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Living Conditions of Locals through the Management of Village Common Pastures and Pasturing Activities in Gotjawal located in the Mid-mountain Area of Jeju Island

제주도 중산간 곶자왈 지대의 마을공동목장 운영과 방목활동을 통한 생활상 연구

  • 부혜진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전공) ;
  • 강창화 (제주고고학연구소) ;
  • 정광중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초등사회과교육전공)
  • Received : 2016.02.17
  • Accepted : 2016.05.20
  • Published : 2016.05.31

Abstract

The importance of Gotjawal located in the mid-mountain area of Jeju Island has been emphasized in various aspect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value of Gotjawal as a life-cultural space. This will be illustrated by tracing the locals' previous pasturing activities and the management of village common pastures. Cheongsu Village Common Pasture and Jeoji Village Common Pasture in Cheongsu-Jeoji Gotjawal area, which are the study areas, have been actively used by local farmhouse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pastures in 1930's. In particular cattle were significant means for agriculture and transportation methods in 1960's and 1970's. The farmhouses were needed to breed cattle as one of the main economic means. Pasturing cattle on the village common pastures has developed a unique ranching culture. Furthermore, cooperative work of these farmhouses were performed. These include the establishment of ponds for water supply and the preparation of hay. Ranching facilities for pasturing were built on village common pastures and still remain in Gotjawal area. This has been used in the understanding of the locals' lives in the mid-mountain area of Jeju Island.

