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역(마을)

검색결과 860건 처리시간 0.035초

제주도 중산간 곶자왈 지대의 마을공동목장 운영과 방목활동을 통한 생활상 연구 (A Study on the Living Conditions of Locals through the Management of Village Common Pastures and Pasturing Activities in Gotjawal located in the Mid-mountain Area of Jeju Island)

  • 부혜진;강창화;정광중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53-368
    • /
    • 2016
  • 제주도 중산간지역에 분포해 있는 곶자왈 지대는 최근 다양한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곶자왈 지대의 마을공동목장 운영과 그곳에서 행해졌던 방목활동을 통하여 중산간지역에서의 생활상을 고찰함으로써 곶자왈이 지니는 생활문화적 공간으로서의 가치를 밝혀내고자 한다. 사례지역인 청수-저지 곶자왈 지대의 청수 및 저지 마을공동목장은 1930년대에 형성된 이래 1960~70년대에 마을 농가들의 소 방목을 통해 활발히 이용되어 왔다. 제주도에서도 소는 농업활동과 운송, 이동의 주요수단이었고 소 사육은 농가의 소득을 확보하는 주요경제 수단이었다. 마을공동목장에서의 소 방목은 마을마다 독특한 방목문화를 정착시키는데 기여함은 물론 급수터의 조성, 건초준비를 위한 농가의 협업문화를 형성하였다. 뿐만 아니라 마을공동목장 내에는 소 방목을 위한 목축시설이 아직도 일부가 남 아있어 중산간지역의 주민생활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 PDF

충남지역 마을하수의 발생 및 처리현황 (Generation and Current Treatment Status of Sewage at the Rural Village in Chungnam Province)

  • 강방훈;김진호;최철만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4-49
    • /
    • 2008
  • 본 연구는 농촌마을에서 발생하는 마을하수의 수질현황과 마을하수 처리시설에 대한 관리 현황 및 정확한 실태를 파악하고 처리효율을 조사하여 마을하수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모색하며, 농촌마을 하수정비 사업과 농촌지역 하수정책 수립의 활용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마을하수 처리시설에 대한 각 지역별 유입수 수질 분석 결과, 아산시 지역에서의 유입수 BOD와 COD의 평균 농도는 각각 29.0 mg/L와 19.1 mg/L였고, 부여군 지역은 BOD 16.7 mg/L, COD 16.3 mg/L, 공주시 지역은 BOD 18.8 mg/L, COD 15.3 mg/L로 조사되어 아산시 지역에서 유입수의 농도가 가장 높았으나 일반적인 도시하수의 유입수 농도에 비해 매우 낮게 조사되었다. 2. 오염부하량별 원단위는 BOD $3.3{\sim}4.9$ gpcd, COD $3.2{\sim}11.3$ gpcd, T-N $1.5{\sim}4.6$ gpcd, T-P $0.3{\sim}0.5$ gpcd 로 조사되어 도시하수의 오염부하량 원단위 결과보다는 상당히 낮게 조사되었다. 3. 마을하수 처리시설의 처리공법별 제거효율은 고효율 합병정화조와 토양피복형 접촉산화법에서는 특히 BOD와 SS의 제거효율이 높았으며, 접촉산화법의 경우는 다른 처리공법에 비해 조금 낮게 조사되었다.

재난안전마을 구축을 위한 의식조사 연구 (A Study on the Consciousness Survey for the Establishment of Safety Village in Disaster)

  • 구원회;백민호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238-246
    • /
    • 2018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유사 유형의 재난으로 반복적인 피해가 발생하는 농촌지역에 재난안전마을을 구축하기 위해 전문가 및 지방자치단체 재난안전 담당자 의식조사를 통해 구축방향을 검토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농촌지역의 재난 위험성을 살펴보고 마을단위의 대책 중 면단위의 대책인 재난안전마을에 대한 개념 및 특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지방자치단체 담당자를 대상으로 의견조사와 재난안전 및 마을만들기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농촌지역 특성에 맞는 재난안전마을 구축 방향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 본 연구의 결과에서 지방자치단체 담당자 의견을 살펴보면 농촌지역은 폭설, 태풍, 호우 등의 풍수해와 산불에 의한 위험성이 높다고 응답하였고 농민의 주 업무로 인해 재난관리활동의 자발적인 참여가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향후 개선대책에는 농촌지역 주민의 지원 및 참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응답했다. 전문가의 의견을 살펴보면 재난안전마을 사업의 문제점은 단발성 공모사업 위주로 사업이 지속성이 떨어진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으며 애로사항은 중앙, 지자체, 주민의 연계성이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적절한 예산확보방안은 정부, 지자체, 주민이 함께 추진해야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사업추진체계 방향은 중앙정부, 지자체, 주민이 함께 추진해야한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난유형 및 특성을 고려한 재난안전마을이 구축되어야 한다. 둘째, 농촌지역 재난안전마을 구축 및 운영 시 중앙정부뿐만 아니라 지방정부, 마을 조성 기금까지 활용할 수 있는 예산확보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농촌지역 재난안전마을 구축 후 지속적으로 운영 및 관리를 위해 재공인제도 등 장기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농촌지역 주민이 재난안전마을 구축을 위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세부적인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농촌지역 재난안전마을 만들기 활성화를 위한 컨텐츠 마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Contents for Promoting the Establishment of a Disaster Safety Village in Rural Areas)

