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증거표본

Search Result 8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Interpreting Mixtures Using Allele Peak Areas (Mixture에서 봉우리 면적을 활용한 유전자 증거의 해석)

  • Hong, Yu-Lim;Lee, Hyo-Jung;Lee, Jae-Wo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3 no.1
    • /
    • pp.113-121
    • /
    • 2010
  • Mixture is that DNA profiles of samples contain material from more than one contributor, especially common in rape cases. In this situation, first, the method based on enumerating a complete set of possible genotype that may have generated the mixed DNA profile have been studied for interpreting DNA mixtures. More recently, the methods utilizing peak area information to calculate likelihood ratios have been suggested.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mixed forensic stains using quantitative peak area information and the method of forensic inference for extension of material from more than or equal to three contributors. Finally, the numerical example will be outlined.

주식배당의 공시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 Woo, Chun-Sik;Sin, Yong-Gy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3 no.1
    • /
    • pp.115-136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주식배당 예고제도가 도입된 1990년부터 1994년까지의 기간동안에 주식배당 지급을 공시한 기업 중에서 표본의 선정기준에 따라 295건의 표본을 선정하여 주식배당의 공시효과를 실증 분석하는 한편 주식배당의 공시효과를 설명하는 제 가설 중에서 유보이익가설과 주의환기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전체표본(259건)을 대상으로 공시일 전후의 비정상수익률을 분석한 검증결과에 의하면 공시기간(0일, +1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0.847%의 비정상수익률이 관찰되어 주식배당 공시가 주주들의 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정(+)의 주식배당 효과를 설명하는 하나의 가설로서 유보이익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체 표본을 EPS의 증감 및 주식배당률의 크기에 따라 하위표본으로 분류하여 공시기간의 비정상수익률을 검토한 결과 충분하지는 않지만 유보이익가설을 지지하는 실증적 증거를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로 또 다른 하나의 가설로서 주의환기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표본을 상대적 평균 PER의 크기 및 자본금의 크기에 따라 분류한 모든 하위표본에서 일관되게 주의환기가설을 지지하는 실증적 증거를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A checklist of Gasan Mt.: an online platform for virtual specimens (온라인 생물정보 플랫폼에 기반한 가산의 관속식물목록)

  • YANG, Sungyu;NAM, Bo-Mi;JANG, JuEun;CHOI, Mi-Jung;CHOI, Goya;CHUNG, Kyong-Sook;CHOI, Hyeok-Jae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50 no.4
    • /
    • pp.453-474
    • /
    • 2020
  • Here, we present an updated checklist based on voucher specimens of vascular plants for Gasan Mt. which is located in Chilgok-gun, Gyeongsangbuk-do, South Korea. The list includes 322 taxa in 212 genera and 81 families of vascular plants, of which 14 are endemic, six are rare plants, 48 are floristic target species, and 14 are considered naturalized in Korea. Based on voucher specimens, Gasan Mt. was the southern limit of 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Nakai and Iris odaesanensis Y. N. Lee on the Korean peninsula. Moreover, we confirmed a hybrid plant deriving from two Iris parents, I. minutoaurea Makino and I. odaesanensis, in a mountain fortress of Gasan Mt. We also present online databases including 325 voucher specimens deposited at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KIOM; http://oasis.kiom.re.kr/herblib).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as the first floristic study of Korean plants sharing virtual specimens online.

Rediscovery of Tinea translucens Meyrick (Lepidoptera: Tineidae) infesting the Stuffed Mammal in Korea (박제표본을 가해하는 옷좀나방에 대한 보고)

  • Kim, Seok;Bae, Yang-Seop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46 no.1 s.145
    • /
    • pp.5-11
    • /
    • 2007
  • The clothes moth, Tinea translucens Meyrick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based on the specimens roaring the larvae. The larvae make silk-made case from the first instar and pupate in the case at mature stage. Photographs of adult genitalia, informations of occurrence and distribution in Korea are provided. Also a brief biological informations for the species are given.

유상증자의 공시효과

  • Sin, Yong-Gy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2 no.1
    • /
    • pp.75-92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1985년부터 1993년까지의 기간동안 유상증자를 공시한 총 1,529건 중에서 표본의 선정기준에 따라 최종적으로 548건의 표본을 선정하여 유상증자의 공시시점에서의 주가반응효과와 이러한 주가반응을 설명해 줄 수 있는 원천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유상증자의 공시시점에서 정(+)의 주가반응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정(+)의 주가반응은 우리나라에서만 존재하는 유상증자의 제도적인 특성으로 인해 기존주주들이 독점적으로 부를 획득할 수 있다는 효과인 구주주이익가설로 설명되고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기존의 연구에서 발견된 투자기회가설에 대한 유의적인 증거는 발견할 수 없었다.

