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상부 생장

검색결과 554건 처리시간 0.032초

제주도 곶자왈 상록활엽수 종가시나무의 생물량 추정을 위한 상대생장식 (Aboveground biomass estimation of Quercus glauca in evergreen forest, Kotzawal wetland, Cheju Island, Korea)

  • 정헌모;김해란;조규태;이승혁;한영섭;유영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45-250
    • /
    • 2014
  • 본 연구는 제주도 곶자왈습지에서 서식하는 상록활엽수인 종가시나무의 지상부 생물량에 대한 상대생장식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 독립변수가 DBH일 때, 줄기(Ws), 가지(Wb), 잎(Wl) 그리고 지상부(Wab)의 상대생장식은 각각 logWs=2.4042logDBH-1.3045, logWb=2.6436logDBH-1.6232, logWl=1.5428logDBH-1.3692 그리고 logWab=2.3324logDBH-0.9181이었다. 독립변수가 $D^2H$일 때, 줄기(Ws), 가지(Wb), 잎(Wl) 그리고 지상부(Wab)의 상대생장식은 각각 logWs=$0.853logD^2H-1.4252$, logWb=$0.8453logD^2H-1.5834$, logWl=$0.5328logD^2H-1.4073$ 그리고 logWab=$0.8453logD^2H-1.0327$이었다. 독립변수가 DBH일 때, 줄기, 가지 잎 그리고 지상부 상대생장식의 $R^2$값은 0.9873, 0.9711, 0.7979 그리고 0.993 이었고 독립변수가 $D^2H$일 때 0.9841, 0.9174, 0.7537 그리고 0.9876 이었다. 독립변수가 DBH인 상대생장식과 $D^2H$인 상대생장식은 모두 관측값과 예측값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어느 상대생장식을 사용하더라도 결과에는 차이가 없었다.

보리 유묘(幼苗)에 있어서 Abscisic Acid (ABA) 유도체(誘導體)가 생장(生長) 및 Peroxidase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Abacisic Acid(ABA) and its Analogues on Growth and Peroxidase Activity in Barley (Hordem vulgaris L.) Seedling)

  • 배경숙;이상갑;강상재;박창동;박우철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0권
    • /
    • pp.99-108
    • /
    • 1992
  • 천연형(天然形) ABA가 갖는 생물(生物) 활성(活性)을 향상(向上)시키기 위하여 합성(合成)된 ABA 유도체(誘導體)들의 생물활성(生物活性)과 아울러 초기생장(初期生長)과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는 peroxidase 활성도(活性度)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26{\pm}1^{\circ}C$, 암실(暗室)에서 7일간(日間) 생장(生長)시킨 보리 유묘(幼苗)의 지상부(地上部) 신장(伸張)은 3.2ppm의 (${\pm}$)-ABA, 1.2ppm의 (S)-(+)-ABA, 0.6ppm의 ABA-methyl cinnamate ester 화합물(化合物)(AC) 및 0.08ppm의 ABA-umbelliferone ester 화합물(化合物)(AU)에서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해 80% 이상의 저해(沮害)를 보여 (S)-(+)-ABA가 racemic ABA보다 약(約) 3배(倍), AC와 AU는 (S)-(+)-ABA보다 각각(各各) 약(約) 2.5배(倍), 16배(倍) 더 강(强)한 활성(活性)을 나타내었다. 발아(發芽) 후(後) 생장(生長)이 진행(進行)됨에 따른 보리 유묘(幼苗)의 지상부(地上部)의 peroxidase 활성도(活性度)는 대조구(對照區)에서는 큰 변화(變化)는 없었으나, ABA와 그 유도체(誘導體)를 처리(處理)한 보리 유묘(幼苗)의 지상부(地上部)에서는 계속 증가(增加)하였다. 생장(生長) 저해(沮害) 활성(活性)이 강(强)하게 나타난 고농도(高濃度) [3.2ppm의 (${\pm}$)-ABA, 1.2ppm의 (S)-(+)-ABA, 0.6ppm의 AC 및 0.08ppm의 AU]의 처리(處理)가 저농도(低濃度) [3.0ppm의 (${\pm}$)-ABA, 1.0ppm의 (S)-(+)-ABA, 0.4ppm의 AC 및 0.06ppm의 AU]의 처리(處理)보다 더 높은 peroxidase 활성도(活性度)를 나타내었으며, ABA 유도체들은 ABA보다 저농도(低濃度)에서 더 높은 peroxidase 활성도(活性度)를 나타내었다.

