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도그리기

Search Result 34,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Development and Realization Drawing a Map-Module for the Lower grades (저학년 아동을 위한 그림 지도 그리기 모듈의 구현)

  • Cheong, Ji-Young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8a
    • /
    • pp.267-272
    • /
    • 2007
  • 학교 교육에서 문해력과 수리력에 비해 그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는 공간 지각 능력과 도해력을 학습하기 위해서 학습자 중심의 지도 그리기 교육이 실제화 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보다 더 실제적 이고 효과적인 지도교육을 위한 지도그리기모듈을 구현하고자 한다. 특히 사회과의 경우 사고의 방법과 과정을 중요시 하는 교육목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현재의 저학년 초등교과교육 중 지도 그리기 학습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구체적 조작기의 아동을 위한 공간 능력의 향상과 구체물의 평면화 등 지도 그리기 교육의 목표를 수월하게 도달하기 위한 모듈을 구현하여 초등 지리 교육의 수월성과 함께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흥미로운 학습을 도모하고자 한다.

  • PDF

Art and Career Convergence Class for Career Recognition - Through drawing a Neighborhood Job Map - (진로인식을 위한 미술과 진로 융합 수업 -동네직업지도 그리기를 통하여-)

  • Kim, Ji-Hyun;Huh, Yoon J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1
    • /
    • pp.433-442
    • /
    • 2019
  • We have developed art and career convergence class for career recognition through drawing a neighborhood job map. Thus, we want to expand the students' career recognition. 3 Classes were conducted in 16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5th to 6th. Through pre & post-questionnaire, and the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work, job recognition with job value and job prejudice, self-understanding and career attitude were analyzed. As follows. First, students' job recognition was expanded. The ability to identify the needs, values and purposes of jobs has improved. Changes in job values that all jobs are worth have occurred and job bias has changed. Second, the career attitude changed on the basis of self-understanding. Thus, in the context of deciding the job demanded by the society rather than the student's will, art and career convergence class was effective in career recognition.

Analysis of the Teaching of Statistical Graphs according to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초등수학 교육과정에 따른 통계 그래프 지도의 분석)

  • Lee, Jami;Ko, Eun-Sung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23 no.2
    • /
    • pp.247-27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aching of statistical graphs according to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To do this, we set up thre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hange in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the teaching of statistical graphs in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Second, what is the change in the teaching of the drawing of statistical graphs in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Third, what is the change in the teaching of understanding of statistical graphs in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For the first research question, we analyzed the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the teaching of the statistic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rom the first curriculum. For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we analyzed how to provide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to draw graphs(number of drawings) and whether to present the basic frame of the graphs(frame provided). For the third research question, we analyzed questions in the textbooks based on the graph understanding; 'reading data', 'finding the relation between data', 'interpreting data', 'understanding the situ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chievement standard in the curriculum has changed in the direction of fostering statistical thinking, and it has been changed to emphasize the interpretation of the graph so as to make the graph drawing easy. However, 'interpreting data' and 'understanding the situation' were still lacking.

  • PDF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ractive Web-Based Instruc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Map Learning (초등학생 지도 학습을 위한 상호작용적 WBI 설계 및 구현)

  • Ko, Yong-Seok;Kim, Jong-Wo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1a
    • /
    • pp.207-216
    • /
    • 2004
  • 지도 학습은 7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3학년 1학기 사회 교과서 1단원, 우리 고장의 모습에서 그림지도를 중심으로 전체 차시인 19차시에 걸쳐 다루고 있다. 그리고 4학년 1학기 사회 교과서 1단원, 우리 시 도의 모습에서도 지도의 기본 요소인 방위, 기호, 축척, 등고선을 중심으로 17차시 중 7차시에 걸쳐 학습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자료 제작의 어려움, 개인 수준 차이로 인하여 제대로 지도 학습을 하기는 어렵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초등학생 지도 학습을 위한 상호작용적 WBI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교육과정의 내용을 재구성하여 준비, 방위, 기호, 축척, 등고선, 지도 그리기의 6개 영역 아래 기본학습과 심화학습을 하게 되며, 심화학습은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학습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심화학습을 마치면 보물찾기 활동이 이루어지면서 학습의 재미를 느끼도록 하였다. 이 외에도 우리들의 이야기, 토의하기 둥 다양한 상호작용 기능을 제공하여 학습의 이해를 돕는 WBI를 구현하였다.

