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x Differences and Gender Traits in the Geographic Learning

지리 수업에서 나타나는 성별 차이와 젠더 특성

  • 강창숙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It is increasingly clear that student mastery of concepts and skills in geographic education is based on a complex set of variables. Sex and gender are the key variables. Much has been written about biological sex differences in learning, but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impacts of socio-cultural gender on learning geography. As such, the aims of this paper are two-fold. First, to examine theories which seek to explain why males and females might differ in their geographic and spatial knowledge or skill. Second, to examine the extent of sex differences and gender traits in the geographic learning. The results of study illustrate clearly that there are more similarities than differences between the sexes. Therefore, there a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between the preferences of regions, contents, activities in the secondary geographic learning. The results also provide insights into improving contents and method of geographic education.

학생들의 지리적 이해와 개념 발달 그리고 기능 습득 등이 복합적인 배경 변인의 영향을 받고 있음이 점점 더 분명해지고 있다. 복합적인 배경 변인 중에서 성별 차이는 오랫동안 지리학자와 심리학자들의 관심 대상이었다. 최근 지리적 지식과 공간적 능력에서 나타나는 성별 차이는 성적 고정관념을 강화하는 사회문화적 요인들에서 기인한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지리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고려되는 성별 차이는 단순한 차이 그 자체보다는. 다면적인 젠더에 대한 과정 변인으로 진술되고 탐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성별 차이와 젠더 특성이 지리 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실제 중학교 지리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학습 지역과 학습 내용 그리고 학습 활동에 대한 성별 차이와 젠더 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지리 학습에서는 성별 차이보다는 유사성이 더 많이 나타났으며. 젠더별 특성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는 학습의 개인차를 고려하는데 적절한 것은 단순한 성별 차이보다는 좀더 구체적이고 다면적인 젠더 특성임을 시사한다. 더불어 이러한 특성들이 학습 효율성을 장려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지면, 지리 교육을 증진하는데 직접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창숙, 2002, '성별차이와 gender 특성이 지리 학습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교육연구, 9(2), 245-257
  2. 김남숙. 정진경. 박광배, 1997, '한국 성역할 검사의 수정점수 및 분류기준 산출,'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11(2), 77-90
  3. 서태열, 1996, '한국 학생의 위계적 포섭관계에 대한 이해의 발달단계,' 지리학논집, 22(1), 181-189
  4. 이경한, 1988, '아동의 공간 인지 능력의 발달에 관한 연구-인지도 분석을 중심으로-,' 지리교육논집, 20, 67-83
  5. 이달석, 1991, '메타인지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학연구, 29, 39-55
  6. 정진경, 1990, '한국 성역할 검사(KSRI),' 한국심리학회지(사회), 5(1), 82-92
  7. 정진경, 1994, '여성학 방법론-심리학 연구의 여성학적 접근방법-,' 한국여성학, 10, 283-306
  8. 황병원, 1998, 지리 교수 전략으로서 개념도 활용-고등학교 한국지리 '도시'단원의 성취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Auster, C. J. and Ohm, S. C., 2000, Masculinity and femininity in contemporary American society: a reevaluation using the bem sex-role inventory, Sex Roles, 43(7/8), 499-528
  10. Bem, S. L., 1981, Gender schema theory: a cognitive account of sex typing, Psychological Review, 88(4), 354-364
  11. Gillmartin, P. and Patton, J. C., 1984, Comparing the sexes on spatial abilities: map-use skills, AAAG., 74, 605-619
  12. Gonzalez, B., and Gonzalez, E., 1997, Equal opportunity and the teaching of geography., in Tilbury, D., and Williams, M.(eds.), Teaching and Learning Geography, Routledge, London, 117-129
  13. Hardwick, S. W., Bean, L. L., Alexander, K. A., and Shelly F. M., 2000, Gender vs. sex differences: Factors affecting performance in geographic education, Journal of Geography, 99, 238-244
  14. Kitchin, R. M., 1996, Are there sex differences in geographic knowledge and understanding?, The Geographical Journal, 162(3), 273-286
  15. Leat, D., 1997, Cognitive acceleration in geographical education., in Tilbury, D., and Williams, M.(eds.), Teaching and Learning Geography, Routledge, London, 143-153
  16. Liven, L., 1981, Spatial representation and behavior: multiple perspectives, in Liven, L., Patterson, A. M. and Newcombe, N. (eds.), Spatial Representation and Behavior Across the Life Span, Academic Press, New York
  17. Rose, G., 1993, Feminism and: Geography: the Limits of Geographical Knowledge, Polity Press, Cambridge
  18. Self, S. M., Gopal, S., Golledge, R. G., and Fenstermaker,S., 1992, Gender-related difference in spatial abilities, Prog. Human Geogr., 16, 315-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