  • PDF

천연올리고당 및 Pseudomonas속 길항미생물의 단독 및 혼용처리가 고온기 칼랑코에 생육촉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ligosaccharide and Pseudomonas sp. on the Growth of Potted Kalanchoe During Summer Season)

  • 김성자;한태호;정순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07-216
    • /
    • 2003
  • 고온기 분식 칼랑코에 재배에 있어 문제는 고온 스트레서에 의한 생장의 억제로, 본 연구는 지하부 및 지상부의 생장을 촉진을 시킬 수 있다고 알려진 근권 생장촉진미생물(Pseudomonas sp. B와 Pseudomonas sp. D2)을 선발하여 사용하였으며 천연물로서는 alginoligosaccharide와 glucosamine oligosaccharide를 사용하였다. 또한 이들의 AG-용액과 단일 및 복합 처리하여 재배 온도차이를 부여한 경우 칼랑코에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상이한 지하부 온도조건은 25$^{\circ}C$, 30$^{\circ}C$ 및 35$^{\circ}C$로 처리하여, 2주후 초장, 엽장,엽폭, 엽면적, 엽중, 지상부 생체중, 근장, 근중을 조사하였다. 25$^{\circ}C$처리구에서는 초장, 엽면적, 엽중, 근중 모두 Pseudomonas sp. B와 glucosamine oligosaccharide를 혼합한 처리구가 가장 높았고, 30$^{\circ}C$의 경우 초장과 엽중은 glusosamine oligosaccharide처리에서, 엽면적과 근중은 Pseudomonas sp. D2와 algin-oligosaccharide를 처리구에서 가장 좋은 생장 효과를 나타내었다. 35$^{\circ}C$의 경우는 초장, 엽면적, 엽중, 근중 모두 Pseudomonas sp. B와 glucosamine oligosaccharide를 혼합한 처리구에서 효과가 컸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고온기 칼랑코에의 분화 재배시 문제가 되는 생장억제현상은 천연제재와 미생물 제재를 혼합처리 함으로써 크게 개선시킬 수 있었다.

논 재배 콩의 재배조건에 따른 생장 분석 (Growth Analysis of Soybean depending on Cultivating Method in Paddy Field)

  • 김용욱;조준형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2-31
    • /
    • 2005
  • 콩의 논 재배시 생육반응은 밭에서와는 다른 결과가 예상되므로, 논재배 콩의 휴립조건에 따른 생장분석을 분석 하고자 화엄 풋콩 등 5품종을 고휴와 평휴로 재배하여 생육반응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휴립조건에 따른 콩의 지상부 생육은 경장의 경우 전 생육기에서 평휴재배시 높은 경향을 보이지만, 분지수와 경직경은 생육 후기로 갈수록 고휴조건에서 큰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지상부 생육은 재배조건에 따른 차이보다, 품종간 차이가 보다 뚜렷하게 나타났다. 논에서 휴립 조건에 따른 생육단계별 콩의 지상부생육은, 생육초기인 V5 stage에서는 평휴재배시 건물 생산능력이 고휴재배시 보다 높았으나, 생육이 진전될수록 고휴로 재배할 때 건물중 생산이 높았으며, 전 생육기간 동안 품종별 차이가 뚜렷하였다. 재배조건에 따른 콩의 논에서의 지하부의 생육은, V5, R2 및 R5 stage 등 전 생육기간동안 고휴 재배시 지하부의 생육이 평휴재배조건 보다 왕성하였으며, 재배방법에 따른 고휴재배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품종간 차이는 컸다. T/R율은 평휴로 재배할 경우 높았고, 재배방법에 따른 고휴재배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품종간 차이는 인정되었다.

