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리정보 표준화

Search Result 16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GML Document Editing and Translation System based on Vector Graphic (벡터 그래픽 기반의 GML 문서 편집 및 변환 시스템)

  • Kim, Chang-Su;Yeom, Sung-Keun;Jung, Hoe-Ky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3 no.6
    • /
    • pp.1058-1064
    • /
    • 2009
  • According to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generalization of internet, practical use field of geography information became various. Therefor variou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constructed to manage geography information efficiently. However, geography information data of various form is depending on graphic authorizing tool of various form being not normalized each other. So,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 proposed GML(Geography Markup Language) that describe normalized geography information data that can apply mutually and W3C proposed SVG(Scalable Vector Graphics) of vector base. In this paper creates GML data of XML base for geography information data processing to vector graphic object, and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ML document editing and translation system that define code converter that create GML document through created graphic objects and change vector graphic to logic structure of XML base.

GML document editing and translation system based on GML and vector graphic (GML과 벡터 그래픽 기반의 GML 문서 편집 및 변환 시스템)

  • Kim, Chang-Su;Cho, Young-Soon;Cho, Tae-Beom;Bang, Jin-Suk;Jung, Hoe-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05a
    • /
    • pp.645-648
    • /
    • 2009
  • According to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generalization of internet, practical use field of geography information became various. Therefor variou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constructed to manage geography information efficiently. However, geography information data of various form is depending on graphic authorizing tool of various form being not normalized each other. So, OGC (Open Geospatial Consortium) proposed GML (Geography Markup Language) that describe normalized geography information data that can apply mutually and W3C proposed SVG (Scalable Vector Graphics) of vector base. In this paper creates GML data of XML base for geography information data processing to vector graphic object. and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ML document editing and translation system that define code converter that create GML document through created graphic objects and change vector graphic to logic structure of XML base.

  • PDF

Construction of Database and Evaluation of Application with Framework data Product Specification in Facility Area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 생산사양에 따른 DB 구축 및 활용성 평가)

  • Lee, Hyun-Jik;Hwang, Seok-Hoon;Choi, Dong-Ju;Ru, Ji-Ho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53-58
    • /
    • 2005
  • 21세기 지식정보화사회로 접어들어 GIS가 부각됨에 따라 GIS의 활성화를 위한 기본지리 정보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본지리정보를 관리 감독하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2000년부터 기본지리정보구축에 관한 연구 등을 수행하여, 기본지리정보의 범위 선정과 데이터모델 표준화가 이루어 졌으며, 기본지리정보 유통과 구축에 필요한 생산사양이 이루어짐에 따라 기본지리정보의 품질 및 활용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 생산사양에 따른 기본지리정보를 3단계에 걸쳐 구축하였으며 기 구축된 교통, 수자원, 행정경계 기본지리정보와 통합하여 활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reference model for statistic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based on the GIS standards (표준 기반의 통계지리정보 참조모렐 개발에 관한 연구)

  • Ha, Su-Wook;Nam, Kwang-Woo;Ryu, Keu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258-260
    • /
    • 2010
  • 통계지리정보는 기존의 텍스트 기반 통계정보를 공간정보와 결합한 정보로서 공공 민간 분야의 다양한 의사결정을 위한 핵심 기반 정보로 그 활용성이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은 통계지리 정보와 이를 이용한 서비스 구축 및 유지 관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호운용성 문제의 해결을 위한 접근방법으로 기존의 공간정보 표준 참조 모델들을 기반으로 통계지리 정보 및 서비스 참조모델을 제안하고, 각각의 정보 및 서비스 분류에 해당하는 표준화 요구사항을 제시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XML Data Provider Supporting the OpenGIS Specification (OpenGIS 사양을 지원하는 XML 데이타 제공자의 설계 및 구현)