  • 구원회;백민호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387-398
    • /
    • 2018
  • 연구목적 : 한국과 일본의 재난안전마을 관련 운영 컨텐츠 사례를 조사 및 분석하여 농촌지역 특성에 맞는 재난안전마을 구축사업 시 적용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한국과 일본의 재난안전마을 관련 사업 컨텐츠 현황을 주민참여, 구조적, 법 제도 환경적으로 분류하여 조사 및 분석을 통해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농촌지역 특성에 맞는 재난안전마을 컨텐츠(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 주민참여 컨텐츠는 유관기관과 연계한 기초안전교육, 심폐소생술 교육, 대피소 생활 체험 훈련, 대피 훈련, 농촌활동과 재난활동 병행 훈련, 마을 안전지도 만들기 등이 있으며 법 제도 환경적 컨텐츠는 재난안전마을 구축을 위한 법, 조례 제정, 전문가 파견제도, 풍수해보험 제도, 마을만들기 기금조성을 위한 펀드 제도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구조적인 컨텐츠는 자립형 대피소, 무선 대피 안내 방송시스템, 하천재해 방재시스템, 재난안전 안내 표지판, 마을안전지도 표지판 제작, 방재공원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결론 : 법 제도 환경적 컨텐츠는 법/제도 마련을 위한 기반 구축이고 구조적 컨텐츠는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과 더불어 농촌지역 환경을 고려한 친환경 공법을 활용하여 설치해야 한다. 또한 주민참여는 농촌마을의 주민의 연령, 특성, 환경 등 다양한 항목을 고려하여 컨텐츠를 활용해야 한다.

도시 인접 섬마을 해양공간환경 데이터를 활용한 해양문화콘텐츠개발에 관한 연구 (경남 창원시 실리도를 중심으로)

  • 엄민호;안웅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5-147
    • /
    • 2021
  • 도시에 인접한 섬마을은 농어촌지역의 섬마을과는 차별화된 해양문화콘텐츠가 필요하나, 섬마을 내 농어업을 영위하는 주민들의 생업 형태는 대부분 유사한 실정임. 본 연구에서는 도시에 인접한 섬마을의 해양공간환경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리도만의 특색있는 해양문화콘텐츠 계획안을 제시하고자 함

  • PDF

마을만들기 장소마케팅과 마을발전방안 수립에 스토리텔링활용 연구 - 제주시 용담1동 마을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Storytelling in Town-making Area Marketing and Town Development Plan Establishment - Focusing on Storytelling of Jeju Yongdam 1-dong Town -)

  • 황경수;양정철;오윤정;이관홍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529-538
    • /
    • 2017
  • 본 연구는 용담1동 마을에 거주하고 있는 거주민 이야기를 토대로 씨앗스토리를 만들고 스토리텔링을 통해 마을발전전략 수립시 활용하는 것을 연구하고 제안하는 것이다. 세계의 주요도시들은 지역의 문화와 역사를 토대로 도시재생을 꾀하고 있다. 제주지역의 대표적인 원도심인 용담 1동지역은 주민들의 삶의 이야기를 스토리텔링을 통하여 전혀 새로운 형태의 마을 만들기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마을발전계획 수립 시 활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첫째, 마을을 소개할 때 소개지에 다양하게 활용하는 것이다. 둘째, 마을발전계획을 수립할 때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하는 것이다. 셋째, 각 종 마을 만들기 계획 수립할 때 활용할 필요가 있다. 방향 수립, 프로그램 내용 구성할 때, 축제 등의 기획을 수립할 때, 지역 퍼실러테이터 교육의 자료 등으로 할 수 있다. 넷째, 지역을 위해 봉사하고자 하는 전문가들에게 마을을 이해시킬 때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들을 활용하여 마을 만들기에 다양한 분야 중 하나의 분야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마을숲의 분포 위치와 지형적 공간특성 유형화 방안 - 경북 의성, 전북 진안 및 전남 함평지역을 대상으로 (Locations and Topographical Character of the MAEULSOOP in the Southwestern and the Eastern Region)