수수유묘에 있어서 fluxofenim의 약해경감효과와 glutathione S-transferase 효소활성 (Effect of safener fluxofenim on crop injury of chloroacetanilides and enzyme activity of glutathione S-transferase in grain sorghum seedlings)

  • 황인택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97-103
    • /
    • 1998
  • 제초제 alachlor와 metolachlor가 처리된 수수의 생장에 대한 약해경감제 fluxofenim의 약해 경감효과와 경감기작의 하나로 추정되는 GST 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제초제 metolachlor와 alachlor는 수수(품종;G522DR)의 유묘생장을 크게 억제하였는데, 지상부 및 뿌리에 대한 50% 생장억제 농도가 각각 30.8, 28.8 ${\mu}M$과 4.48, 6.23 ${\mu}M$로 두 약제 모두 수수의 지상부에 대한 억제보다 뿌리에 대한 억제가 컸다. Fluxofenim을 종자에 처리하여 파종하고 metolachlor또는 alachlor을 처리하면 수수의 유묘생장이 회복되어 fluxofenim처리에 의한 약해경감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약해경감제 fluxofenim을 처리한 것과 처리하지 않은 수수 유묘로부터 추출한 GST의 활성을 비교한 결과, fluxofenim을 처리한 수수의 유묘로부터 추출한 GST의 활성이 CDNB를 기질로 사용하였을때 70% 증가되었고, [$^{14}C$]-metolachlor을 기질로 사용하였을 때에도 82% 증가되었다. 따라서 약해경감제 fluxofenim을 처리한 수수와 처리하지 않은 수수의 metolachlor또는 alachlor에 대한 선택성의 차이는 fluxofenim 처리로 증가된 GST에 의한 metolachlor-glutathione 또는 alachlor-glutathione conjugation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Ferritin Light Heavy Chain 유전자가 도입된 인삼형질전환체의 단일배발생을 통한 식물체의 기내증식 (In vitro Propagation of Transgenic Ginsengs Introduced with Ferritin Light Heavy Chain Gene through Single Embryo Culture)

  • 윤영상;김종학;김무성;양덕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1-168
    • /
    • 2004
  • Ferritin light heavy chain (FLHC) gene는 일부 중금속과 결합, 저장 및 운반하여 무독화 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Fe 관련 유전자인 FLHC유전자를 식물 발현용 promoter인 35S promoter와 Tnos를 사용하여 식물 형질전환용 vector를 재조합하였다. 식물세포형질전환용 binary vector는 상기 cassette vector가 조립이 매우 양호하며 border sequence를 가지고 있는 pRD400 binary vector를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가나마이신 내성 유전자 (NPT II gene)와 tadpole ferritin heavy chain gene 및 human ferritin light chain gene를 함유하고 있는 binary vector를 재조합하였다. Binary vector의 아그로박테리움에 도입은 triparental mating 방법에 의하여 수행하여 AB배지 및 가나마이신 함유 배지에서 disarmed Ti-vector를 가지고 있는 Agrobacterium tumefaciens MP90/FLHC을 선발하였다. FLHC 유전자 도입된 식물형질전환용 binary vector를 이용하여 형질전환방법을 변형하여 많은 embryo를 유도하였으며 유도된 embryo들은 GA 10mg/L가 첨가된 배지에 지상부를 유도하였다. 형질전환체식물체의 정상적인 생장을 유도하기 위해 최적의 배양조건을 조사하였던 바, 비교적 1/3 MS배지에서 뿌리의 생장과 지상부의 생장이 균일하게 생장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뿌리와 줄기가 잘 발달된 약 7cm의 유식물체를 대량으로 증식하여, 모래와 흙이 1:1로 혼합된 토양에 옮겼다.

