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각된 사회적 지지

검색결과 253건 처리시간 0.025초

부모상담에서 어머니의 자기은폐 수준 및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작업동맹의 관계 (Working Alliance in Parent Consultation : Relationships with Mothers' Level of Self-concealment and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 오지현;성영해;조유진
    • 아동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93-206
    • /
    • 2008
  • This research studied mothers of clients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level of self-concealment and level of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in the working alliance (goal concurrence, task agreement, and emotional relationships during parent consultation) as perceived by the therapist, Subjects were 87 mothers of clients and 42 therapists. The parent consultation sessions examined in this study ranged from the 3rd to the 12th session. Data were analyzed by simple regression and two-way ANOVA. Results showed that (1) the level of self-concealment affected all components of working alliance. (2)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level affected all components of working alliance. (3) Interaction effects of levels of self-concealment with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 PDF

질병지각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A Systematic Review of Illness Perceptions Using the IPQ-R or BIPQ in South Korea)

  • 김혜진;변진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432-441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 질병지각 연구의 동향을 알아보기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로서 질병지각 연구의 특성을 확인하고 이와 관련된 요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2019년 5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10편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포함된 논문 모두 상관관계 조사연구로, 평균 대상자 수는 175명이었으며, 혈액투석, 폐결핵, 암 등의 질병을 대상으로 하였다. 질병지각 측정 도구로는 Illness Perception Questionnaire-Revised (IPQ-R)를 사용한 연구가 3편(30%), Brief Illness Perception Questionnaire (BIPQ)를 사용한 연구가 7편(70%)이었고, BIPQ를 사용한 연구는 모두 총점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질병지각을 분석하였다. 질병지각과 관련된 요인으로는 우울, 삶의 질, 자가관리, 사회적 지지 등이 연구되었으며, 그 중 사회적 지지가 가장 높은 빈도로 대상자의 질병지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다양한 질병군을 대상으로 질병지각 개별 영역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며, 질병지각을 고려한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사회적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dolescents' perceived family strength and social support on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 김태량;정영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4호
    • /
    • pp.241-248
    • /
    • 2024
  •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에 소재하는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대상으로 2023년 5월부터 2023년 6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결측이 없는 768명의 자료에 대해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은 학교생활적응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은 사회적지지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지지는 학교생활적응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는 부분매개효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이 건강한 가족관계에 기초해서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실증적인 근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함의를 가진다. 또한 가정에서 긍정적인 가족기능을 통해 청소년이 사회적지지를 이끌어내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조력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과 가족상담 프로그램이 원용되는 데 실천적 근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시설 보호 아동의 기질과 사회적 지지가 희망에 미치는 영향 (Temperament and Social Support in Relation to Hope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 임정하;문지윤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63-80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시설 보호 아동이 지각한 희망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고, 아동의 기질과 사회적 지지가 희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서울 소재 아동복지양육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초등학교 고학년생 19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일반적 특성과 기, 사회적 지지, 희망에 대해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이용해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신뢰도 분석, t 검증, 단순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시설 보호 아동이 지각한 희망은 중간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고, 아동의 성에 따라 차이가 없었지만, 아동의 나이가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시설 보호 아동의 나이가 많을수록, 친구, 시설가족, 학교교사의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희망이 높게 나타났으며, 아동의 기질은 희망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동기적 측면인 희망주도에는 친구의 지지가, 수단적 측면인 희망경로에는 시설가족과 학교교사의 지지가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어머니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양육스트레스, 자아인식 및 양육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Parenting Stress, Self-perception and Parenting Behavior Perceived by Mother)

  • 김혜금;조혜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3권6호
    • /
    • pp.1-1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parenting stress, self-perception and parenting behavior perceived by mother and provide preliminary data useful for desirable parenting behavior. For this purpose, the data of fourth wav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including social support, parenting stress, self-perception and parenting behavior measured by 1,746 mothers with 3-year-old children were analyzed. We identified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using SPSS 18.0 and AMOS 18.0 appl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e model had favorable goodness of fit and the results of structure models on each path were as follows. First, parenting behavior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social support and self-perception bu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ing stres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elf-perception was mediated by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stress and self-percep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relationship. In conclusion it is required to raise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development of various parent education programs and parenting behavior.

시설보호 아동이 지각한 보육사의 사회적 지지와 내적 통제 성항 및 학교 적응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Social Support from Care Teacher,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 권기남;유안진;민하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109-118
    • /
    • 2002
  •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social support from care teacher(institution staff),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This also examined the difference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internal thou of 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by gender and the duration in the institution. Participant were 119 fifth-and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s(58 boys, 61 girts). Perceived social support from care teacher,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were measured by self-reports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The data were analyzed, in SPSS Win program, by Cronbach's α, T-test, Pearson Correlations, Simple Regressio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s expected, results confirm that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associated positively with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further, perceived social support also exerts indirect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mediated by internal locus of control. However, none of these variables differed by gender and the duration in the institution.

장애대학생의 지각된 낙인과 우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검증 (Effects of Perceived Stigma and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 with Disabilities on Adaptation of Campus Life : Verification of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s)

  • 정원철;김진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345-355
    • /
    • 2015
  •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지각된 낙인과 우울이 대학생활을 방해한다는 가설을 전제로 사회적지지가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실증하고자 계획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 일부지역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대학생 108명(남학생 61명, 여학생 47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변인중에서 성별과 학년은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였고, 장애대학생의 지각된 낙인과 우울은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임이 드러났다. 특히 우울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매우 우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회적지지 또한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지각된 낙인과 우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력 향상을 위해서는 여러 접근들 못지않게 장애대학생을 둘러싼 사회적지지에 대한 관심 역시 중요하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공과대학 학생들이 지각한 맥락적 지지와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대처효능감과 결과기대의 매개효과: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Coping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as Mediators of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Contextual Support and Career Indecision Among Engineering Students: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 김민선;서영석
    • 한국심리학회지:여성
    • /
    • 제14권1호
    • /
    • pp.1-2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사회인지진로이론을 바탕으로 지각된 맥락적지지가 대처효능감과 결과기대를 매개로 진로미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적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그 적합도 및 개별 변수의 영향력을 성차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소재 4년제 공과 대학생 672명을 대상으로 지각된 맥락적 지지, 대처효능감, 결과기대, 진로미결정으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한 자료분석 결과, 지각된 맥락적 지지가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대처효능감과 결과기대가 완전매개하는 모형이 최적의 모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맥락적 지지는 대처효능감과 결과기대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대처효능감과 결과기대는 진로미결정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별에 따라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완전매개모형이 최적의 모형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별변수의 효과는 남녀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대학생들의 경우 대처효능감이 진로미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나, 여자대학생들의 경우 대처효능감은 진로미결정에 직접적인 효과가 없는 대신 결과기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학생들의 진로미결정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과 후속연구들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multicultural youth on learning adaptation: Focusing on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 Lee, Hyoung-H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197-20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지지가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성취동기를 통해 발생하는 간접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하여 분석하기 위해 다문화청소년 7차년도(2017년)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다문화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자아존중감 및 성취동기는 학업적응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사회적지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지지가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직접효과 이외에도 자아존중감과 성취동기를 매개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지지 및 학업적응 향상을 위한 실천적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