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속가능한 관광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28초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을 위한 근대문화유산의 복원사업 갈등연구 -인천 중구 대불호텔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nflicts in Restoration Projects of Modern Cultural Heritage for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Focusing on Daebul Hotel, Jung-gu, Incheon-)

  • 심홍보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159-169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지속가능한 관광개발 및 근대문화유산의 복원과정 갈등에 관한 이론을 정립하고자 한다. 둘째,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개발주체인 지방정부(인천 중구청)와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다. 셋째,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근대호텔 복원사업 시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을 위한 갈등관리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갈등관리 전략을 제시하면 첫째, 근대문화유산 복원사업 전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에 대한 개발주체와 지역주민 간의 지향 목표가 동일한 지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둘째, 근대문화유산 복원사업 시 지속가능한 관광개발 지표 중 우선순위 항목에 대한 의견조율이 필요하다. 셋째, 근대문화유산 복원사업에서는 지역주민의 인식 전환보다는 개발주체의 인식전환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넷째, 근대문화유산 복원 사업에서 개발주체는 지역주민이 만족할 만한 대안을 찾기 위한 노력으로 지속적인 대화와 타협을 시도해야 한다. 다섯째 근대문화유산 복원사업 시에는 개발주체와 지역주민 간의 의견차이가 가장 큰 '의사조정' 부분에 특히 관심을 두고 집중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발리 관광정책과 발리행 한국인 관광객의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Bali's Tourism Policy and Determinants for Korean Tourists in Selecting Bali as Tour Destination)

  • 최경희
    • 수완나부미
    • /
    • 제5권1호
    • /
    • pp.59-105
    • /
    • 2013
  • 발리는 '신들의 섬', '세계의 아침', '지상의 마지막 낙원' 등의 이름을 갖고 있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관광지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세계적으로 유명한 여행목적지인 발리 관광을 통해 한국인은 동남아에 대해 어떤 인상을 갖게 되는가를 연구하고자했다. 최근 한국과 동남아 사이에 인간의 이동이 빈번해짐에 따라 문화교류 및 교차가 발생할 것을 전제로 하여 '한국 속 동남아현상'의 원인과 경로, 결과 등을 연구하는 배경 가운데, 특히 초국가적 단기이동으로서 관광을 통해 문화교류 및 교차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 것이다. 우선 관광목적지로 유인하는 요인에는 사회적, 지리적, 생태환경적, 문화적, 심리적 등등 다양한 요인들이 있고, 이러한 유인요인들을 매력적인 관광상품으로 개발하여 세계인들을 더 많이 유치하는 데는 관광정책에 달려있다. 무엇보다 민주화 이후 발리관광정책은 천해의 자연 및 지리조건은 물론 발리가 보유하고 있는 독특한 힌두문화, 그리고 발리를 신, 인간, 자연의 조화와 그 속에서의 평화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그 목적을 갖고 있다. 이러한 관광전략을 '지속가능한 그리고 공동체에 기초한 발전'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설문지 경험분석을 통해 한국인이 발리에 도착하기 전까지 발리를 관광지로 선택하는데 영향을 준 미디어는 TV 드라마가 제일 크고, 인터넷, 여행정보지 그리고 지인 등의 순으로 나타나고, 한국인이 발리를 관광지로 선택하는 가장 큰 요인은 뜨거운 태양과 해변, 아름다운 자연환경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발리에 도착하여 발리에 대한 매력으로 느끼는 요소는 첫째가 역시 자연환경에서 주는 만족도가 제일 높고, 흥미로운 특징으로 볼 수 있는 것은 두 번째 요소가 편리한 숙박시설 즉, 잘 갖춰진 호텔에 대한 만족도가 2순위, 쇼핑이 3순위 그리고 다양한 문화와 예술이 4순위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발리에 대한 이미지도 역시 자연환경에 대한 이미지가 가장 많은 영향을 차지하고 있고, 평화로움 그리고 신비로움 등이 발리에 대한 이미지로 자리잡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초국가적 단기이동으로 한국인 발리행 관광을 통해 동남아적 자연환경과 문화에 대한 체험은 갖게 되지만, 단기이동의 한계로서 문화교류와 교차가 실질적으로 발생하는 것은 아니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발리는 초국가적 문화의 장으로서 한국인을 포함하여 세계인과 함께 문화교류 및 교차의 장으로서 기능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PDF

생태관광의 지속가능성 평가에 관한 연구 (Sustainability Evaluation of Ecotourism)

