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ype Classification of Forestland Value by Using GIS Analysis

GIS를 이용한 산지가치 구분

  • Ha, Do (Department of Geoinformatic Engineering, Graduate School,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Seup (Department of Geoinformatic Engineering, Graduate School,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하도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
  • 김영섭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 Received : 2010.05.24
  • Accepted : 2010.08.22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e type of forestland value was evaluated using various thematic maps, satellite images, and aerial photograph of Namyangju, Based on GIS analysis, forestland value was classified into 4 kind types; conservation, production, recreation, and development values. Finally, the comprehensive analysis map of forestland value was made according to the priority order of value assessment. Among the whole forestland of Namyangju, conservation value area is $195km^2$, high production value area $96km^2$ except the conservation value area, high recreation value area $59km^2$, and the high development value area is $11km^2$. Henceforward, The value evaluation system of forestland by using GIS is to be very applicable for the scientific management of forestland, according to the periodic data update.

남양주시의 각종 국가 주제도와 위성 및 항공영상 자료를 이용하여 산지가치를 유형별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GIS 분석을 이용하여 산지를 보전적, 생산적, 휴양적, 계획적 가치의 4가지로 평가하고, 가치 평가의 우선순위에 따라 최종 산지의 가치를 구분한 종합도를 작성하였다. 남양주시의 전체 산지에서, 보전적 가치가 높은 지역은 $195km^2$, 생산적 가치가 높은 지역은 $96km^2$, 휴양적 가치가 높은 지역은 $59km^2$, 계획적 가치가 높은 지역은 $11km^2$로 나타났다. 향후, GIS를 활용한 산지가치 유형 구분 시스템의 활용가능성이 확인되었으며, 주기적인 자료의 갱신에 따라 산지를 과학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순덕, 박영규, 김은희, 2008. GIS를 이용한 산림기능 구분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4): 10-21.
  2. 김형호, 정세경, 정주상, 2006. 산림기능평가를 위한 GIS 응용모델의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4): 1-11.
  3. 박영규, 2002. 환경친화적 산지개발의 기준과 지표설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산림자원학과, 박사학위논문.
  4. 박영규, 김형호, 김종호, 전준헌, 성규철, 권순덕, 정세 정, 정주상, 2005. 공간분석모델링을 이용한 산 림기능 유형별 잠재력 평가. 산림과학논문집, 52: 124-137.
  5. 산림청, 2008. 산지이용실태조사 연구 보고서.산림청, 2008. 산지구분타당성조사 및 산지구분 조정지침.
  6. 산림청, 2008. 산지구분타당성조사 및 산지구분 조정 지침.
  7. 서수현, 유리화, 이계한, 안기완, 2006. GIS 적용에 의 한 산림기능평가, 산림경제연구, 14(2): 45-54.
  8. 성규철, 박영규, 정주상, 김종호, 권순덕, 김형호, 2004. 산림기능구분도 작성, 임업연구원.
  9. 이진규, 김종호, 서옥회, 1989. 산림기능분류 및 평가방법연구, 임업연구사업보고서.
  10. 이경학, 1995. 산림기능잠재력 및 분류시스템, 산림과학논문집, 52: 124-137.
  11. 정영관, 손영모, 이광수, 강진택, 정수영, 1996. GIS기 법을 이용한 산림의 다목적 기능개발, 산림경제연구, 4(2): 15-28.
  12. 정주상, 김의경, 이헌호, 신원섭, 1999. 산림기능평가에 관한 연구.
  13. 정주상, 김형호, 차재민, 박영규, 2002. GIS응용에 의 한 산림기능 적합도 분석을 위한 산림구획 기법, 한국임학회지, 91(1): 1-9
  14. 최종천, 최종운, 1998. 산지의 합리적 이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경제학회, 6(2): 1-19.
  15. 한국토지공사, 1998. 산지개발 모형작성에 관한 연구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