생강뿌리썩음병균 Pythium myriotyrum의 병원성 및 균학적 특성 (Pathogenicity and My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ythium myriotylum Causing Rhizome Rot of Ginger)

  • 김충회;양성석;박경석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52-159
    • /
    • 1997
  • 병든 생강으로부터 분리한 6개 Pythium 균주들은 여러 가지 형태적, 생리적 특성에서 Pythium myriotylum Drechsler로 동정되었다. 이 균들은 생강 지하부의 싹, 근경, 뿌리, 땅가줄기 뿐만 아니라 지상부 잎, 줄기 전부분에 걸쳐 병원성이 강하였다. 이 균들은 오이, 수박 등 10개 작물 혹은 잡초의 어린 묘를 부패시켰으며 보리, 옥수수 등 공시한 3개 작물 유묘의 지상부 생장이나 뿌리 생장을 현저히 억제하였다. 이 균들의 생육 최고, 최적, 최저온도는 각각 39~45$^{\circ}C$, 33~37$^{\circ}C$, 5~7$^{\circ}C$였으며 생육최적 pH는 6~7이었다. 이 균들의 균사생장은 V-8 juice 배지에서 가장 빨랐으나 기중균사량은 PDA와 옥수수전즙배지에서 가장 많았다. 유주자낭과 장난기는 V-8 juice 배지에서 가장 잘 형성되었으며 유주자낭 형성 최적온도는 균주에 따라 20~35$^{\circ}C$, 장난기 형성은 15$^{\circ}C$의 저온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 PDF

무기적(無機的) 환경요인(環境要因)이 잣나무 유묘(幼苗)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VII) -이식상(移植床)에서의 중량생장(重量生長)에 대(對)한 피음처리(被陰處理) 영향(影響)- (Effect of Inorganic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rowth of Pinus koraiensis Seedlings (VII) -The Influence of Shading Pretreatment on the Weight Growth in Transplanting Bed-)

  • 김영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1호
    • /
    • pp.100-108
    • /
    • 1988
  • 본(本) 연구(硏究)는 무기적(無機的) 환경요인(環境要因)이 잣나무 유묘(幼苗)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의 일환(一環)으로 피음격자(被陰格子)를 통(通)한 이식상(移植床)에서의 상대광도(相對光度), 식재밀도(植裁密度) 및 시기별(時期別) 잣나무 묘목(苗木)의 지상부(地上部)(간(幹), 지(枝))와 지하부(地下部)의 중량생장(重量生長)에 대해 조사(調査) 하였던 바 그 분석(分析)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지상부(地上部)의 생중량(生重量) 및 건중량(乾重量)은 상대광도(相對光度) 63%구(區)가 가장 양호(良好) 하였고, 그 다음은 100%>37%>19%의 순(順)이었다. 식재밀도별(植裁密度別)로는 밀도(密度)가 높아질수록 역시 중량생장(重量生長)이 증가(增加) 하였으며, 시기별(時期別)로는 5~6월(月)의 생장(生長)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이들 각(各) 요인(要因)이 지하부(地下部)의 생중량(生重量)과 건중량(乾重量) 생장(生長)에 미치는 기여율(寄與率)은 광도(光度)의 경우가 49.3%와 39.3%였고, 식재밀도(植裁密度)는 4.3%와 6.4%, 그리고 시기별(時期別)은 34.2%와 36.8%로 각기(各己) 영향(影響)되었다. 그리고 광도(光度)와 식재밀도(植裁密度), 시기요인(時期要因)은 상대광도(相對光度) 63%구(區)가 가장 양호(良好)하였고, 그 다음은 100%>37%>19%의 순(順)이었다. 식재밀도별(植裁密度別) 르는 밀도(密度)가 높아질수록 역시 중량생장(重量生長)이 증가(增加)하였으며, 시기별(時期別) 로는 5~6월(月)의 생장(生長)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이들 요인(要因)이 지하부(地下部)의 생중량(生重量) 및 건중량생장(乾重量生長)에 미치는 기여율(寄與率)은 광도(光度)의 경우 49.3%와 39.6%였고, 식재밀도(植裁密度)는 4.3%와 6.4%, 그리고 시기별(時期別)은 34.2%와 36.8%로 각기(各己) 영향(影響)되었다. 그리고 이들 각(各) 요인간(要因間)에 있어서 광도(光度)와 시기(時期), 광도(光度)와 밀도(密度), 광도(光度)와 밀도(密度)와 시기(時期) 간(間)의 상호작용(相互作用)과 이들 모두의 유의성(有意性)을 인정(認定)할 수 있었다. 2. 지하부(地下部)의 생중량(生重量)과 건중량(乾重量)은 상대광도(相對光度)가 높을수록 증가(增加)하는 반면(反面)에 식재밀도(植裁密度)가 높아질수록 생장(生長)은 점차(漸次) 감소(減少)하였다. 시기별(時期別)로는 5~6월(月)에 생중량(生重量) 생장(生長)이 가장 양호(良好)하였고, 건중량(乾重量) 생장(生長)은 7~8월(月)에 제일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상대광도(相對光度)와 식재밀도(植裁密度)와 시기(時期) 모두 지하부(地下部) 건중량(乾重量) 생장(生長)에 영향(影響)을 미치며 각(各) 처리간(處理間)에 유의성(有意性)을 인정(認定)할 수 있었다.

