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속가능한 관광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29초

순천만 생태관광객의 태도와 행태, 만족도가 관광소비에 미치는 영향 (The Study on the Effect of Eco-Tourist's Attitude, Behavior and Satisfaction on Tour Expenses at Suncheon Bay)

  • 박은별;김현;최희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50-63
    • /
    • 2014
  • 생태관광은 환경보전과 지역활성화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지속가능한 개발의 대표유형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생태관광의 긍정적인 환경적, 사회문화적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는 발표되고 있으나, 실제 경제적 가치에 대해서는 긍정적 의견과 부정적 의견이 엇갈리고 있으며, 경제적 효과를 높이기 위한 요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생태관광지 중 가장 많은 방문객수를 기록하고 있는 순천만의 실제 방문객 314명을 대상으로 관광행태와 태도, 그리고 만족도가 그들의 소비활동과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계관광 유무, 생태관광 경험 유무, 방문 전 순천만 생태관광에 대한 정보유무는 관광소비활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관광소비활동 중 숙박비 지출과 관광행태와의 유의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별관광객(FIT)은 단체관광객보다 적극적인 관광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숙박비, 체험 프로그램 이용비 지출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순천만 관광객은 환경적, 사회문화적, 경제적 순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긍정적인 태도를 지닌 관광객의 체험 프로그램 참여가 높았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자의 기부 의사가 높고, 만족도 또한 가장 높았다. 생태관광객의 지역경제 기여도를 높이기 위해 단체관광보다는 개별관광을 유도하고, 생태관광 체험 프로그램 참여를 독려하는 것이 요구되며, 주변 관광자원과의 연계,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 개발, 적극적인 정보 전달과 사전교육의 필요성이 고찰되었다.

생태관광자원으로서의 우포늪의 지속가능성 평가모형 (The Sustainability Assessment Model for Upo Wetland as a Eco-Tourism Resources)

  • 류정섭;이재달
    • 환경정책연구
    • /
    • 제11권1호
    • /
    • pp.3-25
    • /
    • 2012
  • 생태생태관광자원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생태관광과 관련한 전문가 집단 1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지속가능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요인에 대한 가중치의 산정, 평가지표의 개발 및 수리적 평가모형을 정의하여 우포늪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행하였다. 그 결과 현재 상태의 우포늪에 대한 지속가능성 등급수준을 확인하였으며, 등급수준의 상향을 위해 세부항목별 향상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우포늪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생태관광자원의 지속가능성 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모형과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과학적이며 체계적으로 지속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 PDF

지속가능한 관광개발 전략에 관한 연구: 카메룬 관광개발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lternative Approach to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in Cameroon)

  • 이승구;색웨 난제
    • 산학경영연구
    • /
    • 제22권2호
    • /
    • pp.35-59
    • /
    • 2009
  • 관광개발을 통한 국가발전을 도모하기위한 전략은 모든 국가들의 공통된 사안이다. 특히 경제적으로 안정된 선진국보다는 개발도상국이나 미개발국가에서 매우 선호되는 국가성장대안이 된다. 특히 인문자원보다는 자연자원을 활용하여 관광개발을 추진하려는 국가에서는 매우 신중한 개발전략 모색이 요구되며, 관광개발의 효과를 극대화하기위한 방안들이 수립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미개발국의 성장동력을 관광개발로 지정하고, 모든 가용자원을 접적화하여, 미래의 생존전략을 모색하기위한 방안을 강구하기위한 실증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아프리카 카메룬의 관련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설문과 면접을 통해 국가성장동력으로의 관광산업을 지속가능하게 추진할 있는 전략을 제시하였다.

  • PDF

지역축제의 영향에 대한 지역주민의 지각 차이 분석 (Residents' Perception Differences on the Community Festival Impacts)

  • 조배행;박종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8-81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지역축제가 지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주민의 지각을 관광관련 여부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사회교환이론의 적응가능성을 확인하고 향후 지속가능한 지역축제 개발을 위한 정책 및 마케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금산 인삼축제의 개최에 대한 관광산업관련 여부에 따른 지역주민의 지각차이 검증 결과 관광산업 관련 집단의 긍정적 축제영향은 보다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부정적 축제영향은 덜 부정적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는 사회교환이론의 관점에서 사회적 비용보다 편익이 더 많은 것으로 지각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또한 소위 부담 보다는 보수가 더 높은 것으로 지각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역축제 개최시 관광산업 관련 여부에 따른 지역주민의 지각차이를 감안하여 차별화된 지역 사회의 관심과 협력을 각각 별도로 수용하여 축제의 기획과 관리에 반영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추후 지역축제에 대한 지역주민의 영향지각에 대한 조사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그 결과에 대한 세심한 모니터링을 함으로서 향후 지속가능한 축제가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다대포항 관광어항 개발에 관한 연구

  • 강영훈;홍성기;이한석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52-154
    • /
    • 2015
  • 다대포항은 1971년 국가어항으로 지정된 후 40여년간 방치되어 왔으며, 어항 내 수리조선 등 환경저해요인으로 인하여 지역발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장소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해양레저, 관광 등 해양활동에 대한 수요 증가로 도심의 연안에 위치한 어항 등의 해양시설물을 활용, 보다 쉽고 유용하게 친수공간으로 재개발하여 활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대포항 또한 지역적 개발 요구와 함께 해양활동에 대한 최근의 트렌드를 반영한 복합관광어항으로써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대포항을 직접 활용하는 수산업종사자와 지역의 자원으로써 다대포항을 바라보는 배후지역 주민들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지속가능한 어항 개발을 위한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를 반영하여 복합관광어항으로의 다대포항 개발 방향을 제사하였다.