  • PDF

'고쳐쓰기' 통해 옛책의 묵은 흠 벗겨낸다

  • Jeong, Hye-Ok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141
    • /
    • pp.16-17
    • /
    • 1994
  • 최근 나온 개정판들을 보며 한 소장학자는 "관련분야의 정보를 모두 수렴하고 재해석, 새로써야 하는 그 방대한 작업은 학자라고 해서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은 아니다"고 높이 평한다. '학문적 성실함'의 표본이 될 만한 역저의 개정판이 많아진다는 것은 우리학계의 신진대사가 그만큼 활발해진다는 증거에 다름아니다.

  • PDF

위탁증거금(委託證據金)의 변경(變更)이 주가변동율(株價變動率) 및 주가(株價)의 잠정적(暫定的) 구성부분(構成部分)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대한 실증적(實證的) 고찰(考察)

  • Hwang, Seon-Ung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9 no.2
    • /
    • pp.101-147
    • /
    • 1992
  • 증권거래소(證券去來所)는 시황에 따라 위탁증거금율(委託證據金率)을 탄력적으로 변경 운용함으로써 시장의 수급을 조절하는 등의 시장관리수단의 하나로 이용하여 공정한 시세형성을 기하고자 설립시부터 증권회사로 하여금 매매의 위탁시 위탁증거금을 징수하도록 규정하고 증거금율을 상황에 따라 신축적으로 운용하여 1962년 이후에만도 무려 32회이상 변경하였다. 따라서 문제의 핵심은 위탁증거금징수가 주식시장에서의 과잉투기행위를 근절시키고 주가변동율(株價變動率)(stock volatility)을 감소시켜 공정거래질서(公正去來秩序)를 확보하는데 기여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된다. 이 점은 특히 미국(美國)에서 1987년 10월 소위 '검은 월요일(Black Monday)'당시 갑작스러운 주가폭락과 시장체계의 붕괴사태이후 금융시장의 발전을 모색하는 정책당국자들과 학자들사이에 새로운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Salinger(1989)와 Schwert(1989)는 위탁증거금율(委託證據金率)의 변경과 주가변동율(株價變動率)의 감소와는 아무런 인과관계가 없다고 결론을 내리고 있다. 특히 Schwert는 거래일시중단시책마저도 주가변동율에 별 효과가 없다고 주장하면서 금융공황과 관련된 거래일시중단은 주가변동을 큰 폭으로 증가시켜왔으나 금융공황을 동반하지 않은 기래일시중단은 높은 주가변동율과 무관함을 밝히고 있다. Hardouvelis(1991)는 그러나 위탁증거금율을 상승시키면 주가변동율이 낮아지며, 결과적으로 주가가 본원적가치(本源的價値)로부터 일탈하는 현상도 줄어든다는 사실을 통계적으로 입증하고, 위탁증거금의 징수가 시장을 교란하는 악성투기행위를 억제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정책수단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과잉투기현상을 억제하여 시장의 안정을 확보하는 기능으로서의 위탁증거금제도에 대해 그 경제적 효과여부를 규명하는 실증분석을 행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Schwert(1989)와 Hardouvelis(1991)의 방법을 원용하여 두가지 서로 다른 방법으로 주가변동율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통계적 기법은 기본적으로 다변량(多變量) 회귀분석법(回歸分析法)을 택하였다. 분석의 결과로 매우 흥미로운 실증상(實證上)의 규칙성(規則性)을 발견하였다. 즉 현금시장(cash market)의 위탁증거금율이 높아지면 실제주가변동율(實際株價變動率)과 초과주가변동율(超過株價變動率)이 감소되고, 또한 유행(流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본원적 가치로부터의 괴리가 작아진다. 이 결과에 따르면 위탁증거금의 징수는 그 제도의 취지에 부합되고 있다. 다만 제도운용상의 이유이거나 혹은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투자자들이 비합리적인 투자형태를 보임에 따라 그 정책적 효과는 때로 역기능적인 결과로 초래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결과를 통하여 최소한 주식시장(株式市場)에서 위탁증거금제도는 그 제도적 의의가 여전히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또한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통상 과열투기 행위가 빈번히 일어나 주식시장을 교란시킴으로써 건전한 투자풍토조성에 저해된다는 저간의 우려가 매우 커왔으나 표본 기간동안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한 결과 주식시장 전체적으로 볼 때 주가변동율(株價變動率), 특히 초과주가변동율(超過株價變動率)에 미치는 영향이 그다지 심각한 정도는 아니었으며 오히려 우리나라의 주식시장은 미국시장에 비해 주가가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해 왔다고 볼 수 있다.