  • 권진오;오정학;이정연;박찬열;최명섭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85-93
    • /
    • 2008
  • 전통적으로 마을에 인접하여 인위적으로 조성되거나 관리 및 이용되어온 한국의 전통마을숲은 그 역사가 6-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마을숲 조성의 배경은 흔히 주변의 언덕, 물길과 바람통로 등 마을주변 자연환경과 관련되는 것으로 전해진다, 정착한 마을과 조성된 마을숲간의 위치관계를 지형적 유형으로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마을숲"이 "주체인 마을"의 생활환경에 어떤 기여를 하고 있는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약 500개 이상의 문헌조사와 현장 확인을 통해 전남 북지역과 경북지역 40개 마을숲에 대해 항공사진, GIS에 의한 3차원분석 등을 통해 마을숲과 마을 주변의 지형적 관계를 유형화 하고 조성 의미를 고찰하였다. 지형적 특징에 따른 유형별 마을숲은 다양한 생태계 및 생활환경개선 효과를 마을에 제공할 것으로 추정되나,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의 위치적 특성이 마을 주민의 생활상에 미칠 수 있는 영향과 마을숲 조성의 효과에 기여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 PDF

기획 - 인쇄마을 조성 추진

  • 대한인쇄문화협회
    • 프린팅코리아
    • /
    • 제9권3호
    • /
    • pp.38-43
    • /
    • 2010
  • 서울특별시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이사장 조정석)은 지난 1월 26일 서울인쇄센터 앞에서 인쇄마을 조성을 위한 서명운동을 전개했다. 조정석 이사장과 김정전 인쇄마을 지정 비상대책 위원회 위원장, 조합 임직원들은 이날 중구 쌍림동부터 인쇄사가 밀집해 있는 방산시장을 비롯하여 필동, 을지로, 충무로 등 전 지역을 두루 다니며 서명운동을 펼쳤다. 서울시가 중구 지역의 재개발을 추진하면서 특화산업으로 지정되어 있는 인쇄산업겁에 대한 대책을 전혀 세우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특화산업인 인쇄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안목에서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는데도 서울시는 뉴타운재개발사업에서 인쇄산업을 아예 제외하고 금융산업을 지정한 것은 인쇄인들의 분노를 사기에 충분하다. 이에 인쇄인들은 인쇄업의 미래를 위해 서명운동을 적극 벌이고 있는 것이다.

  • PDF

지역유형을 고려한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주민평가 및 개선방안 (Improvement and Evaluation of Resident Satisfaction Degree on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by Rural Territory)

  • 최영완;박정원;윤용철;김영주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6호
    • /
    • pp.227-235
    • /
    • 2011
  • 본 연구는 농촌지역 발전 및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추진된 정부의 다양한 정책 및 사업의 성과를 분석하기 위해 현재 추진 중에 있는 농촌지역개발사업 중 대표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분석대상 사업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을 위해 경남 2개 권역과 전남 2개 권역을 사례연구대상권역으로 선정하였다. 사업에 대한 만족도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사업추진에 있어서 각 지역유형별로 명확한 구분을 통해 만족도를 분석하는 것은 상당한 어려움이 있으나, 전반적으로 지역특성별(농촌지역, 중산간지역)로 주민들의 사업에 대한 이해 및 추진과정에서의 만족도 등은 다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반적으로 농촌지역 2개 권역 주민들이 중산간지역 2개 권역 주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업 추진 전반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많이 표출하였다. 향후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해서는 주민들의 사업에 대한 이해, 서로 돕고 협력하는 마을 공동체 의식의 복원, 바람직한 리더 육성, 실효성 있는 마을 규약 마련, 개방적 포용적 자세로의 전환과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추진 및 운영방법의 현실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유비쿼터스 시대에 전주 한옥마을 활성화가 인근지역 지가영향요인에 미치는 연구 (A study about Land value of neighborhood inflenced by activation of Jeonju Hanok Village Effect for the Ubiquitous age)

  • 최지연;김동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515-526
    • /
    • 2014
  • 본 연구는 '전주한옥마을 보전정비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함에 따라 전주한옥마을 자체의 공시지가 변화와 그로 인해 주변 인근지역 토지가격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시계열분석, t-검정,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시계열자료분석에서 한옥마을의 평균 공시지가는 상승하고 있었으나, 인근지역은 꾸준히 하락하고 있었다. 둘째, 시계열자료의 전년대비 평균 공시지가 변화률은 한옥마을을 (+) 상승하고 있으며, 인근지역도 완만한 상승으로 조만간 (+) 상승으로 전환될 예정이다. 셋째, 전주 및 한옥마을 방문 관광객수가 2008년 이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었다. 넷째, 용도지역별 공시지가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최우선적으로 상업지역에 대한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