  • PDF

생태관광형 문화축제 참가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봉화 송이축제를 위주로 - (Visitors' Satisfaction on Ecotourism Type Cultural Festival - The case of Bonghwa Pine Mushroom Festival -)

  • 노용호;최승국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5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81-87
    • /
    • 2005
  • 생태환경을 보존하고 문화관광활동을 촉진하는 방안으로 최근에 대두되고 있는 생태관광은 인류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최선의 방안으로 요즈음 연구가 늘어나고 있다. 본 논문은 생태환경과 문화 축제라는 양면의 성격을 가진 "봉화송이축제"참가자를 대상으로 만족도를 조사하여 차후 생태관광을 통한 문화행사 추진으로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보았다.

  • PDF

체계동태기법을 이용한 지속 가능한 지역발전 전략 평가모형의 정립과 적용 - 담양군 대나무 신산업 육성전략의 파급효과 분석

  • 정회성;전대욱;김병완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79-100
    • /
    • 2006
  • 지역개발과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전략의 수립을 위해 지역의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특성을 통합한 지속가능발전 모델을 구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지속가능발전 전략의 모색과 관련정책의 파급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이러한 통합모델의 개발과 적용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높은 환경질을 유지하고 대나무와 같은 생태자원을 육성함으로써 생태관광과 대나무신산업 등의 새로운 지역개발 정책을 수행하는 전라남도 담양군을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 체계동태모형을 구축한다. 담양군 사례분석의 결과는 죽림육성 정책과 대나무신산업과 같은 지역특화산업에 대한 기술개발 및 각종 재원의 병행이 인구유입과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매우 효과적임을 제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지역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시스템적 사고를 통해 지역개발에 있어서 지역의 환경적 특성을 살린 생태자원의 육성과 적절한 산업정책을 병행하는 생태발전 전략이 지역의 지속가능발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PDF

미식 도슨트 가이드 투어를 통한 관광객 수요 분석 -광저우 시관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ourist Needs Based on Food Docent-Guided Tour -focused Guangzhou Xiguan)

  • 첸딩딩;장완석;반영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79-87
    • /
    • 2020
  • 최근 지역 문화 발전과 도시 다양성의 맥락에서 각각의 관광지들은 독특한 민속 문화를 발굴하여 관광객의 관심과 방문을 유도하고 있다. 지속 가능한 관광의 일환으로 미식 관광은 명승지 환경을 해치는 건설을 할 필요도 없고, 지역 주민과 관광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설 개선 만하면 되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기존의 미식 관광은 관광객을 풍속 현장에만 두게 되어 주체 간에 다른 문화적 차이를 넘어 민속 문화의 핵심을 체험할 수 없었다. 본 논문은 관찰 방법, 융복합 주제 연구 및 사례 연구를 통해 민속 문화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푸드 도슨트 가이드 투어의 역할을 연구하였다. 특히 도슨트 가이드 투어에서 미식 관광이 지속 가능 발전이라는 목표를 잘 달성할 수 있도록 가이드가 관광객들로 하여금 민속 문화의 핵심에 보다 효과적으로 동화되어 체험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관광지의 적정 수용력 산정과 관리 방안 연구 - 광릉지역을 사례로 - (Calculating the Carrying Capacity and Management Planning of the Gwangneung Area)

  • 김선희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21-334
    • /
    • 2005
  • 본 연구는 관광지의 적정 수용력 산정과 정책적 수요 분석을 기초로 문화$\cdot$생태자원 및 환경을 보존하고 유지하면서 관광여 가공간으로서의 합리적인 이용과 관리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수도권 북동부 주요 교통로에 입지한 광릉지역은 환경과 자원에 대한 보존가치는 물론 친문화환경적 관광여가공간으로서의 활용잠재력이 높은 문화재산림지역이다. 연구지역에 대한 사회심리적 수용력은 시간대별로 오전보다 오후로 갈수록, 이용공간별로는 주차장, 매점, 탐방로 등의 수용력이 낮게 나타났으며, 이용공간에 대한 물리적 수용력은 관광객 600여명, 차량 130여대로 분석되었다. 한편 관광객의 정책적 수요 분석 결과 광릉지역의 합리적인 이용, 관리 방안으로는 문화 생태자원의 연계탐방로 개설, 교육 프로그램 개발, 자원해설가 육성 등을 비롯하여 광릉관광권내에서의 차량통제 및 셔틀버스 운행, 관리사무소 및 주차장의 이전, 재실의 생태학교 및 전시실 활용, 편의시설과 휴식공간 확충, 관광행태의 지속적인 모니터링 등이 요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