  • Hong, Dong-Suk;Yun, Jae-Kwan;Han, Ki-Joo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0.06a
    • /
    • pp.37-48
    • /
    • 2000
  •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다양한 분야에서 구축되어 서로 다른 환경에 분산되어 있는 이질적인 지리 데이타의 공유에 대한 중요성은 더욱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상호운용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OGC의 OpenGIS이다. OGC는 다양한 분야에서 차세대 표준으로 주목받고 있는 XML을 GIS에 도입하려는 움직임으로 GML 사양을 제시하고 있다. 향후 사용이 더욱 증가하게 될 XML 문서 형태의 지리 데이타에 대한 GIS 사용자들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서 OpenGIS를 지원하는 XML 데이타 제공자의 설계 및 구현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OGC의 세 가지 구현 사양 중 특히 Microsoft의 OLE/COM을 기반으로 하는 OpenGIS Simple Features Specification for OLE/COM 사양과 지리 데이타의 XML 인코딩을 위한 GML 사양을 기반으로 XML 데이타 제공자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XML 데이타 제공자는 표준화된 지리 데이타 구조와 처리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여 상호운용성을 보장하고, XML 기술을 활용하여 XML데이타의 효율적인 분석 기능도 제공한다. 따라서 XML 데이타 제공자를 사용함으로써 표준화된 DTD를 따르는 XML 문서내의 지리 데이터를 OpenGIS를 지원하는 이질의 데이타 소스의 지리 데이타와 함께 공유할 수 있고, XML 문서의 구조를 효율적으로 검증할 수 있으며, 또한 XML 데이타에 대한 접근 및 분석이 가능하게 된다.

  • PDF

Cartography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 Korea (한국의 지도학과 지리정보 시스템 반세기)

  • ;Yu, Keun Bae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1 no.2
    • /
    • pp.309-316
    • /
    • 1996
  • With the increased availability of spatial datasets and advances in data processing technologies, the last 50 years witnessed remarkable progress in the area of cartography and geoinformatics. Researchers in Korea involved in these area, however, were exposed to the new development only recently. They are now at the stage of absorbing the works of leading countries. There have been only a small number of research papers on the area of conventional cartography land use/vover mapping, mapping of distribution of slope calsses, and topographic models. It is only recently that the research scope be extended to computer-assisted cartography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he majority of research papers have been focused on the applications of GIS. Recently, a group of researchers begin to address some of the fundamental issues in GIS such as formal models, standization, data structure, spatial analysis and networking.

  • PDF

Standardization and Application of Geographic Survey Datas in National Digital Map (수치지도 지리조사 자료의 표준화 및 활용)

  • Lee, Hyun Jik;Ru, Ji Ho;Lee, Hyuck 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0 no.3
    • /
    • pp.29-40
    • /
    • 2012
  • The method regarding obtaining various kinds of attribute data of spatial information, including that of digital map, is normally restricted to Geographic survey that deals with in-field surveys. Geographic surveying for drawing digital map, however, require much effort due to the fact that a surveyor has to characterize geographic features individually in the field. Not only does the Geographic survey cover large area, but also its need for manual drawing and surveying using Draft map makes it more expensive and time-consuming. Though some recent Geographic surveys take advantage of MMS(Mobile Mapping System) to collect computerized information, there are inevitable limits in creating digital map with such data. This research will analyze the problems in current Geographic surveys and suggest adequate methods and standards for Geographic surveys by researching the methods of domestic/international service organizations that deal with establishing spatial information. This study therefore will aim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creating digital map and Geographic survey, which would ultimately maximize the applicability of pan-national digital map by improving reliability of digital map and upgrading the utilizability of Geographic survey data.

초고속정보통신기반구조에서의 국가지리정보체계(NGIS) 구축 및 표준화

  • Jin, Hui-Chae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6.04a
    • /
    • pp.35-46
    • /
    • 1996
  • 21세기 정보화 사회에서 국가 경쟁력의 측정은 정보처리, 운영능력에 달려있다. 이를 대비하여 국가에서는 초고속정보통신망의 구축과 지리정보체계의 구축 등 정보화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들 사업은 단위사업이 아닌 국가 기반구조의 구축이라는 중요한 명분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시스템의 상호운용성, 연동성 등 국가가 지원하여야 할 기본기술은 초고속정보통신망에서 운영될 수 있도록 준비되어야 할 것이다.

  • PDF

Strategies for the Standardization of Spatial Statistical Information as the NGIS Framework Data (기본지리정보로서의 공간통계정보의 표준화 방안)

  • Seo, dong-j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472-476
    • /
    • 2009
  • From the comparison of the current systems for the spatial statistical information in some countries, USA, UK, Canada, and Japan, it was reviewed how to manage and control the spatial statistical information. And it was discussed on the types of the administrative structures and the law systems, and the types of the applications to manage the spatial statistical information. Finally, it was suggested to the strategies for the standardization of spatial statistical information as the NGIS framework dat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