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hods and Issues of the Area Studios in Geography

해외지역연구의 방법과 과제

  • Lee, Jeon (Dept. of Geography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이전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학부 지리)
  • Published : 2004.06.30

Abstract

Geography as a field of learning had its beginnings among the scholars of ancient Greece. The emergence of modern Geography was much due to the collection and classification of information about overseas areas. Today, world regional geography, which may be called area studies in other social sciences, is regarded as an introductory geography course in many American universities. World regional geography, however, has been much neglected by Korean geographers. Many factors have made Korean geographers not concentrate their efforts to area studies. The exterior factors include the great expenses for the area studies' fieldworks, and the many geographers' involvement in the writing of geography textbooks and atlases for school students. The interior factors include all the ethno-centric, mysterious, and authoritarian perspectives a large number of Korean geographers strongly stick to.

지리학은 고대 그리스 시대에 알려진 세계 흑은 거주가능지역에 대해 기술하는 학문으로 출발하였다. 현대지리학에서도 세계의 여러 지역에 대한 연구는 지리학의 핵심 분야에 속한다. 지리학은 다른 인문사회과학 분야들에 비교해볼 때, 해외지역연구에 주도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학문적 특성을 갖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지리학계에서는 해외지역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진한 편인데, 그 요인은 한국 지리학계가 처한 환경에서 비롯된 것과 한국의 지리학자들이 취하고 있는 내적 관점에서 비롯된 것이 있다. 환경 요인으로는 해외지역연구에 수반되는 현지조사비를 부담해야 하는 요인과 중등지리 교과서나 지리부도 집필에 지리학계의 연구 인력을 지나치게 소모하는 요인을 들 수 있고, 내적 요인으로는 한국 지리학자들의 국수주의적 관점, 신비주의적 관점, 권위주의적 관점 등을 들 수 있다. 근래 한국 지리학자들은 해외지역연구의 방법론에 대해 상당한 관심을 갖고 있으나, 경험적이고 구체적인 해외지역연구는 아직 빈약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