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학교 도서관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4초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중학생의 인지도분석 (A Study o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Impact of School Libraries)

  • 권은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25-144
    • /
    • 2011
  •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교도서관 이용실태와 도서관의 효과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하고, 도서관 운영수준-사서교사 학교 사서교사는 없으나 이용 활성화 학교 비활성화 학교-에 따라 효과 인지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용실태로는 학교생활 속에서 학교도서관이 차지하는 비중, 이용빈도 도서관의 유익성, 이용 목적, 도서관활용수업의 효과 등을 조사하였다. 학교도서관의 효과에 대한 학생 인지도를 조사하기 위해서 7개 영역 38문항으로 조사하였다. 7개 영역 전체의 평균은 5점 만점에서 3.24이며 실태조사와 인지도 조사에서 학생들은 학교도서관이 독서활동에서 가장 크게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학교도서관 운영수준별로 효과 인지도의 평균을 비교하면 사서교사 학교 3.37, 활성화 학교 3.20, 그리고 비활성화 학교 3.16이다. 학교도서관의 운영수준은 학생들이 학교도서관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교육적 효과의 지표가 된다.

독서교육에 있어서 청소년의 성격유형과 독서성향의 관련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 of Personality Type and Reading Tendency of the Youth in Reading Education)

  • 한윤옥;조미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69-8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주요 봉사대상자이며, 성격형성에 매우 중요한 시기인 청소년의 성격유형별 독서성향과 행태가 어떻게 다른지를 밝혀내어 성격에 기반한 예방적 차원의 독서지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고학년생과 중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분석에 이용된 설문지는 총 583부(초등학교 324부, 중학교 259부)였다. 연구결과 개인적 적응, 사회적 적응, 문화적 적응영역 모두 7-9개 주제항목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성격유형에 따른 독서교육 방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학교도서관의 장서관리 현황조사 및 분석 (A Survey and Analysis of Current Collection Management State in School Libraries)

  • 김성준;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1-42
    • /
    • 2017
  •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의 장서관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전국의 154개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설문지는 학교도서관의 장서현황, 이용현황, 장서관리 체제의 3개 영역에 걸친 총 12개의 조사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분석결과 도출된 주요 내용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료현황에서 2015년 기준 학생 1명당 단행본 수는 전문단체인 한국도서관협회기준과 비교하여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기준을 초과하였으나, 고등학교는 기준에 미치지 못하였다. 입수자료의 주제별 비율은 문학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다음 주제로 사회과학과 역사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이용현황에서 학교급별 대출현황은 학생, 교사, 학부모 모두 초등학교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2013년부터 2015년까지 한 번도 대출된 적이 없는 자료는 전체 장서의 64.6%로 나타났다. 셋째, 장서관리 체제에서 전체 154개교 중 114개교(74%)가 자체의 장서관리 정책서를 보유하고 있고, 이들 모든 학교는 연간 1회 이상의 장서점검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대부분의 학교는 자체의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들은 연 중 2~3회의 회의를 개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는 학교도서관 현안문제에 대한 대화와 소통의 장으로, 그리고 장서개발, 운영지원, 홍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청소년의 지속적 독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중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s' Sustainable Reading Attitude: Focus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 김지숙;김기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59-186
    • /
    • 2020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지속적 독서태도를 강화하기 위한 독서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지속적 독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을 통해 지속적 독서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발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서울 소재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교의 환경요인, 학생 개인 특성 및 흥미, 그리고 독서교육에 대한 인식이 지속적 독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의 환경개선과 긍정적인 독서태도를 형성하기 위한 흥미 중심 독서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성별과 학년에 따른 독서교육방법의 차별화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지속적 독서태도 강화를 위한 학교도서관 독서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S지역 중학생의 독서문화 활성화 방안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Reading Cultur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 Region)

  • 허정희 ;윤주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241-268
    • /
    • 2023
  • 본 연구는 국민독서실태조사(2021)를 바탕으로 S지역 중학생의 독서실태를 비교 분석하고 독서문화조성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22년 7월 5일부터 2022년 7월 19일까지 2주간 S지역 중학생 695명을 대상으로 독서실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국민독서실태와 비교 분석하여 S지역 중학생의 독서실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독서문화 활성화 필요성과 방안을 제시하였다. 독서문화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독서량을 향상할 방법을 모색하였다. 둘째, 다양한 독서동아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한 학기 한 권 읽기 프로그램 보완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넷째, 학교도서관과 학생과의 소통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중학생 대상의 다양한 독서 지도, 독서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인식시켰다.

