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리학 연구 방법

검색결과 408건 처리시간 0.027초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애추 분포 가능지역 추출 - Weight of evidence 기법을 중심으로 - (Extraction of the Talus Distribution Potential Area Using the Spatial Statistical Techniques - Focusing on the Weight of Evidence Model -)

  • 유재진;장동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33-147
    • /
    • 2014
  • 애추와 같이 인간의 접근이 쉽지 않은 지형의 현장조사에서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실제 현장조사 전에 대상 지형자원의 범위를 줄이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 지형자원의 현장조사 범위를 줄이기 위해 기존 지형의 위치와 기타 GIS 정보 사이의 관계를 확률로 표현하는 자료유도형(target-driven) 공간통계기법인 Weight of Evidence 기법을 적용하였다. Weight of Evidence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 애추와 관련된 지형요소를 선정한 후 지형요소와 GIS 정보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근거로 우도비를 산출하였다. 각각의 주제도에 대한 경우의 수를 산정한 후, SRC 및 AUC 방법을 이용하여 애추 분포 가능지수가 가장 큰 조합을 찾았다. 애추 분포 가능지수가 가장 큰 주제도의 조합은 사면향도와 지질도, 경사도, 토지피복도, 유효토심도, 토양배수도의 조합으로, 애추 분포 가능지 면적비가 74.47%로 나타나 상당히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디퓨젼 공식 모델을 이용한 한국 사면 지형의 연대 측정 연구 (The Age Dating of Slope Landform in Korea Using Diffusion Equation Model)

  • 이민부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71-384
    • /
    • 1999
  • 디퓨젼 공식 모형은 한국 하천의 중.상류 지역의 하안 단구의 단구애와 같은 삭박 사면에 대한 연대 측정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지형 연대 측정 방법은 최대 사면각, 사면의 높이 등과 같은 사면단면에 대한 측정된 자료를 사용하는 보조적 연대 측정법의 하나이다. 토탄층에 대한 탄소연대측정법 또는 화분분석과 같은 방법으로 잘 통제되어진 연대를 이 모형에 적용하여 생성 연대를 모르는 다른 사면의 연대를 추정하는데 사용될수 있다. 적용사례로 경북 영양의 연지 저위단구에서 구해진 연대값 6ka를 이용하여, 최대 사면각과 사면의 높이간의 모의실험을 통해 연지 단구의 저위면/중위면 사이의 단구애 상의 삭박률 100 10-4m2/yr.을 구할수 있었다. 이 삭박률을 영춘 단구의 저위면/중위면 사이의 단구애의최대 사면각과 사면 연대간의 모의실험에 적용하여 영춘 단구의 저위면/중위면 사이의 단구애의 형성 시기를 약 37,000년 전으로 구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보다 정밀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남한강 중.상류의 단구 지역에 대한 적절한 사면 측정 자료가 요구된다.

  • PDF

한국의 산업클러스터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Industrial Cluster in Korea)

  • 정병순;박래현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9-43
    • /
    • 2007
  • 본 연구는 산업클러스터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론을 탐색하고, 이에 기초하여 한국의 산업클러스터를 식별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년 I/O자료를 활용하여 상관계수행열표가 일차적으로 분석되고, 다시 이를 요인분석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산업클러스터를 도출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분석의 결과, 요인으로 도출된 37개 가운데 분류가 불분명한 5개 요인을 제외한 32개 요인이 최종 산업클러스터로 식별되었다. 이를 식별한 산업클러스터는 다시 산업코드 간 전환과정을 거쳐 표준산업분류체계에 의한 산업클러스터로 재구성함으로써 정책에의 적용 가능성을 향상시켰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대개 사례연구에 기초하거나 정성적 분석에 기초한 그간의 클러스터 연구와 비교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연구의 수행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복리환경의 시공간적 변화: 1985년~2005년 전남지역을 사례로 (Spatio-Temporal Changes of Social-wellbeing: A Case Study of JeollaNamdo Region, 1985~2005)

  • 김병선;김영성;정수열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04-215
    • /
    • 2011
  • 공공서비스의 지역적 불균등을 분석하는 것은 사회복리지리학에 가장 큰 주제 가운데 하나이다. 이 연구는 1885년~2005년 동안 광주광역시를 포함한 전라남도 지역을 대상으로 연구지역의 객관적인 사회복리 수준의 지역적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군집 분석기법을 비롯한 다양한 사회복리 수준 측정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지난 20년 동안 연구지역의 전반적인 사회복리 수준이 향상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도서지역의 경우 사회복리수준의 발전이 상대적으로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서지역의 사회복리 수준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이 수립될 필요가 있다.