  • PDF

The Time Series Properties and Predictive Ability Results of Annual Earnings (순이익의 기대모형 : 랜덤워크 모형의 타당성 재검증)

  • Bae, Gil-Soo;Joo, Sang-Yong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6 no.2
    • /
    • pp.243-261
    • /
    • 1999
  • 본 논문은 순이익의 시계열 속성을 조사하고, 순이익의 시계열이 랜덤워크 모형과 일치하는지를 단위근 검증방식을 사용하여 조사하며, 시계열 속성에 근거하여 도출된 예측모형과 흔히 사용되어 온 랜덤워크 모형의 예측능력을 비교하여 선행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는 랜덤워크 모형에 실증적 타당성을 제시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신용평가주식회사의 데이터 베이스에 1980년부터 1996년까지 17년간 자료가 연속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금융기업을 제외한 모든 기업(272개)을 표본으로 사용하고 있다. 표본기업의 순이익 시계열에 가장 적합한 과정은 랜덤워크나 AR(1) 또는 AR(2) 모형이다. 또한 본 논문은 대부분의 기업에 때해 순이익이 랜덤워크 과정을 따른다는 가설을 기각할 수 없음을 보였다. 이들 상이한 모형의 표본외 예측력(out-of-sample predictive ability)을 비교한 결과 상수항을 포함한 랜덤워크 모형이 가장 작은 평균 절대 예측오차(mean absolute forecast error)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가 순이익 시계열의 불안정성(nonstationarity) 문제를 무시하거나 명시적으로 다루고 있지 않은 것과는 달리 단위근 검증(unit root test)을 통해 연간 순이익이 대체로 불안정하다는 것을 보였으며, 또한 상이한 모형의 표본외 예측능력을 비교한 결과 선행연구에서 사용하여 온 랜덤워크 모형의 우월성에 대한 실증적 증거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PDF

The Irrational Behavior of Korea Stock Market and The Role of Public Information: Evidence from Mass Media in Korea (주식시장의 비이성적 행동과 공개정보의 역할 - 한국 매스미디어로 부터 증거 -)

  • Son, Pando;Lee, Hyeong ki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9 no.3
    • /
    • pp.83-98
    • /
    • 2020
  • This study analyzes how investors' irrational behavior (or pessimistic sentiment) affects stock market returns and investors' market activity using mass media that delivered public information from January 1998 to December 2012 as a sample. According to pessimistic investor theory, investor pessimism leads to downward pressure on the price of equity capital, thereby making market sentiment pessimistic and lowering market yields. It also shows that investor pessimism increases transaction costs in the market, which in turn dampens investors' trading activities. In other words, pessimistic reporting on public information disseminated by mass media induces investors to act irrationally, eventually having a direct impact on the stock market.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existing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using domestic mass media as a sample. First, the study reveal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essimistic reporting and returns as well as excess returns, while it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Second, evidence has been suggested that pessimistic sentiment in the stock market has a negative impact on future pessimistic reporting by mass media. Third,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pessimistic reporting on investors' market activity using proxy variables for various market activities found that pessimism dampens market activity, while it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t is assumed that low statistical significance is due to the fact that sample collection was carried out on a monthly basis. While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low statistical significance, statistical signs support predictions of the theory.

M2의 예측력(豫測力) 약화(弱化)와 정책목표(政策目標)의 불안정성(不安定性) -1980년 이후(以後) 우리나라 통화신용정책(通貨信用政策)에 관한 연구(硏究)-

  • Sin, In-Seok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9 no.3
    • /
    • pp.139-194
    • /
    • 1997
  • 80년 이후 최근까지의 우리나라 통화정책과 관련하여 세 가지 질문을 던지고 그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첫 번째 질문은, '중간표적으로 이용되어온 M2의 물가와 산출량에 대한 예측력은 어떻게 변하여왔는가' 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Granger인과성 검정과 VAR을 이용한 예측오차분산분해를 통하여 시간의 흐름과 함께 M2의 예측력이 약화되어왔음을 보일 것이다. 두 번째 질문은, '그렇다면 그 원인은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통화수요함수의 장기적 안정성에 대한 공적분 검정을 통하여 90년까지의 표본에서 발견되던 안정성에 대한 증거가 96년까지의 표본에서의 사라짐을 보이고, 이같은 통화수요함수의 안정성 상실을 M2의 예측력 약화의 원인인 것으로 해석할 것이다. 본 논문의 마지막 질문은, 'M2타깃팅의 실제 운영이 인플레이션 및 성장률 안정과 일관되게 추진되어 왔는가' 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통화정책의 반응함수 추정을 통하여 80년 이후 우리나라의 통화정책이 기간에 따라 정책목표가 변화되어 왔음을 보일 것이다. 85년 이전에는 인플레이션의 안정이 추구되었으나 86년에서 92년까지의 기간에는 경기부양이 중점적으로 추구되었던 것으로 보이고, 최근에 이르러서는 인플레이션 안정과 성장률 안정이 비교적 균형되게 추구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