  • PDF

파종심도(播種深度)에 따른 벼와 피의 생장(生長), 중경(中莖) 신장(伸長) 및 제초제반응(除草劑反應) 차이(差異) (Effect of Seeding Depth on the Growth, Mesocotyl Elongation and Herbicidal Response of Rice and Barnyardgrass)

  • 천상욱;구자옥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9-29
    • /
    • 1995
  • 파종심도별(播種深度別) mesocotyl신장(伸長) 차이(差異)에 의한 벼와 피의 생장(生長) 및 제초제(除草劑) 반응차이(反應差異)을 구명(究明)하여 직파재배시(直播栽培時) 잡초방제체계구축(雜草防除體系構築)을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삼고자 온실내(溫室內) pot 시험(試驗)으로 수행(遂行)되었다. 식물재료(植物材料)로서 자포니카형(型) 품종(品種) 동진벼와 피중강피가 공시(供試)되어 파종심도별(播種深度別), 담수심별(湛水深別) 생장반응(生長反應)이 검토되었다. 또한 건답조건(乾畓條件)에서 파종심도(播種深度) 0cm, 1cm, 2cm 및 3cm 깊이로 파종(播種)하여 파종(播種) 후(後) 5일째 butachlor를 1800g, thiobencarb를 2100g 및 4200g ai/ha로 각각 처리(處理)하여 처리후(處理後) 10일째 벼와 피의 생장(生長) 및 제초제(除草劑) 반응(反應)을 측정(測定)하여 LSD검정(檢定)에 의해 비교(比較) 해석(解析)하였다. 무처리(無處理)된 파종심도별(播種深度別) 벼의 초장(草長)은 파종심도(播種深度)가 깊을수록, 근장(根長)은 1cm 깊이에서, 지상부생체중(地上部生體重)은 3cm 깊이에서 가장 컸으며, mesocotyl신장(伸長)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한편 피의 초장(草長)은 파종심도(播種深度) 및 담수심(湛水深)과 무관한 생장(生長)을 보였고, 근장(根長), 지상부(地上部) 및 지하부생체중(地下部生體重)은 건답조건(乾畓條件)에서 1cm 깊이에서 가장 컸고 근장(根長)은 담수심(湛水深)이 클수록 감소(減少)하였고 mesocotyl신장(伸長)은 건답조건(乾畓條件)에서만 파종심도(播種深度)가 클수록 컸으나 담수심(湛水深)과는 무관하거나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건답직파재배조건(乾畓直播栽培條件)에서 두 약제(藥劑)에 대한 벼의 지상부(地上部)경우 0cm 파종심도(播種深度)에서 약해발생(藥害發生)이 불가피하나 1cm 이상 파종심도(播種深度)에서와 지하부생장(地下部生長)은 무처리(無處理)보다 큰 생장(生長)을 보였으며 파종심도(播種深度)가 클수록 큰 생장(生長)을 보였고, 배량(倍量)에서도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한편 피의 mesocotyl 신장(伸長)은 약량(藥量) 및 파종심도(播種深度)가 클수록 감소경향(減少傾向)이 뚜렷하게 인정되었으나 제초제(除草劑)에 대한 지상부(地上部), 지하부생육(地下部生育) 및 엽신장(葉伸長) 반응(反應)은 파종심도(播種深度)와 파종심도(播種深度) 차이(差異)에 다른 mesocotyl 신장(伸長) 차이(差異)와는 무관하게 무처리(無處理)에 비해 급격히 감소(減少)하였으며 지하부(地下部)보다는 지상부생장(地上部生長)의 감소(減少)가 더 크게 나타났다.