  • PDF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 Courseware for Studying Picture Map (그림지도 학습을 위한 멀티미디어 코스웨어의 개발)

  • Hwang, Hong-Seop;Jang, Seo-S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8 no.1
    • /
    • pp.110-121
    • /
    • 2002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ultimedia courseware which can make studying picture map interesting in a more concrete and three-dimensional situation by using multimedia materials such as graphics, animation, and moving images, which breaks from the past teaching methods for picture map. The multimedia courseware used in this research can help learners understand the concept on picture map in a much easier way, and study wherever and whenever they want to. In addition, students can pass through the levels up according to their levels through the process of students' constructing the knowledge by themselves and individualized materials which can enhance their desire to learn and make the individualized learning possible.

  • PDF

An analysis of changing interests in mathematics and strategic thinking reflected in small group drawing activities using graphs and inequations - With Grafeq software - (그래프와 부등식 영역의 소집단 그림그리기 활동에서 나타나는 수학에 대한 흥미변화 및 전략적 사고분석 -Grafeq 활용을 중심으로-)

  • Shin, In-Sun;Park, Kyung-Mi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6 no.2
    • /
    • pp.177-203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look at whether small group drawing activities can be applied to learning content that combine mathematics and art, by analyzing the changes in $10^{th}$ grade students' interests in mathematics and particular features of their strategic thinking that were reflected in small group drawing activities using graphs and inequa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small group drawing activity using graphs and inequations demonstrated that students interests in mathematics could experience positive changes. 2. The small group drawing activity using graphs and inequations was effective in stimulating the students' strategic thinking skills, which are higher level thinking activities necessary for creating problem solving. As the students went through the whole process of accomplishing a complete goal, the students engaged in integrated thinking activities that brought understandings of basic graphs and inequations together, and were also found to use such higher level thinking functions needed in achieving creative problem solving such as critical thinking, flexible thinking, development-oriented thinking, and inferential thinking. 3. The small group drawing activity using graphs and in equations could be expected to constitute learning content that integrate mathematics and art, and is an effective solution in boosting students' strengths in mathematics by way of activities that consider students' unique cognitive and qualitative peculiarities and through integration with art.

Crossing the Gap betwee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and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he Case of Systems of Linear Equations (그림그리기 전략을 통한 초.중등수학의 연립방정식 지도 연결성 강화)

  • Kwon, Seok-Il;Yim, Jae-Hoon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7 no.2
    • /
    • pp.91-109
    • /
    • 2007
  • This study deals with the problem of transition from arithmetic to algebr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for systems of linear equations. In elementary school, activity for solving word problems related to systems of linear equations in two variables falls broadly into using two strategies: Guess and check and making a table. In secondary school, those problems are solved algebraically, for example, by solving systems of equations using the technique of elimination. The analysis of mathematics textbooks shows that there is no link between strategies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and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We devised an alternative way to reinforce link betwee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for systems of linear equations. Drawing a diagram can be introduced as a strategy solving word problems related to systems of linear equations in two variables in elementary school. Moreover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idea of the technique of elimination of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It may be a critical juncture of elementary-secondary school mathematics in the case of systems of linear equations in two variables.

