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식의 영역

Search Result 1,61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through STAD Model on High School Student' Learning Achievements and Scientific Attitudes in the Field of Astronomy (Student Team-Achievemenl Division(STAD) 모형의 협동학습이 고등학교 학생들의 천문영역에 대한 학업성취도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Park, Hong-Seo;Cho, Yong-Goo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3 no.8
    • /
    • pp.640-648
    • /
    • 2002
  •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operative teaming through student team-achievement division (STAD) model on high school students’ leaming achievements and scientific attitudes in the field of astronomy. It is another aim to compar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based on improvement scores with traditional teaching method done only by teachers in astronomy field.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wo tenth grade classes in a boy’s high school in Incheon. Students had four classes a week in cooperative learning way for four weeks. During cooperative learning classes, formative evaluation was given to students every week oil Stars and Exploring the Solar System. The results show that these two approaches have great different effects on students’ astronomical knowledge and that students adopt more positive scientific attitude toward cooperative learning classes than traditional ones. In conclusion, the cooperative learning is more effective and positive than traditional one in learning astronomical knowledge and in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for science classes.

Study of the Assessment Criteria for Programming Education of KAIE curriculum based on Bloom's Theories (블룸 이론 기반 KAIE 교육과정의 프로그래밍영역 평가 기준 탐색)

  • Shin, Soo-Bum;Kim, Chul;Jeong, Young-Si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2 no.2
    • /
    • pp.195-203
    • /
    • 2018
  • This thesis is to presented a theoretical fundamental of an assessment criteria available to a conventional curriculum because informatics subject matter education became it. We analyzed Bloom's Knowledge Dimension, Taxonomy that have suggested most general theoretical base in the educational assessment area. Also a programming area which can improve computational thinking can be the most important chapter of the informatics subject matter. Thus this thesis applied Bloom's theory to KAIE's informatics subject matter curriculum made by 2017. And the result of the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the expert panel was 14 items, 87% of Conceptual, Procedural Knowledge and 12 items, 75% of Understand, Apply Taxonomy of Bloom's Theories in the 16 items of the curriculum outlines. Applying Bloom Criteria to like these can provide theoretical fundamental of assessment trend,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 requested in the conventional education.

設計工학의 내容과 方向

  • 성환태
    • Journal of the KSME
    • /
    • v.19 no.2
    • /
    • pp.76-78
    • /
    • 1979
  • 설계공학이라는 말이 공학상의 정식용어로서 널리 쓰여지고 있는 것 같지는 않으나 국내외의 공학을 하는 사람들 사이에는 이미 알려지고 있고 이러한 제목의 서적도 몇가지는 나와 있으며 가까운 장래에 일반으로 통용되는 술어로서 승인될 것이며 그 취급하는 내용도 점차 명확해질 것으로 생각한다. 단적으로 설계공학이란 무엇이냐 하면 다음과 같이 말하여도 될 줄 안다. [좋은 설계를 능률 좋게 행하는 방법을 창출하기 위하여 공학적설계의 본질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문 이다.]라고. 종래 우수한 설계자는 기본적 공학을 채득한자가 체험으로 기능 교육적으로 양성되는 것이라고 알려져 왔다. 이것은 비단 설계뿐만 아니라 다른 학문의 경우에도 같으나 특히 설계는 그러한 면이 강한 것이 사실이다. 넓은 의미로의 설계공학은 공학의 모든 영역에 적용되는 것 이며 다시 공학뿐만 아니라 적어도 그 일부는 자연과학의 연구, 비지네스등 적어도 인간이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계획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광범한 영역중에서 본 고에서는 그 주영역을 기계공학으로 하였다. 기계공학중 종래의 기계설계라는 학과중에 기계 설계의 방침이라든지 기계설계상의 유의사항등의 표제하에 설계전반에 관한 문제가 다소는 취 급되어 왔다. 이 기계설계 과목의 학습의 주목적은 기계요소에 관한 지식의 습득이다. 기계기술 자에 요구되는 설계는 설계할 물건의 구체적인 공간적 모양. 치수와 재료를 선정하는 것이 아 니면 안되고 보통은 설계도면의 형태로 주어진다. 이 기계설계의 최종단계에서는 기계요소에 관한 지식은 없어서는 안되므로 기계요소에 관한 학습을 목적으로한 기계설계가 중요함은 말할 것도 없으나 종래의 기계설계만으로는 설계전체에 관한 연구가 부족되어 있음을 부정할 수 없고 Detail을 설계하는 설계자를 양성할 수는 있어도 더 큰 시야를 갖는 설계자의 양성에는 불충분 하였다. 설계공학에는 이점을 충분히 함으로써 종래의 기계설계를 보장하는 뜻도 있다. 설계공 학의 발생은 말할 것도 없이 공업전체의 최근의 경이적인 발달에 기인된 것이다. 즉 공학의 대 발전의 결과로서 공업과 공학에 대한 요청이 과도하게 되어 공업과 공학의 사회에 대한 책임이 증대하였기 때문에 공업. 공학에 종사하는 사람은 옛날보다 훨씬 복잡하게 상관하는 수많은 조 건을 고려하면서 보다 나은 설계를 도모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었기 때문이다. 좋은 설계라 함은 무엇이냐, 능률 좋은 설계하려면 어떻게 하면 좋은가 등의 문제에 답하는 것이 설계공학이다. 또는 설계의 process 해석이 설계공학이라고 하여도 좋을 것이다.

