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리조사

Search Result 1,37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Flora of Songni Mountain and Its Phytogeographical Interpretation (속리산의 식물상 및 식물지리학적 해석)

  • 김용식;김갑태;우종서;이규완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4 no.1
    • /
    • pp.16-22
    • /
    • 1990
  • In the present field study, the number of woody flora of Mt. Songni were summarized as 44 families, 89 generas, 140 species, 10 varities and 2 forms. Also, the flora among inland areas such as Mt. Paektu, Mt. Sorak, Mt. Songni, and Mt. Chiri, and insular areas, such as Oyoujong Island. Tokjok Archipelago, Kok-unsan Archipelago and Cheju Island, were compared, respectively, in order to interpret the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flora of this area. The flora of Mt. Songni were characterized as similar to the flora of Mt. Sorak, and also with that of Mt. Chiri. It was interpreted both the northern types of plants such as Aceraceae, Araliaceae, Fagaceae, Tiliaceae and Ulmaceae and the southern types of plants such as Celastraceae, Convolvulaceae, Euphorbiaceae, Rhamnaceae, Solanaceae, Crassulaceae and Urticaceae were fluxed considerably into this region.

  • PDF

Visito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of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o Park Management and Use in the Chirisan National Park, Korea (지리산국립공원 이용객 행태 및 이용.관리에 대한 중요도-성취도 분석)

  • 유기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4
    • /
    • pp.367-374
    • /
    • 2000
  •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의 동부지역을 찾은 이용객의 이용 행태의 분석 및 중요도-성취도 분석방법을 통해 관리와 이용관련 속성들에 대한 중요 정도와 실제만족도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이용객 직접기입 방식의 설문조사가 현지에서 실시되었다 총 254명이 본 설문조사에 참여하였으며 응답자들의 사회경제적 특성 및 방문특성은 다른 국립공원 이용객조사에 나타난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최근 대두되고 있는 환경문제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이와 더불어 이용보다는 보전이 우선하는 국립공원 관리정책에 더 큰 관심을 나타냈다 각 관리 및 이용관련 속성에 대한 중요 정도와 만족도 결과는 수질의 상태 자연식생의 보존상태 공원 내 쓰레기 문제, 야생동물의 보호상태에 특히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으며 휴양.관광 프로그램의 다양성 여부와 야생동물의 보호상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나타낸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Plant Recovery of the Burnt Area around Samsinbong in Chirisan National Park (지리산국립공원 삼신봉주변 산불지역의 식생회복현황)

  • 김정호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4 no.1
    • /
    • pp.18-27
    • /
    • 2000
  • 지리산국립공원 동부지역인 경남하동군 화개면에 위치하는 삼신봉(해발 1,284m) 산림 중 산불이 발생하였던 지역의 식생회복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산불이 발생하였던 지역에 20개 조사구 대조지역에 12개 조사구를 설정하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산불이 발생하였던 지역에 설정한 20개 조사구를 대상으로 TWINSPAN과 DCA를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군집(I) 신갈나무-쇠물푸레군집(II) 으로 분리되었고 대조지역에 설정한 조사구는 신갈나무군집(II)이었다 군집 I과 군집II에서 교목층과 아교목층의 대부분 수목이 고사상태이었고 관목층에서는 산화후 천이 초기에 나타나는 조록싸리가 우점하고 있었다 상대우점치와 유사도지수를 분석한 결과 산불이 발생하였던 신갈나무군집(I) 신갈나무-쇠물푸레군집(II) 은 대조구인 신갈나무군집(III)과 유사도지수분석에서 유사성이 높았는데 산불발생 이후 피해를 입은 신갈나무가 맹아에 의해 회복속도가 빠른 것으로 추정되었다 Shannon의 종다양도는 산불지역(군집 I,II)에서 각각 0.3259, 0.4727이었고 대조구 (군집III)는 0.1084로 나타났다.