  • PDF

식물 생산 시스템에서 수경재배한 Common Ice Plant의 재식밀도-생육-수확 도표 개발 (Development of a Planting Density-Growth-Harvest Chart for Common Ice Plant Hydroponically Grown in Closed-type Plant Production System)

  • 차미경;박경섭;조영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06-110
    • /
    • 2016
  • 식물의 생육과 생산성을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는 common ice plant (Mesembryanthemum crystallinum L.)의 작물생장률, 상대생장률,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 수확시기, 상품률과 상품수량과 같은 생육과 수확 요인들을 쉽게 읽을 수 있는 재식밀도-생육-수확(PGH) 도표를 만들기 위함이다. 광도 $140{\mu}mol{\cdot}m^{-2}{\cdot}s^{-1}$과 일장 12시간 주기로, 3파장 형광등을 이용한 완전제어형 식물공장 시스템에서 박막수경 재배하였다. 4가지 재식밀도($15{\times}10cm$, $15{\times}15cm$, $15{\times}20cm$, and $15{\times}25cm$) 하에서 생육과 수량을 분석하였다. 재식밀도가 증가할수록 어느 한계까지는 식물체당 생체중과 건물중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단위면적당 생체중인 수량 또한 같은 경향을 보였다. 작물생장률, 상대생장률과 lost time은 2차 등식 형태를 보였으며,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직선적인 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등식을 이용하여 재식밀도-생육-수확(PGH) 도표를 만들었다. 예를 들면, $15{\times}20cm$ 재식밀도와 식물체당 생체 중 100g에서 수확할 경우, 재식주수, 작물생장률, 상대생장률, lost time, 식물체당 건물중, 수확시기와 수량은 각각 $33plants/m^2$, $20g{\cdot}m^{-2}{\cdot}d^{-1}$, $0.27g{\cdot}g^{-1}{\cdot}d^{-1}$, 22days, 2.5g/plant, 정식 후 26일과 $3.2kg{\cdot}m^{-2}$이었다. 이 도표를 가지고 적어도 2가지 요인 예를 들면, 재식밀도와 수확요인 중 하나만 알면, 작물생장률, 상대생장률, lost time과 같은 생육 요인과 지상부 생체중, 지상부 건물중, 수확시기와 수량과 같은 수확 요인들을 쉽게 구할 수 있다. 이러한 도표는 다양한 작물의 생육과 수량 요인을 예측할 수 있어 완전제어형 식물 생산 시스템 설계를 위해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