  • PDF

Segmentation of lung and lung lobes in EBT medical images (EBT 의료 영상에서 폐 영역의 추출 및 폐엽의 분할)

  • Kim, Young-Hee;Lee, Su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895-898
    • /
    • 2000
  • 의료 영상에서 폐 영역의 정확한 추출과 폐엽의 분할은 폐 기능의 측정 및 폐 질환의 진단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EBT 흉부 영상에서 자동으로 폐 영역을 추출하고 폐 영역을 폐엽 단위로 분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히스토그램 분석과 형태학적 연산자를 이용하여 폐 영역을 추출하고 adaptive filter를 이용한 에지 연산과 폐엽 경계(pulmonary fissure)에 대한 의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폐엽을 분할하였다. 본 방법을 여러 종류의 EBT 폐 영상에 적용하여 실험한 결과 95%이상의 정확도를 보였다.

  • PDF

Construct ion of Metaphor Ontology Using HowNet : Based on the Concept, 'Culture' (HowNet 기반 은유 온톨로지 구축: 추상개념 '문화'를 중심으로)

  • An, Dong-Gun;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6.10e
    • /
    • pp.205-21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추상적 사고를 가능하게 해주는 개념은유 표현의 서술어를 분석하여, 추상개념의 근원영역을 찾는 알고리즘을 HowNet 지식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실제로 추상개념 '문화' 가 쓰인 242개의 은유 표현 용례 문장을 가지고 제안된 알고리즘으로 근원영역을 찾고. 이를 토대로. 목표영역 '문화' 의 근원영역이 추론기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추론되는 HowNet 기반 은유 온톨로지의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어 '문화' 와 영어표현 'Culture'의 근원영역 비교를 통하여 구축된 온톨로지를 영어 번역 및 작문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보이고자 한다.

  • PDF

An Analysis of Industrial Education Discipline Items in the Examination for Appointing Secondary School Teachers (중등교사임용시험 공업계열 교과교육학 문항분석)

  • Ko, Hee-Ryung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36 no.2
    • /
    • pp.219-238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dustrial education items in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for secondary school and make a better proposal. To achieve the purpose, all the industrial education items, which had taken an examination for ten times from the school year 2002 to the most recent year 2011,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and score ratio of industrial education items had been increased quarterly from the school year 2002 to 2011, but had same sharing in all subjects and fixed since the school year 2010. Second, as the industrial education items had been increased quarterly, they were taken from more various subcategory of industrial education. Recently, the industrial education items on "complex domain" including two more subcategory of industrial education were increased. Third, the industrial education items with science education items was compared from the school year 2009 to 2011. The items on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had been increased in the industrial education but the proportion of PCK was lower than science education.

A Suggestion on College Curriculum through the Competencies analysis of College Graduates (전문대학 졸업생 역량 분석을 통한 전문대학 교육과정 방향성 제고)

  • Lee, Byung-Hwa;Kim, Soo H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11
    • /
    • pp.5448-545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to improve the quality of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by analyzing basic occupational skills and acquired knowledge of vocational college graduates. A total of 236 graduates were sampled to examine their competency importance level - competency performance level, and study differences between competency importance level and contribution level of college education. The paired sample t-test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were employed to investigat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competency importance level and Competency performance level in regard to acquired knowledge and basic occupational skills.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in 12 areas at significance level of 0.01. According to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differences were presented in 4 areas in the first quadrant, 1 in the second quadrant, 4 in the third quadrant, and 3 in the fourth quadrant. In comparison study between competency importance level and college contribution level, the latter was found to be relatively less influential as differences were presented in all of 12 areas at significance level of 0.01. This research will helps to enhance the practicality and effectiveness of education program in vocational college.

Nursing Interventions In Korea (한국의 간호사들이 행하는 간호중재)