  • PDF

Plant Community Structure by Aspect and Altitude at Eastern District in Chirisan National Park (지리산국립공원 동부지역 해발고와 사면에 따른 식물군집구조)

  • 지용기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4 no.1
    • /
    • pp.67-79
    • /
    • 2000
  • 지리산국립공원 동부지역의 해발고와 사면에 따른 식물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1999년 7월에 49개의 조사구(20m$\times$15m)를 설치하여 조사하였다 해발고가 올라감에 따라 북사면에 위치한 조사구에서는 구상나무와 신갈나무의 평균상대우점치가 증가하였고 천왕봉 해발 1,700m이상 지역에서는 가문비나무가 우점종이었으며 해발고가 올라갈수록 상대우점치는 증가하였다 반면 남사면에 위치한 조사구에서는 해발고가 올라감에 따라 신갈나무의 평균상대우점치는 감소하였고 구상나무의 평균상대우점치는 증가하였다 해발고에 따른 북사면과 남사면의 종수와 개체수는 북사면에서보다 남사면에서 많았고 입지환경과 종간상관관계에서는 가문비나무 신갈나무, 잣나무가 해발고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서어나무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동일 해발고에서도 사면상 위치에 따라 식물군집구조 및 종구성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 PDF

A Study of American Geography Educators' Knowledge on Korea and Perception on Sovereignty Education (미국 지리교육자의 한국에 대한 지식과 주권교육 중요성 인식에 관한 연구)

  • Yoon, Okkyong;Choi, Jongnam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0 no.3
    • /
    • pp.344-355
    • /
    • 2014
  • This study examines American geography educators' familiarity and knowledge of Korea, their perception on sovereignty education, and their knowledge on Korea's sovereignty issues using the survey conducted at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National Council for Geographic Education (NCGE) in the United States in 2010 and 2012. This study also analyzes how much these knowledge and perception influence on values of sovereignty education and Korea's sovereignty issues and further investigates proper educational approaches on territorial issues in Northeast Asia. Knowledge on the geography of Korea of American geography educators is higher than their knowledge on Korean culture. Both experiences attending educational programs about Korea and visiting Korea further enhance their knowledge on the geography of Korea and Korean culture. They agree the importance of sovereignty education in geography education and believe that sovereignty education should promote students' sense of patriotism and encourage students to be global citizens who promote public interests. However, they value less on teaching on the economic value of their own country's territory and students' ability to understand territorial conflicts with other countries. American geography educators' perception on sovereignty education improves their familiarity with and knowledge of Korean territorial issues. This study identifies that providing opportunities to learn about Korea and Korean territorial issues can maximize geography educators' accessibility to Korean territorial issues, regardless of their interest in territorial issues. These findings help Korean government develops better strategies for formulating and implementing future international public relations practices for Korean territorial issues.

  • PDF

A Study on Users' Attitude Toward the Forest Trails - Focused on the Jirisan Dulegil - (숲길 이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 지리산 둘레길을 중심으로 -)

  • Yoo, Ki-Jo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8 no.2
    • /
    • pp.247-252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information which will be useful for managing the forest trails effectively. To investigate users' attitudes toward the forest trail construction and u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employed in the Jirisan Dulegil. As the results, most of the respondents perceived that the Jirisan Dulegil have positive impact economically and socio-culturally on community growth. Contrastively, a negative perception existed in the environmental aspect. The users' satisfaction level regarding the Jirisan Dulegil appear to be positive. Users' satisfaction level regarding use services provided in community boundary was evaluated relatively lower. In this point of view, trail use service system provided in the community should be reconsidered for effective forest trail management.

Methods and Issues of the Area Studios in Geography (해외지역연구의 방법과 과제)

  • Lee, Je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0 no.2
    • /
    • pp.223-234
    • /
    • 2004
  • Geography as a field of learning had its beginnings among the scholars of ancient Greece. The emergence of modern Geography was much due to the collection and classification of information about overseas areas. Today, world regional geography, which may be called area studies in other social sciences, is regarded as an introductory geography course in many American universities. World regional geography, however, has been much neglected by Korean geographers. Many factors have made Korean geographers not concentrate their efforts to area studies. The exterior factors include the great expenses for the area studies' fieldworks, and the many geographers' involvement in the writing of geography textbooks and atlases for school students. The interior factors include all the ethno-centric, mysterious, and authoritarian perspectives a large number of Korean geographers strongly stick to.