  • PDF

미국의 산업집적 추이와 도로교통망의 인과관계 분석 (Evolution of Industrial Agglomeration and Its Causal Relation with Road Networks in the U.S.)

  • 송예나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72-86
    • /
    • 2013
  • 산업집적은 경제지리학에서 오랫동안 연구되어온 주제 중의 하나이며 지금까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산업집적 현상을 설명하고 이의 영향을 평가해왔다. 하지만 시계열 데이터를 이용해 집적의 추이를 살펴본 연구는 아직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지난 29년 간의 데이터를 이용해 사례로 선정된 산업들의 집적 정도를 평가하고 이러한 시계열 패턴과 도로 네트워크의 확장이 어떠한 인과관계를 맺고 있는 지 살펴보고 있다. 집적 정도를 측정한 결과 사례로 선정된 산업의 종사자들은 지리적으로 균등하게 분포되지 않고 있었다. 또한 사례 산업들 간에 공통된 시계열적 변화 특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각 산업의 발전 단계 및 비즈니스 환경 변화가 개별 산업의 집적 정도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 있다. 집적 정도와 도로교통망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각 산업 별로 Granger causality test를 실시하였고 도로 교통망이 산업 집적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몇몇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반대의 경우 혹은 상호 간에 영향을 주는 사례도 나타나 교통망과 산업집적이 보다 복잡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보여준다.

  • PDF

고령친화산업 행위주체 테트워크의 구조적.공간적 특성: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The Structu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Actor Network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Based on the Social Network Analysis)

  • 구양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26-543
    • /
    • 2008
  •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제조부문과 관련된 행위주체 네트워크를 사회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구조적, 공간적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기존의 경제지리학 연구들이 네트워크 거버넌스 측면에 강조를 둔 것에 비해 본 연구는 네트워크 구조 분석에 초점을 두었다. 행위주체를 기업과 조직으로 나누어 네트워크 매트릭스 자료를 구축하고, 중심성 지수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위상구조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공간구조적 분석을 위해서 행위주체의 지역별 비율을 비교하고, 중심성 지수와 거리 지표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블록모델링을 이용하여 행위주체간 네트워크를 지역간 네트워크로 변환하여 공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초기 제도구축 과정에 있는 고령친화산업은 정부의 산업진흥 정책으로 비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조직들이 네트워크에서의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비수도권 간의 네트워크 역시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젠트리피케이션에 관한 일고찰: 레이와 스미쓰의 1980년대 연구를 중심으로 (A Discussion of the Explanations of Gentrification - Focusing on Ley일s and Smith일s Works in the 1980s)

  • Pillsung, Byun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471-486
    • /
    • 2003
  • 도심 부흥 및 재개발로서 나타나는 젠트리피케이션은 도심 및 이너시티에서 일어나는 인구 및 사회적 구성의 변화와 부동산의 물리적.경제적 특성 변화를 포괄한다. 1970년대 이후 젠트리피케이션은 학문적으로 많은 조명을 받아왔고 동시에 도시지리학 분야내 이론 및 이념 논쟁의 장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는 그러한 논쟁에 참여해온,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두 가지 접근, 즉 소비중심 접근과 생산중심 접근을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접근을 대표하는 데이비드 레이와 닐 스미쓰의 젠트리피케이션에 관한 연구를 재고찰하고 비판적으로 평가하였다. 특히 1980년대에 출간된 레이와 스미쓰의 연구를 중심으로 하여, 각각의 접근방법론이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부분적 설명에 그치고 있음을 중점적으로 논의하였다.