  • 전주형;임연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448-455
    • /
    • 2019
  • 생태관광은 지속가능한 관광의 한 분야로써 관광지의 환경 보전, 주민 참여와 복지향상, 관광체험과 교육, 자연에 대한 새로운 경험과 자연을 알아가는 관광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관광 분야에서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분야이다. 생태관광은 성장과정에서 관광지의 지속가능성이 새로운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를 배경으로 이 연구는 경제적, 사회 문화적, 환경적, 제도적 지속가능성 등과 생태관광지의 지속가능성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는 생태관광지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보호지역의 지정, 생태관광지 관리 주체의 확립, 학술적 목적의 정기적인 조사와 연구, 탐방객 관리와 안내, 지역주민의 협력과 참여, 해설사와 관리자의 적극적 활동 등을 위한 제도적 뒷받침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생태관광 자원의 매력은 관광자의 접근과 지역주민의 영향에 의한 것이 많았다. 따라서 생태관광지에서 관광자의 접근, 지역주민에 의한 토지 활용 등에 주의 깊은 관리가 되어야 한다. 향후 방문자 센터의 운영, 해설사의 생태자원에 대한 전문적 교육을 통한 사명감 고취, 해설사에 의한 관광자 교육 및 안내 등이 실행된다면 생태관광지의 지속가능성에 도움이 될 것이다.

지속가능한 생태관광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Indicator Sets for Evaluating the Sustainable Eco-tourism and It's Application)

  • 이재혁;이희연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853-869
    • /
    • 2012
  • 최근 환경에 대한 인식과 관광 산업이 성장하면서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생태관광은 지역 발전 전략을 위한 대안으로도 간주되고 있다. 더 나아가 생태관광은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효과적인 도구로도 잠재성이 있는 것으로까지 인지되고 있다. 그러나 생태관광개발이 잘 계획되지 못하거나 잘못 실행되는 경우 생태관광이란 이름 하에서 가져온 경제적인 이익이 오히려 사회 생태적인 파괴를 가져오기도 한다, 본 연구는 생태관광의 지속가능성을 측정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 개발된 평가지표를 한국의 10대 생태관광지에 적용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개발된 평가지표들을 사용한 결과 여러 생태관광지를 동시에 비교하여 생태관광지 마다의 지속가능성 상태와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개발된 평가지표 체계는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생태관광을 모니터링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평가 영역별 가중치를 달리 부여한 결과 나타난 민감도 분석에서 순위 변화가 매우 작아서 평가 영역별 가중치 부여 문제가 심각하지 않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생태관광지의 지속가능성의 평가지표를 규범적, 분석적, 실증적 차원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CMIS의 필요성 (A necessity of Cav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 김원진
    • 동굴
    • /
    • 제77호
    • /
    • pp.73-75
    • /
    • 2007
  • 본 연구는, 최근 자연동굴에 대한 학계와 일반인의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다양한 측면에서 자연동굴의 활용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에 따라서 이에 자연동굴에 대한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차별적인 이용가치에 대하여 검토하고 보다 바람직한 관리와 개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그러나 최근 다수의 관광동굴들이 관리 소홀, 관광객의 인식 부족, 행정당국의 정책 부재 등으로 심각한 환경 파괴와 오염의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관광객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동굴 관련법의 현실적인 법 개정, 동굴관리자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 등이 실질적인 동굴관리에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방동굴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하여 동굴관리시스템(CMIS)의 구축과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강원 남부지역의 관광구조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ourism Structure of the Southern Region in Kangwon Province)

  • 김선희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57-274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관광환경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두드러진 강원 남부지역을 사례로 관광객. 관광자원 관광사업의 구조적 특성과 변화를 지역적으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강원 남부지역의 관광구조적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강원 남부지역의 관광구조적 특징은 강릉.원주 등 교통중심지와 정선.태백 삼척 등 석탄산지의 관광수요 규모가 크고 성장률이 현저한 반면 지역적으로 자연관광자원에 대한 높은 의존도, 관광수요의 하계 집중현상, 관광편의시설의 영세성 등이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이에 강원 남부지역의 지속 가능한 관광발전을 위하여 관광자원의 다양성 확보, 관광자원의 유형별 목록화, 지역간의 관광연계 프로그램 개발, 관광편의시설의 고급화, 관광시장의 확대, 관광권역의 세분화 등이 요구되고 있다.

주민의 부정적 관광개발 영향 지각이 지역만족과 개발태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Residents' Negative Tourism Development Impact Perceptions on Their Local Satisfaction and Attitudes toward Development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 정성문;강신겸
    • 지역과문화
    • /
    • 제7권1호
    • /
    • pp.127-152
    • /
    • 2020
  • 본 연구는 관광목적지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개발을 위한 관리의 수단으로 사회적 자본의 역할에 주목 하였다. 관광개발이 관광목적지에서 사는 주민들의 지역만족과 관광개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이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을 견인하는 중요한 장치라는 점을 규명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과잉관광 현상이 나타나는 전라남도 여수시를 원도심과 비원도심으로 구분하여 관광개발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지각이 주민 지역만족과 관광개발 태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실증 결과 관광개발이 집중된 원도심이 상대적으로 개발에서 벗어난 비원도심보다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사회적 자본이 관광개발의 부정적 영향을 줄이거나 또는 지속가능한 발전과 성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관리의 수단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에 따라 민관협치 활성화 기본조례. 지역사회 동호회, 마을 총회 등과 같은 사회적 자본의 특성들이 반영된 다양한 정책들을 마련하여 활성화 시켜야 함을 제안하였다.