  • PDF

Survey and Research of Geographic and geologic centers in South Korea using GIS (GIS를 이용한 남한의 지질 및 지리적 중심에 관한 연구와 조사)

  • Hwang, Jae-Hong;Jeong, Won-Seok;Na, Gi-Chang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9a
    • /
    • pp.437-445
    • /
    • 2005
  • 지리 중심에 대해서 확실하게 정립된 정의와 이에 대한 여러 가지 방식이 존재하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지리 중심을 산출하는데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또한 지표면은 굴곡이 심하고 다양한 암상으로 구성되어 밀도 분포가 매우 불균질하고 그 경계 또한 불규칙한 굴곡이기 때문에 중심점을 구한다는 것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한 지역에 중심의 정의와 산출 방식에 따라서 여러 중심점이 존재 할 수 있는 것이다. 지리중심결정에 대한 유일한 해법은 없으며 어떤 과학자도 단정할 수 있는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정보시스템 분석을 통하여 남한내륙의 지리적, 지질학적 중심지를 정확히 밝히고 학술적으로 정립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기존 연구된 사료 수집은 물론 자료 처리를 위한 수치 지형도, 수치 지질도 등의 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또한 지질 및 지리정보 시스템 구축을 위한 사전 준비 작업으로 한국에서 적용된 사례 및 외국의 적용 사례를 파악하고 데이터 수집 및 처리 과정을 적용해 보았다. 그리고 지리정보 시스템의 분석 개념을 설명함으로써 이 분석방법이 얼마나 타당한 분석방법인지에 대해서 고찰해보았다. 중심을 구하기 위해 적용된 조건은 지각이 등밀도 평면일 경우와 암상에 따라 불균질한 평면일 경우로 가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남한 내륙의 무게중심점 및 기하학적인 중심점은 매우 다양하게 산출되었다. 그 결과 단순 남한내륙의 해안선 경계를 이용한 여러 중심점들은 대체적으로 충청북도 남부의 반경 20km 이내의 버퍼영역에 밀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정보시대의 국가지리 정보체계 (8)-도시지하시설물 관리에서 지리정보시스템의 역할

  • Choe, Byeong-Nam
    • 정보화사회
    • /
    • s.111
    • /
    • pp.57-60
    • /
    • 1997
  • "GIS가 만들어지면 행정 및 국가전략기획, 사회조사 계획 등을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구지역의 도시계획을 입안할 경우 지하철, 전화선, 전기배선망, 상.하수도, 도시가스 등을 한눈에 보면서 종합적인 일정을 마련할 수 있다. 대구시에서 구단위 동단위를 확대하면 불과 1cm 단위의 거리에 위치한 정보까지도 검색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이 진작 만들어졌다면 이번 대구 대형참사를 사전에 예방할 수 도 있었을 것이다." 이는 대구지하철공사장 가스폭발사고가 발생한 후 어느 신문에 게재된 기사중의 일부이다. 이 사고를 바라다보는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GIS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어떻게 들으면 GIS가 구축되지 않아 이러한 사고가 발생했다고 하는 말과 같이도 들린다. 이 기사는 사실 틀린 말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 기사내용을 찜찜한 마음으로 쉽게 받아들일 수 없는 'GIS가 만들어지면'이라는 말 때문이다. 이런 찜찜한 마음이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여기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도시지하시설물 관리체계를 구축하는데 어떤 문제가 있고, 지리정보시스템이 도시지하시설물 관리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 PDF

Sex Differences and Gender Traits in the Geographic Learning (지리 수업에서 나타나는 성별 차이와 젠더 특성)

  • Kang Chang-Soo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9 no.6 s.105
    • /
    • pp.971-983
    • /
    • 2004
  • It is increasingly clear that student mastery of concepts and skills in geographic education is based on a complex set of variables. Sex and gender are the key variables. Much has been written about biological sex differences in learning, but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impacts of socio-cultural gender on learning geography. As such, the aims of this paper are two-fold. First, to examine theories which seek to explain why males and females might differ in their geographic and spatial knowledge or skill. Second, to examine the extent of sex differences and gender traits in the geographic learning. The results of study illustrate clearly that there are more similarities than differences between the sexes. Therefore, there a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between the preferences of regions, contents, activities in the secondary geographic learning. The results also provide insights into improving contents and method of geographic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