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Perceived Stigma and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 with Disabilities on Adaptation of Campus Life : Verification of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s

장애대학생의 지각된 낙인과 우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검증

  • 정원철 (신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김진영 (부산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5.04.07
  • Accepted : 2015.05.18
  • Published : 2015.08.28

Abstract

This article attempted to find out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igma, depression of student with disabilities(SWD) and their adjustment of campus life. For the purpose of the reas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08 SWD from questionaries in Busan city and Kyungnam provi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t was revealed that the factors, grade and gender,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adjusting campus life of SWD. Perceived stigma and depression of SWD had positive impact on the adjustment of campus life. Social support of SWD also had positive impact on the adjustment of campus life.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ocial support of SWD had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igma, depression of SWD and their adjustment of campus life. This study verified that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adjusting level in college life of SWD, it was as important to make social support to be delivered at SWD as decreasing the perceived stigma and depression of SWD. Finally, the authors suggested some direction to solve the problem related this study question and remarke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지각된 낙인과 우울이 대학생활을 방해한다는 가설을 전제로 사회적지지가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실증하고자 계획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 일부지역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대학생 108명(남학생 61명, 여학생 47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변인중에서 성별과 학년은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였고, 장애대학생의 지각된 낙인과 우울은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임이 드러났다. 특히 우울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매우 우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회적지지 또한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지각된 낙인과 우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력 향상을 위해서는 여러 접근들 못지않게 장애대학생을 둘러싼 사회적지지에 대한 관심 역시 중요하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현용, 김현미, "장애대학생의 자기개념과 우울 및 불안이 대학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제7권, 제2호, pp.43-56, 2004.
  2. 김남순, "장애학생의 특례입학과 대학시설 환경 및 제도에 대한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제36권, 제1호, pp.81-100, 2001.
  3. 김동일, 정소라, 고혜정, 김주선, 김수연, "장애대 학생들의 대학 생활 적응과정에 관한 질적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 장애교육학회지, 제56권, 제1 호, pp.65-95, 2013.
  4. 김성애, 박찬웅, 이해균, "장애 대학생 학업성취 실태 및 대학생활 욕구 분석", 특수교육학연구, 제37권, 제4호, pp.335-337, 2003.
  5. 김자경, 강혜진, 김주영, "장애대학생의 불안, 우울과 대학 생활 적응 간의 관계", 특수교육저널, 제8권, 제4호, pp.461-476, 2007.
  6. 김진호, "장애대학생을 위한 교육지원 프로그램의 분석" 인문과 논충, 제13호, pp.119-136, 2004.
  7. 김현주, 장애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8. 류진혜, 이대형, "2004학년도 서울캠퍼스 신입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연구", 대학생활연구, 제22호, pp.177-222, 2004.
  9. 문주영, 사회적 지지가 장애대학생의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장애정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0. 서울대 학생생활 연구소, 2003학년도 서울대학교 신입생 특성조사 보고서, 2003.
  11. 서지은, 장애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장애정체감의 매개효과,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2. 서희채, 부모애착, 사회적 지지, 분리-개별화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3. 석말숙, 강동욱,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과 대학 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6권, 제4호, pp.171-194, 2005.
  14. 심향숙, 타지역 출신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5. 양재신, "장애인 대학특례입학 장애대학생의 교육환경", 현장특수교육 11월, pp.40-44, 2001.
  16. 옥경희,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적응", 학생생활연구, 제8권, pp.21-39, 2001.
  17. 유미혜, HIV감염인/AIDS환자에 대한 낙인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8. 이경림, 박재국, "장애대학생의 대학 생활 적응 실태 및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 특수아동교육, 제9권, 제1호, pp.289-308, 2007.
  19. 이웅, 이주희, 이한나, "장애대학생의 장애정체감과 대학 생활 적응의 관계 연구", 특수교육, 제10 권, 제3호, pp.245-268, 2011.
  20. 이재환, 성혁제, "대학의 장애학생 취업지원에 관한 주관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 권, 제1호, pp.197-210,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1.197
