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명칭

Search Result 14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the Hospital Name based on brand name spectrum theory (병원 브랜드 명칭의 특성 분석: 브랜드 네임 스펙트럼 이론의 적용)

  • Lee, kwang-soo;Hong, sang-gi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89-190
    • /
    • 2011
  • 이 연구는 브랜드 네임 스펙트럼 이론을 이용하여 병원 명칭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지역에 위치하는 모든 병원을 대상으로 하였고, 명칭은 의미있는 단위로 분류한 후 스펙트럼 이론에 따라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임의적 명칭의 빈도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암시적, 서술적, 그리고 조어적 명칭의 순이었다. 단일 스펙트럼 구성된 명칭이 가장 많았으며, 스펙트럼이 2개와 3개로 구분된 명칭의 순이었다.

  • PDF

카르스트(KARST)의 지형과 동굴보전

  • 오종우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5.09a
    • /
    • pp.45-52
    • /
    • 1995
  • 카르스트라는 용어는 고대 인도-유럽어로 그 기원은 거슬러 올라간다. 암석을 뜻하는 칼라(Karra)로 부터 그 근원을 찾을 수 있고, 그것의 파생어는 유럽과 중동의 많은 언어에서도 발견된다. 북부의 유고슬라비아에서 그 단어는 칼스(kars)를 거처 카라(Kra)로 발전했다. 또한 유고슬라비아와 이태리의 국경지대인 트라에스트(Trieste)지방에서 그 지역에 대한 지역적인 명칭으로 이것이 '불모의 땅'이라는 뜻이기도 하다. 이 지역은 종종 이 지역의 자연적인 특징이 최초로 광범위하고 과학적인 연구로 받아들여진 지역으로 '고전적인 카르스트'로 언급된다. 로마시대에 지역적인 명칭은 '칼스서 혹은 칼소'(Carsus & Carso)였고, 그것이 오스트리아-헝가리(Austro-Hungarian)제국의 일부분이 되고 나서, '카르스트'(karst)라는 독일말로 정착되어진다. 뷔엔나(Vienna)의 지리학 또는 지질학술대회에서 국제적인 과학적 용어로서 그 단어가 정식으로 사용되었고, 그 용어의 기술적인 사용은 19세기 중반경에 확립되었다.(중략)

  • PDF

카르스트(KARST)의 지표지형과 동굴지형

  • 오종우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4.05a
    • /
    • pp.89-96
    • /
    • 1994
  • 카르스트라는 용어는 고대 인도-유럽어로 그 기원은 거슬러 올라간다. 암석을 뜻하는 칼라(Karra)로 부터 그 근원을 찾을 수 있고, 그것의 파생어는 유럽과 중동의 많은 언어에서도 발견된다. 북부의 유고슬라비아에서 그 단어는 칼스(kars)를 거처 카라(Kra)로 발전했다. 또한 유고슬라비아와 이태리의 국경지대인 트라에스트(Trieste)지방에서 그 지역에 대한 지역적인 명칭으로 이것이 '불모의 땅'이라는 뜻이기도 하다. 이 지역은 종종 이 지역의 자연적인 특징이 최초로 광범위하고 과학적인 연구로 받아들여진 지역으로 '고전적인 카르스트'로 언급된다. 로마시대에 지역적인 명칭은 '칼스서 혹은 칼소'(Carsus & Carso)였고, 그것이 오스트리아-헝가리(Austro-Hungarian)제국의 일부분이 되고 나서, '카르스트'(karst)라는 독일말로 정착되어진다. 뷔엔나(Vienna)의 지리학 또는 지질학술대회에서 국제적인 과학적 용어로서 그 단어가 정식으로 사용되었고, 그 용어의 기술적인 사용은 19세기 중반경에 확립되었다.(중략)

  • PDF

The Political Geography of Place Names : The Decisions of City Names in the Process of Administrative District Reorganization (지명의 정치지리학: 행정구역개편으로 인한 시 명칭 결정을 사례로)

  • Chi, Sang-Hy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8 no.3
    • /
    • pp.310-325
    • /
    • 2012
  • Human being has used place names to differentiate one place from another. Place names are the products of collective human cognition in that a place name is chosen when it successfully represents the identity of a place. In addition, place names have been changed by the competition and struggle between social agencies and the political imperatives of hegemonic groups to impose their identity on the places. Recent geographic studies on place names have focused on the social and political processes behind the change of place names. In this ve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the debates on the decision of city names in the process of the administrative reorganization in mid 1990s by the lens of political geography. Residents in cities and counties tried to justify their arguments by emphasizing historical backgrounds and popularity of their names. Additionally, economic power and potential were mobilized for the political resources to win over the battle over city names. The result, however, shows that the decision of newly consolidated cities' name was mainly made by the amount of political resources, such as population and number of seats in local assemblies. Several regions tried to use city names to negotiate with counterparts. In sum, the decision of place names is the product of political competitions, and the place name becomes the symbol of territorial identity. Place names have been in the center of disputes in local politics even after the name was decided, which suggest further studies on reasonable solution to mitigate the disputes to be expected when additional reorganiza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s.