  • Yom, Young-Hee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 /
    • v.4 no.1
    • /
    • pp.33-71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간호사들이 행하는 간호중재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한국의 2 병원에서 일하는 수 간호사와 평 간호사를 포함한 443면의 간호사이며, 연구도구는 Iowa Intervention Project Team 이 개발한 336 문항의 5점 척도로 이루어진 "간호중재"설문지를 사용하였다. 5점 척도는 다음과 같다 : (a) 거의 행하지 않는다 : (b) 거의 한달에 한번 행한다 : (c) 거의 일주일에 한 번 행한다 : (d) 거의 하루에 한 번 행한다 : (e) 하루에 여러 번 행한다. 한국자료를 위해 설문지는 본 연구자에 의해 한글로 번역되었고, Back-translation을 이용하여 한글로 번역한 설문지는 다시 bilingual nurse에 의해 영어로 옮겨졌고, 마지막으로 영어로 옮겨진 설문지를 원래의 영문으로 된 설문지와 비교한 후에(Equivalence Test) 수정${\cdot}$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한국 간호사들은 336 간호중재 모두를 행하고 있으며, 21개의 간호중재가 적어도 하루에 한 번 정도는 이루어지고 있었다. 간호사들은 "생리적 : 복합영역"에 속하는 간호중재를 가장 빈번하게 행하였고, 이 중에서 "비경구적 투약"은 일주일에 거의 11번 정도로 가장 많이 행하여졌다. 가장 적게 행하는 간호중재는 "동물이용요법"이었다. 간호사들은 교육을 많이 받을수록, 임상경험이 많을수록 더 많은 간호중재를 빈번하게 행했다. 특히, 석사학위를 받은 간호사는 "행위 영역"에 속한 간호중재를 더 많이 행했는 데, 예를 들면 "적극적 경청", "적응 증진", "의사결정지지"등이다. 또한 4년제 대학을 졸업한 간호사들은 "생리적 : 복합영역"에 속한 간호중재들을 전문대학을 졸업한 간호사보다 더 많이 행했는 데, 예를 들면, "뇌부종 관리", "반사 장애 관리", "기구를 사용한 호흡"등이다. 10년 이상의 경험을 가진 간호사들은 "행위 영역"에 속한 간호중재를 임상 경험이 1년 미만이거나 또는 1-5년 사이의 경험을 가진 간호사보다 더 많이 행했는 데, 예를 들면, "죄책감 극복 증진", "진실 말하기"등이다. 또한 6-10년 사이의 임상경험을 가진 간호사들은 "자가 간호영역"에 속한 "옷 입히기", "두발 간호", "구강건강 유지" 등을 임상경험이 1년 미만인 간호사들보다 더 빈번하게 행했다. 이 연구는 간호중재 규명이 간호원가 산출을 위한 연구와, 간호의 질 향상을 위한 연구, 간호지식 탐구를 위한 연구에 공헌할 것을 기대한다.

  • PDF

Conceptualization of an SSI-PCK Framework for Teaching Socioscientific Issues (과학기술 관련 사회쟁점 교육을 위한 교과교육학적 지식(SSI-PCK) 요소에 대한 탐색)

  • Lee, Hyunj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6 no.4
    • /
    • pp.539-550
    • /
    • 2016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nceptualize SSI-PCK by identifying major components and sub-components to promote science teachers' confidence and knowledge on teaching SSIs. To achieve this, I conducted extensive literature reviews on teachers' perceptions on SSI, case studies of teachers addressing SSIs, SSI instructional strategies, etc. as well as PCK. Results indicate that SSI-PCK include six major components: 1) Orientation for Teaching SSI (OTS), 2) Knowledge of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eaching SSI (KIS), 3) Knowledge of Curriculum (KC), 4) Knowledge of Students' SSI Learning (KSL), 5) Knowledge of Assessment in SSI Learning (KAS), and 6) Knowledge of Learning Contexts (KLC). OTS refers to teachers' instructional goals and intentions for teaching SSIs. Teachers often present a) activity-driven, b) knowledge and higher order thinking skills, c) application of science in everyday life, d) nature of science and technology, e) citizenship and f) activism orientations for teaching SSIs. KIS indicates teachers' instructional knowledge required for effectively designing and implementing SSI lessons. It includes a) SSI lesson design, b) utilizing progressive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c) constructing collaborative classroom cultures. KC refers to teachers' knowledge on a) connection to science curriculum (horizontal/vertical) and b) connection to other subject matters. KSL refers to teachers' knowledge on a) learner experiences in SSI learning, b) difficulties in SSI learning, and c) SSI reasoning patterns. KAS indicates teachers' knowledge on a) dimensions of SSI learning to assess, and b) methods of assessing SSI learning. Finally, KLC refers to teachers' knowledge on the cultures of a) classrooms, b) schools, and c) community and society where they are located when teaching SSIs.

Linking between Knowledge Management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Cases Focused on the Competency/Career Development (지식경영과 인적자원개발의 연계: 역량/정력 개발과의 연계 사례들을 중심으로)

  • Hong, Jin-Won;Ku, Tristan;Suh, Woo-Jong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10 no.3
    • /
    • pp.65-87
    • /
    • 2008
  • Knowledge management is an innovation paradigm to improve organizations competitiveness by strengthening organization's knowledge competency. Most organizations which have implemented knowledge management have experienced various difficulties in improving organization's knowledge competency, and so they have strived to find solutions. For the problems, it may be considered as an effective approach to link between knowledge management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is study introduces two real cases adopting such approach focusing on competency development and career development which are primary area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presents a model structuring core mechanisms which can be found in the cases. The model focuses on creating synergy effects between knowledge management and workforces' competency development. The cases and the model are expected to be helpful in enhancing organizational competency and the performance of knowledge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