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가치

Search Result 2,542,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The Impact of Value Chain Reorganization on Regional Economy: The Case of Daegu Cultural Contents Industry (클러스터의 가치사슬변화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대구문화콘텐츠산업을 사례로)

  • Park, Kyung-Sook;Lee, Chul-Wo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3 no.4
    • /
    • pp.601-62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value chain reorganization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cluster in Daegu city and its impact on the regional economy. To achieve this goal, this research examined the change of value added structure, institutional milieu and networks among regional innovators and their effect on value chain reorganization of cluster. The result shows that the scope of the value chain generating value added have been extended and the networks among regional innovators have been increased. Such value chain reorganiz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gional economy. In the context of public policy, however, the focus of industrial policies needs to generate cultural and institutional specificities in a given region and to strength Triple helix innovation system.

  • PDF

Research on Development of Social Value Evaluation Indicators for Public Libraries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가치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Noh, Yo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4 no.2
    • /
    • pp.181-21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evaluation indicators for evaluating the social value of libraries and, for this, first of all, preliminary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rived by analyzing comprehensively about 60 domestic and overseas papers which researched on the value of libraries. On the basis of the derived preliminary evaluation indicators, 11 experts were selected and the final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veloped by conducting Delphi survey three times. The final evaluation indicators are composed of five evaluation areas, which are the divided areas of the social value of librari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the linkage of local communities, the improvement of local residents' life quality, the equalization of local residents, and the information services necessary for local communities, 13 evaluation items, and 64 evaluation indicators. In the future, it seems that researches to measure the social value of libraries based on this will have to be conducted.

Type Classification of Forestland Value by Using GIS Analysis (GIS를 이용한 산지가치 구분)

  • Ha, Do;Kim, Young-Seup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6 no.4
    • /
    • pp.411-419
    • /
    • 2010
  • The type of forestland value was evaluated using various thematic maps, satellite images, and aerial photograph of Namyangju, Based on GIS analysis, forestland value was classified into 4 kind types; conservation, production, recreation, and development values. Finally, the comprehensive analysis map of forestland value was made according to the priority order of value assessment. Among the whole forestland of Namyangju, conservation value area is $195km^2$, high production value area $96km^2$ except the conservation value area, high recreation value area $59km^2$, and the high development value area is $11km^2$. Henceforward, The value evaluation system of forestland by using GIS is to be very applicable for the scientific management of forestland, according to the periodic data update.

Value Creation and Competitiveness Achievement Strategies of Smart Cities (스마트시티의 핵심 가치와 경쟁력 확보방안)

  • Lee, Young-Sung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3 no.1
    • /
    • pp.59-68
    • /
    • 2017
  • Recently smart City has become a world-widely hot issue. Many cities have been trying to be smarter in solving urban problems. Different Countries and cities have adopted their own approaches. Accordingly, the concept of smart city is defined in diverse ways. This research emphasizes value creation of smart cities. For that purpose, thoughtful sensitivity, accuracy, and speed are critical components in planning smart cities. Among these, thoughtful sensitivity is the most important. Based on these components, policy should be conceived to develop road maps to replicate successful cases to other cities and regions for long-term innovation of regions. Such experiences will be a firm basis for competitiveness and prosperity of our cities.

제주 자원식물의 잠재적 가치

  • Jeong, Yong-Hwa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0.10a
    • /
    • pp.4-4
    • /
    • 2010
  • 식물자원은 예로부터 인류의 생활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인류에게 삶의 터전을 제공하였으며 쾌적한 환경을 유지시켜 주는 기반이 되었음은 물론 인류의 생존을 위한 많은 재화를 공급하여 왔다. 이러한 식물자원의 가치는 인간생활의 기초적 의 식 주 뿐 만 아니라 질병치료를 위한 재료로도 활용되고 있다. 제주도는 지리적으로 아열대권 생물자원의 확보 및 관리가 용이한 위치에 있어 아열대 자원 및 동북아섬 자원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전진기지로서 최적지이며, 난대, 온대, 한대 및 아고산대에 걸쳐 2,100여종의 식물자원이 분포하는 생태계 보고로 알려져 있다. 특히, 진시황이 불로초를 찾아 신하를 보낸 곳이 제주도라고 전해지고 있는 만큼 이는 제주가 많은 자원식물이 분포하고 있음이 그 옛날에도 알려져 있었다는 증거라 할 수 있다. 제주에 분포하거나 재배되는 식물 중 약용 및 식용 식물자원으로 잠재적 가치를 갖고 있는 식물은 550여 분류군으로서, 양치식물 43종류, 나자식물 6종류, 단자엽식물 31종류, 쌍자엽식물 370종류 등이다. 이러한 자원식물 중 상록성 목본 31종류, 낙엽수 105종류, 만경류가 51종류, 초본류(1년초 또는 다년초)가 358종류이며, 뱀톱, 천남성, 박새 등 독성을 가지는 식물도 43종류가 포함되어 있다. 비록 기존 알려진 약용 및 식용 식물자원이 산업적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고는 하나 그 약효나 효능의 검정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나머지 자생식물까지 포함하면 상당수의 제주 자생식물이 자원식물로 사용될 수 있는 잠재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삶의 질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집중하고 있으며, 자원식물 유래 천연물을 소재로 한 향장품 및 건강기능성 식 의약품을 포함한 기능성 상품은 안전성이 보장되며 우수한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자원식물을 소재로 한 기능성 상품의 개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지역도 청정지역 제주에 자생하고 있는 자원식물의 잠재적 가치를 활용하여 미래 제주 창출을 위한 신산업육성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제주 자원식물들의 잠재적 가치를 활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건강 뷰티 생물산업을 지역전략산업으로 추진하면서 제주 자원식물들의 새로운 잠재적 가치를 조명하고 있어 이에 대한 지역내 추진노력 및 관련 산업현황 등을 정리하여 몇가지 견해를 제기하고자 한다.