  • PDF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POI Database with Spatial Relations Using SNS (SNS를 이용한 POI 공간관계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활용)

  • Kim, Min Gyu;Park, Soo Ho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2 no.4
    • /
    • pp.21-38
    • /
    • 2014
  • Since users who search maps conduct their searching using the name they already know or is commonly called rather than formal name of a specific place, they tend to fail to find their destination. In addition, in typical web map service in terms of spatial searching of map. Location information of unintended place can be provided because when spatial searching is conducted with the vocabulary 'nearby' and 'in the vicinity', location exceeding 2 km from the current location is searched altogether as well. In this research, spatial range that human can perceive is calculated by extracting POI date with the usage of twitter data of SNS, constructing spatial relations with existing POI, which is already constructed. As a result, various place names acquired could be utilized as different names of existing POI data and it is expected that new POI data would contribute to select places for constructing POI data by utilizing to recognize places having lots of POI variation. Besides, we also expect efficient spatial searching be conducted using diverse spatial vocabulary which can be used in spatial searching and spatial range that human can perceive.

Characteristics of Resolving Syntatic Ambiguity in Normals and Aphasic (한국어 구문 중의성 해결과정 : 정상인과 명칭성 실어증 환자의 구문정보처리 특성)

  • Kim, Yoon-Jung;Kim, Su-Jung;Jung, Jae-Bum;Nam, Ki-Ch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e
    • /
    • pp.470-475
    • /
    • 1999
  • 문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각 단어를 이해한 후에 이 단어들이 문장 내에서 어떠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지 그 구조를 파악해야 한다. 한국어 정보 처리에 있어서 명칭성 실어증 환자는 어떠한 방식으로 이러한 문장 구조를 파악하는지 정상인과의 비교를 통해 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실험 재료로는 구문 중의성 문장을 사용하였는데, 구문 중의성이란 가령 '정치가'와 같은 어절이 '정치+가(주격조사)'나, '정치+가(접미사)' 모두를 뜻할 수 있음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중의성을 이해하는 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중의성 해결 지역에서의 읽기 시간(reading time)을 측정하였으며, 실험 과제는 자기 조절 읽기 과제(self-paced reading task)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정상인 피험자와 마찬가지로 '정치가'와 같은 중의적 어절이 주어로 쓰였을 때에는 중의적 문장 / 비중의적 문장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명사+접사'로 해석해야 할 경우에는 둘 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피험자였던 명칭성 실어증 환자의 경우 이러한 중의성을 해결하면서 읽는 데에는 손상이 없는 것으로 보였다. 단 전체적인 문장을 읽는데에는 시간이 오래 걸려 역시 문장을 읽고 이해하는 데에는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명칭성 실어증 환자는 문장 산출의 어려움이 구문적 정보처리에서의 문제라기보다는 어휘 정보를 적절하게 인출하지 못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추론된다.

  • PD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Hospital Names based on the Types of Brand Name Spectrum (브랜드 네임 스펙트럼(Brand name spectrum) 측면에서 바라본 병원명의 특성: 수도권 병원을 중심으로)

  • Lee, Kwang-Soo;Hong, Sang-J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6
    • /
    • pp.402-41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ypes of Brand name spectrum for hospital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typ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hospitals.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the yearbook of Korean Hospital Association in 2008. The hospital's name was divided into meaningful words and then the spectrum type of hospital name was decided based on the meaning of words. Hospital variable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types of brand name spectrum among hospital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arbitrary name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in hospitals, then followed by the suggestive name, descriptive name, and then coined name. In arbitrary name, district name and person's name were most frequently used as the hospital name. Although most hospitals had one type of naming spectrum, some hospitals had types more than two. When hospital managers are developing hospital name, they will need to consider not only how it can provide the unique images to customers, but also how they protect their brand in legal aspects.

A Basic View on the Village Health Workers (마을건강원에 대한 기본 시각)

  • 김공현;임문혁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 /
    • v.5 no.1
    • /
    • pp.42-46
    • /
    • 1988
  • 마을건강원의 개념은 단순하나. 그 의의는 크다고 말할 수 있다. 마을건강원이란 자기가 살고 있는 지역사회에서 일할 수 있도록 단기간의 훈련을 받은후 보건의병체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자기 지역사회 주민을 위하여 봉사하는 사람을 지칭한다. 우리나라에서 마을건강원이란 용어로 이 같은 유의 요원을 최초로 호칭한 것은 1977-1980년간에 한국보건 개발연구원(한국인구보건연구원의 전신)이 농촌지역에서 지역사회보건사업을 전개할 당시부터라고할 수 있다. 물론 이전에도 이와 비슷한 명칭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가정건강요원(연세의대), 마을보건임원(이화의대), 그리고 마을건강요원(여수병원) 등을 열거할 수 있겠다.

  • PDF

A Study of Regional Geomorphology in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Central Korea (추가령 구조곡의 지역지형 연구)

  • Lee, Min-Boo;Lee, Gwang-Ryul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1 no.4
    • /
    • pp.473-490
    • /
    • 2016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gional geomorphology of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which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areas for Korean geomorphological research. Though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has been thought important for the tectonic settings and orographic processes in Korea,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discussions still are sustaining for finding out evidences of the settings. The Chugaryeong valley region has many geomorphic themes such as tectonic structure, volcanics, river, mountain, terrace, lake and sediment layers. The research of the valley focuses on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previous references mainly including geomorphic naming, geomorphology and geology, and history of the study for estimating the origin of tectonic valley, formation of the lave plateau, change of river structure by dissection, restoration of the landform before lava eruption, and the processes and age dating of the various landforms. Conclusively,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may be recognized as the linear region of the tectonic and volcanic landforms with other various applied geomorphic setting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