  • PDF

지역 자료의 공간 단위 재구성 기법 및 에러 검증 : 인구가중치 내삽법 (Research on Areal Interpolation Methods and Error Measurement Techniques for Reorganizing Incompatible Regional Data Units : The Population Weighted Interpolation)

  • 신정엽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89-406
    • /
    • 2004
  • 최근 지역 연구의 활성화와 더불어 지역 자료의 중요성이 점점 강조되고 있다. 그런데 실제 이용가능한 지역 자료의 공간단위는 연구 분석을 위한 기능지역 단위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지역 단위 자료를 연구 분석을 위한 공간 단위로 재구성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면적 가중치 내삽법, pycnophylactic 방법, dasymetric 방법, Area-to-point 내삽법 등을 검토하고 도시지역 자료의 효율적인 재구성 방법으로 면적 가중치 내삽법을 수정하여 인구 가중치 내삽법(population weighted interpolation)을 제안하였다. 인구 가중치 내삽법은 미국 뉴욕주 이리 카운티(Erie County)를 연구 사례로 면적 가중치 방법 pycnophylactic 방법을 RMS 에러, 자료 분포 유형, 공간 자기상관의 측면에서 비교되었다.

  • PDF

지형패턴(Geomorphons)을 이용한 새로운 지형분류방법 (Landform Classification using Geomorphons)

  • 김동은;성영배;손학기;최광희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39-155
    • /
    • 2012
  •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DEM을 이용한 지형분류는 중심 셀과 주변 셀과의 수치를 비교하기 때문에 그 결과 값이 분석반경에 민감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지형패턴(Geomorphons)을 이용한 새로운 방식의 지형분류 방법이 등장하였는데 이는 중심 셀과 주변 셀의 높이를 비교하여 그 패턴을 저장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형을 분류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형패턴 분류법을 이용하여 평창강 유역을 대상으로 지형을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최근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 지형분류방법 중의 하나인 Topographic Position Index(TPI)와 분석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이미 기 구축된 하계망도, 유역도와 비교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발견하였다. 첫 번째로 지형패턴 분류법은 구축시간과 구축비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중심의 지형분류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개방성을 이용한 패턴을 기반으로 지형을 분류하였기 때문에 스케일종속성(scaledependency) 문제를 상당부분 극복하였다. 이는 지형패턴에 기반한 지형분류방법이 기존의 지형분류방법들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계승하면서 기존의 방법들과는 다른 독특한 강점이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형패턴을 이용한 지형분류방법이 보다 다양한 분야에 걸쳐 광범위하게 이용되기 위해서는 현장답사를 통해 실제 지형과 분류된 지형이 일치하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검증이 필요하다.

수출입 화물 특성과 무역관문의 위상에서 본 부산항의 변화, 1991~2010년 (A Study on the Changes in Characteristics of Trade Freights and the Status as a Gateway of Busan Port between 1991 and 2010)

  • 이정윤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5-70
    • /
    • 2012
  • 부산항은 개항 이래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가장 중요한 무역관문 기능을 수행해 왔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중국의 세계경제 편입과 급속한 무역구조 변화에 따라 우리나라 무역관문체계는 큰 변화를 겪었으며 수출입 관문으로서 부산항의 위상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부산항은 지난 20년 동안 대일, 대미 무역에서의 역할은 상대적으로 더욱 중요해진 반면, 대중국 교역에서의 기여도는 오히려 감소하고 있다. 또한 주요 화물품목별 교역에서도 수출입 관문으로서 부산항의 경쟁력은 지속적으로 저하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현상은 수출입 공급사슬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무역관문간 경쟁이 심화되는 현실이 반영된 것이다. 특정 항만의 취급 화물 특성과 그 변화를 분석하는 노력은 항만을 배후지와 지향지의 핵심 연결고리로 이해했던 지리학의 연구전통에 부합하는 것이며, 오늘날 국제물류 현상의 역동적인 변화를 분석함에 있어 매우 유용한 연구방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