제주도 중산간지역에 분포해 있는 곶자왈 지대는 최근 다양한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곶자왈 지대의 마을공동목장 운영과 그곳에서 행해졌던 방목활동을 통하여 중산간지역에서의 생활상을 고찰함으로써 곶자왈이 지니는 생활문화적 공간으로서의 가치를 밝혀내고자 한다. 사례지역인 청수-저지 곶자왈 지대의 청수 및 저지 마을공동목장은 1930년대에 형성된 이래 1960~70년대에 마을 농가들의 소 방목을 통해 활발히 이용되어 왔다. 제주도에서도 소는 농업활동과 운송, 이동의 주요수단이었고 소 사육은 농가의 소득을 확보하는 주요경제 수단이었다. 마을공동목장에서의 소 방목은 마을마다 독특한 방목문화를 정착시키는데 기여함은 물론 급수터의 조성, 건초준비를 위한 농가의 협업문화를 형성하였다. 뿐만 아니라 마을공동목장 내에는 소 방목을 위한 목축시설이 아직도 일부가 남 아있어 중산간지역의 주민생활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만익, 2008, 1930년대 제주도 공동목장 설치과정 연구, 탐라문화, 32, 75-136.
  2. 강만익, 2011, 일제시기 제주도 마을공동목장조합 연구,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강만익, 2013a, 근현대 한라산 상산방목의 목축민속과 소멸, 탐라문화, 43, 137-195.
  4. 강만익, 2013b, 한라산지 목축경관의 실태와 활용 방안,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3(3), 93-112.
  5. 강창화.정광중, 2014, 제주 선흘곶자왈 내 역사문화유적의 분포실태와 특성,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4(1), 153-173.
  6. 고광민, 2004, 제주도의 생산기술과 민속, (주)대원사, 서울.
  7. 고성우.홍승호, 2010, 제주 곶자왈 숲 자연 놀이 체험 학습이 초등학생의 환경감수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환경교육, 23(3), 97-114.
  8. 김경덕.오내원.김창호, 2013, 연구보고 R700 농촌지역 공유자원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 김문철.김중계.김승찬, 1983, 제주도내 부락공동 목장에 있어서 개량목초의 계절별 영양성분 및 식생구성율변화에 관한 연구, 韓畜誌, 25(4), 375-381.
  10. 김지수, 2000, 4.3과 중산간 마을의 거주공간 변모: 남제주군 안덕면 무등이왓을 사례로, 濟州島硏究, 18, 119-149.
  11. 김태일, 2012, 곶자왈의 경관가치 분석에 관한 연구, 2012 대한건축학회지 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8(1), 27-30.
  12. 김형균, 1974, 제주도 부락공동목장의 실태조사, 韓畜誌, 16(4), 374-379.
  13. 북제주군, 1987, 북제주군지, 제주도, 제주도인쇄 공업협동조합 경신인쇄사.
  14. 뿌리깊은나무, 1983, 한국의 발견 제주도, 서울, 뿌리깊은나무.
  15. (사)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 2012, 곶자왈의 보전 및 이용기술 개발, 국립산림과학원.
  16. 안웅산.손영관.강순석.전용문.최형순, 2015, 제주도 곶자왈 형성의 주요 원인, 지질학회지, 51(1), 1-19. https://doi.org/10.14770/jgsk.2015.51.1.1
  17. 오성찬, 1991, '제주의 마을'(13) 저지리, 제주도, 도서출판 반석.
  18. 유리화.정미애.이효정.최형순, 2014, 제주 선흘곶자왈 이용객의 휴양이용 특성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 학술발표회, 자료집, 75-76.
  19. 윤순진, 2006, 제주도 마을 공동목장의 해체과정과 사회.생태적 함의, 농촌사회, 16(2), 45-88.
  20. 이경미.신정훈.정헌모.김해란.김정호.신동훈.유영한, 2012, 멸종위기 식물 제주고사리삼의 입지와 식생구조의 특징에 대한 연구, 한국습지학회지, 14(1), 35-45. https://doi.org/10.17663/JWR.2012.14.1.035
  21. 장용창.이찬원, 2009, 제주도 곶자왈 숲,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 한국습지학회지, 11(1), 99-104.
  22. 전용문.김대신.기진석.고정군, 2015, 제주도 곶자왈 지대의 지질학적 분류체계 제안과 의미, 지질학회지, 51(2), 235-241. https://doi.org/10.14770/jgsk.2015.51.2.235
  23. 전영준, 2013, 13-14세기 원의 목축문화 유입과 제주사회의 변화, 제주학회 제39차 전국학술대회, 자료집, 93-112.
  24. 정광중.강성기.최형순.김찬수, 2013, 제주 선흘곶자왈에서의 숯 생산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3(4), 37-55.
  25. 정광중, 2014, 제주 선흘곶자왈 내 역사문화자원의 유형과 평가,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4(2), 1-20.
  26. 정창조, 1990, 북제주군 마을공동목장 운영실태와 축산진흥방안, 북제주, 복간호, 63-67.
  27. 최현, 2013, 공동자원 개념과 제주의 공동목장 공동자원으로서의 특징, 경제와사회, 여름호(통권 제98호), 12-39.
  28. 한국문화원연합회 제주특별자치도지회, 2007, 한경면 역사문화지.
  29. 한삼인, 2008, 공동목장조합의 법리 연구, 토지법학, 24(2), 23-58.
  30. Yim, Eun-Young, Moon, Myung-Ok, Sun, Byung-Yun, Nakanishi, Kozue, 2013, Floristics of bryophytes in Dongbaek-Dongsan at Seonheul Gotjawal, Korean Jounal of Plant Taxonomy, 43(4), 274-284. https://doi.org/10.11110/kjpt.2013.43.4.274
  31. 북제주군, 1980, 북제주군 통계연보
  32. 제주도, 1962, 제주도통계연보
  33. 제주도, 1963, 제주도통계연보
  34. 제주도, 1967, 제주도통계연보
  35. 제주도, 1970, 제주도통계연보
  36. 제주도, 1980, 제주도통계연보
  37. 제주도, 2013, 주민등록인구현황
  38. 다음 위성사진 map.daum.net
  39. (사)곶자왈사람들 http://gotjawal.com/
  40. 곶자왈공유화재단 http://www.jejutrus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