  • PDF

수학 성적과 이산수학의 문제 해결력 비교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 Han, Gil-Jun;Lee, Yang-Gi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1
    • /
    • pp.73-96
    • /
    • 2002
  • 수학적인 사고력과 창의력이 강조되고 있는 요즈음 수학교육에서는, 이산수학적인 영역이 담당해야 할부분이 더욱 많아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발맞춰, 최근에 이산수학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 초등학교에서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별도의 이산수학 관련 서적이나 연구 문헌이 없어 아동들의 이산수학에 대한 관심과, 수학 성적과 이산수학의 문제 해결력과의 관계에 대하여 조사해 보았다. 이산수학의 문제들을 구성하여 아동들에게 예고 없이 평가하고 문제에 대한 수학적인 태도를 질문을 통하여 알아보고, 수학 실력이 우수한 학생과 그렇지 못한 학생들과의 이산수학 문제 해결력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설정하였다. 이를 살펴보면 첫째, 초등 수학교육에서 이산수학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에 대하여 생각해 본다. 둘째, 수학 성적과 이산수학 문제 해결과의 관계를 생각해 본다. 이상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헌 연구를 통하여 이산수학에 관련된 초등학교 내용을 소개하고, 문항을 구성하였다. 소개된 주제 중에서 4개의 주제(수 세기, 한 붓 그리기, 지도 색칠하기, 최소 거리 ${\cdot}$ 비용 수형도)를 선정하여 10개의 문항을 작성하였다. 조사 연구를 위한 대상은 서운 시내 2개 초등학교 5, 6학년 2개 반을 선정하였다. 각 문항의 정답율은 백분율(%)에 의하여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수 세기의 정답율은 첫 번째 문항의 정답율이 낮았을 뿐, 다른 문항들의 정답율은 비교적 좋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문제를 이해하기 쉽게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둘째, 한 붓 그리기와 지도 색칠하기의 문제들의 정답율은 상당히 높게 나타났는데, 그러한 것은 아동들이 직접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해 봄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기 때문인 것 같다. 또한 이러한 유형의 문제들은 아래 학년에도 투입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셋째, 최소거리 ${\cdot}$ 비용 수형도의 문제에서는 난이도가 높은 이유도 있지만 문제 이해를 완전히 하지 못해 정답율이 무척 낮게 나온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 수학 성적이 높은 학생들이 대체적으로 문제 해결력이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으나, 몇몇 학생들은 정반대의 결과가 나와 특이한 시사점을 제공했다. 그러한 이유로는 정형화된 문제들을 선호하고 쉽게 해결하는 아동들과, 그렇지 않은 아동들 사이의 문제 접근 방법의 차이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이산수학에 관련된 많은 문항을 개발하여 아동들에게 확대 투입함으로써 수학 수업의 효과와 문제 해결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둘째, 수학 실력이 떨어지는 아동들에게 보다 흥미있는 이산수학적 문제들을 제시함으로써 수학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셋째, 초등학교 과정에 알맞은 이산수학의 다른 주제도 학습 지도안과 그와 관련된 문제들을 개발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겠다.

  • PDF

Novice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of Students' Errors on Plane Figures (평면도형에 관한 학생들의 오류에 대한 초임 초등 교사들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 분석)

  • Song, Keun-Young;Pang, Jeong-Suk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5 no.3
    • /
    • pp.429-451
    • /
    • 2012
  • This paper examined eight novice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in terms of the types and sources of students' errors and teaching strategies on plane figures through a questionnaire and teachers' discussion. The teachers tended to predict students' diverse error types, but they attributed the sources of such errors mainly to their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of teachers' responses of teaching strategies revealed that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s clear explanation and students' own problem-solving, while they were somewhat negative in presenting diverse examples and classifying, drawing, or constructing figures. Building on these results, this paper provides the implications for novi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 PDF

Exploring young children's cognitive structures using scientific representation ability (과학적인 표상능력을 이용한 유아의 인지구조 탐구)

  • Shin, Young-Suk;Shin, Su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5.05a
    • /
    • pp.192-197
    • /
    • 2005
  • 인간이 생각하고 지식이 습득되어지는 방법에 대한 이해는 인지과학자들에게 항상 중요 관심사이다. 학교교육이 전개된 후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인지과정을 탐구하는 것은 쉽지 않다. 본 논문에 유아기 유아들을 대상으로 과학적인 표상능력을 이용하여 유아의 인지구조를 고찰하였다. 5세 유아 120명을 대상으로 2년간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곤충류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한 후, 그림 그리기와 언어 표현 방법을 이용하여 유아들의 인지과정이 탐구되었다. 유아들은 1차, 2차 표상과정을 통해 기존에 갖고있던 사물에 대한 개념에 분명한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들의 과학지식 형성에 대한 인지과정을 기술하며, 과학적 지식으로 확장될 수 있는 효율적인 지도 방법을 제공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