류 (30.2%), 어패류 (24.3%)이었다. 채소류 중 숙채소는 오전 67.8%, 오후 86.0%이며, 과일류는 오전에 과일류(99.3%), 오후에는 주스류 (67.9%), 우유 및 유제품류는 주로 우유 (오전 71.6%; 오후 82.5%)이었다. 학부모들의 간식메뉴에 사전 인지수준은 5점 기준 4.09점, 자녀가 영아, 국 공립어린이집일 때 사전 인지수준이 높았다. 어린이집 간식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5점 기준 4.06점, 직업이 있는 경우, 영아 및 국 공립어린이집일 때 만족도가 높았다. 간식의 19개 품질특성의 전체 중요도 4.42점, 전체 수행도 4.25점 이었다. 중요도가 가장 높은 특성은 '식재료의 위생' (4.79)이며, '제공 시간' (4.04)이 가장 중요도가 낮았다. 수행도는 '식재료의 위생' (4.38)이 가장 높으며, '제공 양' (4.13)이 가장 낮았다. 간식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에 미치는 관련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 분석결과, 1단계에서 설명해주는 변인은 '주 메뉴와의 균형' (${\beta}=0.219$, p < 0.05), 설명력은 33.1% (F = 11.662, p < 0.001)이었다. 2단계에서 위생특성 투입에 따른 총 설명력은 35.9%(F = 3.372, p < 0.05)이었다. '종사자의 위생'의 영향력이 가장 크며 (${\beta}=0.245$ p < 0.05), 그 다음은 '주 메뉴와의 균형' (${\beta}=0.208$, p < 0.05), '제공 양' (${\beta}=0.176$, p < 0.05)의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 전북지역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는 아동의 등원시간 및 활동정도를 고려하여 오전과 오후의 간식메뉴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학부모들의 만족도는 높았으나 메뉴구성 가이드라인과 비교할 때 메뉴의 다양성에서 개선이 필요하겠다. 따라서 향후 지역의 거점센터를 중심으로 간식메뉴 구성을 위한 기준마련이 필요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