  • PDF

Assessment of Economic Value of Youngsan River Estuary (영산강 하구역의 경제적 가치 평가)

  • Yoo, Seung-Hoon;Lee, Joo-Su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4 no.8
    • /
    • pp.629-637
    • /
    • 2011
  • This study tried to estimate the environmental value of Youngsan river estuary as there are conflicts on the management policy about Youngsan river estuary. For estimating the detailed functional values of Youngsan river estuary, this study used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with multi attribute utility theory for. In addition, the survey was separately practiced to on-site and off-site. According to estimating results, the annual value of Youngsan river estuary is about 27.4 billion Korean w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level of investment and management policies with regard to the estuary and to provide methodological guidelines for follow-up study.

Preservation Value of Endangered Alpine Coniferous Species (멸종위기 고산지역 침엽수종 보전가치 평가)

  • Sang-Hyun Lee;Dong-Hyoung Lee;Jun-Gi Bye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12 no.3
    • /
    • pp.322-330
    • /
    • 2023
  • Amid the recent intensification of climate change, the decline of subalpine coniferous species is evident. Accordingly, the Korea Forest Service is conducting research to establish conservation measures, identify the causes of the decline of subalpine coniferous species, and establish conservation strategies for seven species of conifers in the alpine region. This study used an economic value evaluation method to present objective data to inform the need for and value of conservation of endangered coniferous species through the recognition of endangered coniferous species and evaluation of conservation value among coniferous species conservation strategies in endangered alpine areas. A contingent valuation method was applied. As a result, the estimated conservation value per household of endangered alpine coniferous species was 49,181 won.

Socal Vaule of Multiregional Water system - Using Conjoint Valuation Method (광역상수도의 사회적 편익 추정 연구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사용하여-)

  • Ryu, Mun-Hyun;Kim, Shang-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67-270
    • /
    • 2009
  • 최근 우리나라는 기후온난화 등으로 인해 봄철과 겨울철에 심각한 가뭄이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그 정도는 점차 심해지고 있다. 2001년과 2002년 사이에 발생한 가뭄으로 약 100여개 시군에서 제한급수가 시행되기도 하였으며 2008년 말부터 발생하고 있는 남부지방의 가뭄은 식수를 걱정해야 할 정도로 심각한 실정이다. 이러한 기후변화는 수돗물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한 수자원확보를 어렵게 하고 있다. 특히 하천수를 취수원으로 하고 있는 지방상수도의 경우 수돗물의 안정적인 공급과 수질측면에서 가뭄에 매우 취약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뭄에 대처하고 안정적인 물 공급을 제공할 수 있는 광역상수도의 역할이 중요해 지고 있다. 광역상수도는 여름철 홍수기에 가두어 놓은 댐의 물을 사용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물을 제공할 수 있다. 광역상수도는 가뭄시 안정적인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간의 요금편차를 제거하여 수도요금의 지역간 형평성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광역상수도를 사용하는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지방상수원 보호구역의 해제로 인해 지역개발을 활성화 시킬 수 있으며 국가차원에서도 물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광역상수도의 사회적 편익을 조건부 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조건부가치측정법은 비사장 재화에 대한 가치를 추정할 수 있는 통계적 방법이다. 추정결과 안정적인 물공급을 위한 광역상수도의 가치는 음의 효용을 허용하지 않았을 경우, 가구당 5,796원의 지불의사금액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광역상수도의 투자계획시 정책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물정책 당국자에게 물관리측면에서 유용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Formed in Urban Regeneration Area on Revisit Intention - Mediating Effect of Experiential Value and Place Attachment - (도시재생지역에서 형성된 사회적 자본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경험적 가치와 장소 애착의 매개효과 -)

  • Yang, Meng;Hong, Kwan-Se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6
    • /
    • pp.663-677
    • /
    • 2021
  • Recently, urban tourism regeneration projects to attract tourists are gradually increasing.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social capital, which is a major factor in attracting tourists to revisit for revitalization of such urban tourism areas. Specifically, it looked at one of the social relations formed between tourists and local residents,'the process of revisiting based on attachment to the place by making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perceive empirical value'. As a result, you can see (insert result). This means that the bond between tourists and local residents is an important factor in inducing tourists to revisit actively in the urban tourism regeneration area. Therefore, this study presented implications for academic and practical work based on these results.

A Case Study on Urban Regeneration: Gamcheon Culture Village, Busan (도심 재생 사례 연구: 부산 감천문화마을을 중심으로)

  • Lee, Young-Jun;Kim, Ji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355-356
    • /
    • 2014
  • 많은 지역에서 구도심 개발이 지역정체성을 훼손하고 거주민의 소외라는 부작용에 직면하고 있는 가운데 가장 모범적인 도심개발사례 중 하나로 손꼽히는 부산 감천문화마을을 통해 지역의 문화와 역사가 어우러진 대표적인 명소로 자리 잡게 된 과정을 소개한다. 지역개발은 다양한 측면의 가치 창출을 동반하는 종합적인 기능과 더불어 관광수익의 창출이라는 경제적 가치를 추구한다. 감천문화마을은 구도심과 신도심간 양극화를 해소하고 지역이미지를 제고하는 차원에서 의미있는 도심재생사례가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