  21. 이재환, 이수경, "장애학생 교육복지 지원에 관한 대학 내 이해관계집단의 인식유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1호, pp.183-198, 2012.
  22. 이정애, 최웅용,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진로포부 비교", 장애와고용, 제20권, 제2호, pp.55-76, 2010.
  23. 이현희, 전문계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사회 적지지가 진로미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4. 전진순, 시각장애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25. 최승혜, 이해영, "대학생의 불안, 취업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619-627,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619
  26. 최인실, 정신장애인이 지각하는 낙인과 사회적 지지가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7. 한국재활복지대학, "고등교육기관의 장애학생 교수 학습지원 협력체제 구축방안", 제3회 통합 교육 환경 개선 세미나, 2005.
  28. R. W. Baker and B. Siryk,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Counsling Psychology, Vol.31, No.2, pp.179-189, 1984. https://doi.org/10.1037/0022-0167.31.2.179
  29. I. I. Barkovskaia, "Psychological support for the adaptation of first-year college student," Russian Education and Society, Vol.43, No.4, pp.86-91, 2001. https://doi.org/10.2753/RES1060-9393430486
  30. H. A. Belch, "Retention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College Student Retention: Research, Theory & Practice, Vol.6, No.1, pp.3-22, 2004. https://doi.org/10.2190/MC5A-DHRV-1GHM-N0CD
  31. S. Cohen and H. Hoberman,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IS, pp.99-125, 1983.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32. M. C. Coleman and J. Webber, Emotional and Behavioral, (2004), 서울:시그마프레스, 2002.
  33. J. Crocker, B. Major, and C. Steele, "Social stigma," In D. T. Gilbert, S. T. Fiske, & G. Lindzey (eds.),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Vol.2, No.4, pp.504-553, 1998.
  34. W. S. Gilbert, "Bridging the gap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 A successful program that promotes academic success for Hopi and Navajo studen," Paper presented a th e Retention in Education for Today's American Indian Nations, Tucson, AZ, 1996.
  35. E. Goffman, Stigma: Notes on management of spoiled identit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63.
  36. E. Jackson, A. Tayloy Eileen Anderson-Fye, and J. Floersch, "College Student Disclosure of Non-Apparent Disabilities to Receive Classroom Accommodations," Journal of Postsecondary Education and Disability, Vol.26, No.1, pp.35-51, 2013.
  37. Jack, Trammell, "Postsecondary Students and Disability Stigma : Development of the Postsecondary Student Survey of Disability-Related Stigma," Journal of Postsecondary Education and Disability, Vol.22, No.2, pp.106-116, 2009.
  38. S. J. Janiga and V. Costenbader, "The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Vol.35, No.5, pp.462-468, p.479, 2002.
  39. B. Link, E. Struening, S. Neese-Todd, S. Asmussen, and J. Phelan, "Stigma as a barrier to recovery: The consequence of stigma for the self-esteem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es," Psychiatric Services, Vol.52, pp.1621-1626, 2001. https://doi.org/10.1176/appi.ps.52.12.1621
  40. B. G. Link, L. H. Yang, J. C. Phelan, and P. Y. Collins, "Measuring mental illness stigma," Schizophrenia bulletin, Vol.30, pp.511-541, 2004. h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schbul.a007098
  41. P. W. Nolten,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Social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 Social Support Scal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1994.
  42. R. T. Pulice, L. L. McCormick., and M. Dewees, "A qualitativeapproach to assessing the effects of system change on consumers, families, and providers," Psychiatric Services, Vol.46, pp.575-579, 1995. https://doi.org/10.1176/ps.46.6.575
  43. B. D. Smedley, H. F. Myers, and S. P. Harrell, "Minority-status stresses and the college adjustment of ethnic minority freshman," Journal of Higher Education, Vol.64, pp.434-452, 1993. https://doi.org/10.2307/2960051
  44. T. J. Scheff, Being mentally ill: A socilolgy theory, Chicago: Aldine de Gruyter, 1966.
  45. W. R. Shadish, D. Hickman, and M. C. Arrick, "Psychological problems of spinal cord injury patients : Emotional distress as a function of time and locus of control,"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49, p.297, 1981. https://doi.org/10.1037/0022-006X.49.2.297
  46. R. J. Turner and P. D. mcLean, "Physical disability and psychological distress," Rehabilitation Psychology, Vol.34, No.4, pp.225-242, 1989. https://doi.org/10.1037//0090-5550.34.4.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