생태관광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of Ecotourism)

  • 손재영
    • 산학경영연구
    • /
    • 제23권1호
    • /
    • pp.147-161
    • /
    • 2010
  • 국민소득과 여가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대안관광의 하나로 생태관광이 부각되고 있다. 생태관광은 생태적으로 민감한 자원의 보호와 지역사회 개발을 동시에 추구하며 질 높은 경험을 보장하는 장점 때문에 많은 국가와 국제기구로부터 주목을 받게 되었다. 관광환경의 변화에 따라 생태관광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생태관광객이 증가함에 따라 국민의 생태관광 수요을 충족시키는 한편, 생태자원을 보호하고 지역발전을 위해, 본 연구는 생태관광에 대한 이론적 고찰, 국내외 우수 생태관광의 사례를 바탕으로 강원도 6개 시군의 생태관광 발전방안으로 공공기관의 적극적인 지원 및 육성, 생태관광에 대한 사장조사, 지역성과 접목한 생태관광자원 조사 및 발굴, 지역주민의 참여, 지역사회의 관련 기관 및 단체와 긴밀한 협조, 환경해설 및 교육프로그램 운영, 지속가능한 개발 및 관리체계 확립이라는 7가지를 제시하였다.

  • PDF

문화.생태지역에 대한 관광행태와 만족도 분석: 광릉지역을 사례로 (Analysis on the Tourist's Behaviors and Satisfaction of the Gwangneung Area)

  • 김선희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36-350
    • /
    • 2005
  • 본 연구는 광릉지역의 관광행태와 이용 민족도 등을 분석하여 관광수요자의 기초적 속성과 행동 성향을 구명하는데 1차적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문화 생태자원 및 환경에 대한 관광객의 의식과 개발수요를 진단함으로써 광릉지역의 지속가능한 보전과 합리적인 이용 및 관리를 위한 대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연구지역의 관광행태를 분석한 결과 광릉지역의 관광유형은 가족중심의 당일 소풍형 또는 경유형으로 나타나 지역 내에서의 소비규모와 체류시간이 짧고, 서울 및 수도권 주민의 재방문율이 높았다. 생태환경 및 자원에 대한 선호도는 사실상 접근이 불가능한 생태자원에 대해 높은 선호도를 보인 반면 문화자원은 광릉지역의 관광견인력에 크게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광릉지역의 보전 및 활용 가치에 대한 관광객의 인지도는 모두 높게 평가되었을 뿐 아니라 문화 생태자원 및 환경의 보전에 대한 만족도 역시 높게 평가되었다. 반면 문화 생태자원 및 환경의 이용과 접근 시설과 관리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어 적극적인 자원활용과 시설개선 및 확충 등이 요구되고 있다.

  • PDF

생태관광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제도 도입 및 국제협력방안 - 한·중·일 생태관광 인증/지정제도를 중심으로 - (Introduction of a System for a Sustainable Ecotourism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 Focusing on the Korea-China-Japan Ecotourism Certification/Designation System -)

  • 최희선;김현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3-22
    • /
    • 2012
  • 본 연구는 생태관광의 지속가능성과 국제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생태관광의 본래적 의미를 유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외의 여러 국가에서는 생태관광 인증/지정제도의 도입이 활성화 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1년 6월 환경부에서 일정한 수준의 생태관광 상품의 질을 보장하기 위한 "생태관광 지정제" 도입을 추진하기 위해 국회에 상정한 바 있으며, 제도도입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올해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앞서 일본은 2006년부터 생태관광 프로그램의 지속성을 인증하는 굿에코투어인증 등을 시행하고 있으며, 2008년 생태관광 진흥법을 세계 최초로 제정하여 생태관광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지자체 인증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환경부)는 지속가능관광 국제파트너쉽의 일환으로 2011년 1월 개최된 제 1회 Global Partnership for Sustainable Tourism(GPST) 총회에 참석하여 운영위원회 위원국으로 선출되었으며, 제 2차 총회를 2012년 3월 한국에서 성공적으로 개최하였다. 2차 총회에서는 특히 한국이 중심이 되어 지속가능관광 아 태지역 네트워크를 추진하는 것으로 합의함으로써 아태지역의 생태관광 중심국으로의 위상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자원의 보전과 현명한 이용, 지역의 환경, 문화, 역사자원의 공유와 인식을 기반으로 한 생태관광은 개별 국가차원에서의 노력은 물론 국가 간의 협조와 동조가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자연자원에 대한 접근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생태관광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지정제와 같은 제도적 장치 마련과 함께 유사한 자연자원과 문화를 공유하고 있는 아태지역의 협력과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이 적극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