중학교 「역사」 교과서 세계사 영역의 공통 탐구 과제에 포함된 사서교사의 교육정보서비스 요소 분석 (An Analysis of Elements for Teacher Librarians'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s Embedded in Common Inquiry Tasks of World History Territory in Korean Middle School History Studies)

  • 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5-2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 포함된 공통 탐구 과제를 분석하고, 사서교사의 교육정보서비스에 주는 시사점을 알아보는 것이다. 16종의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 포함된 세계사 영역의 탐구 과제를 조사한 결과 84개의 공통 탐구 과제가 발견되었다. 이를 탐구 절차에 해당하는 정보활용과정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탐구 과제는 학생들이 개별적으로 교과서에 수록된 사진 자료와 도서(읽기) 자료를 조사한 후에 그 결과를 말하기 형태로 표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징을 중학교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에서 지도하는 정보활용과정과 비교하면, 1단계(정보과제 정하기와 정보 요구 파악하기)와 3단계(정보 종합과 표현)의 정보 표현하기를 충족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서교사가 역사 교사의 수업 부담을 줄여주고, 역사 수업에서 학생들의 탐구 활동을 촉진하는데 기여하기 위해서는 정보 해석과 분석하기, 정보 종합 및 조직하기 그리고 정보 활동 평가하기에 대한 교육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공통 탐구 과제에 포함된 정보활용과정 요소 분석 (An Analysis of Elements of the Information Literacy Process within Common Inquiry Tasks of Textbooks in Korean Middle Schools Social Studies)

  • 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33-25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탐구 과제를 정보활용과정 측면에서 분석하고, 사서교사가 정보활용교육 차원에서 수행할 수 있는 교육적 역할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분석 결과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탐구 과제를 수행하는 학생은 개별적으로 필요한 자료를 선정하여 정보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보고서로 쓰거나 발표하는 활동을 전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특징을 중학교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에서 지도하는 정보활용과정과 비교하면, 1단계인 '정보과제 정하기와 정보 요구 파악하기'와 3단계인 '정보표현하기'를 충족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서교사는 탐구 과제 해결에 필요한 적절한 자료의 탐색 전략과 자료가 담고 있는 정보를 이해하고 종합하는 능력 그리고 탐구 과정과 결과를 평가하는 능력 등을 지도함으로써 사회교사의 수업 부담을 줄여주고 학생의 탐구 활동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서는 사서교사와 교과교사가 정보활용능력을 기반으로 한 협동수업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정보처리모형을 활용한 중학교 특수 국어 교과서 심화 학습활동 수록 매체 분석 (An Analysis of Media in Advanced Learning Activities of Middle School Special Korean Textbooks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 송기호;노정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9-5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 학생용 교과서에 수록된 매체의 특징을 정보처리모형을 기반으로 분석하고, 도서관 자료를 장애 학생의 수업 개선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 심화 학습활동에 포함된 매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 학생은 심화 학습활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주로 시각을 통해서 정보를 수용하고 이해를 통해서 정보를 처리한 후에, 언어지능을 활용해서 결과를 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삽화와 텍스트를 통해서 학습 내용을 수용하고, 추론과 설명 등 이해를 토대로 내용을 처리한 후에 쓰기와 말하기와 같은 언어 지능을 활용하여 결과를 산출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도서관 자료를 장애 학생의 국어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장애 학생의 독서 흥미 발달단계와 장서 맵핑을 활용한 다양한 투입 매체를 개발한다. 읽기-듣기를 활용하여 도서 자료를 제공한다. 심화 학습활동을 자기 주도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적 지식을 지도한다. 그리고 다양한 산출 활동을 도울 수 있는 글의 유형과 글쓰기 전략을 개발한다.

다중지능을 활용한 100대 교육과정의 학교 독서교육 프로그램 유형 분석 (An Analysis of Program Types for School Reading Education Included in the 100 Excellent Curriculum by Multiple Intelligences)

  • 이경화;송기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85-10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한 학교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분석하고,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가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처음 적용된 2016학년도 100대 우수 교육과정 보고서에 포함된 학교 급별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유형을 다중지능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 독서교육 프로그램은 인간친화지능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는 지역사회 연계 독서를 가장 많이 운영하고, 중 고등학교는 학생 독서 동아리 활동을 가장 많이 운영하였다. 언어 지능 관련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경우 초등학교에서는 책읽어주기, 중학교는 문학작품으로 쓰기, 고등학교는 감상문 쓰기를 가장 많이 운영하였다. 공간 지능 관련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경우 모든 학교급에서 매체제작 유형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다만, 자연친화 지능과 관련된 독서 프로그램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2015 개정 교육과정하에서 학교도서관이 독서교육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하여 이바지할 방안을 교육 공동체 중심지로서 교사 학생 학부모 연계 프로그램 개발, 창작 공간설치 운영, 사서교사의 프로그램 관리 및 탐구기반학습 역량 신장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학교도서관 이용동기가 도서관 서비스품질인식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기반 연구 (The Influence of School Library Use Motivation on the Library Service Quality Perception: A Study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 이성인;박지홍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1-78
    • /
    • 2020
  • 최근 자기주도적 학습, 평생교육이 강조되면서 교육과정에서 학교도서관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학교도서관의 구조적, 제도적, 운영적 관점에서의 연구들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학교도서관이 자율성 기반의 자기주도적 교육 운영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학교도서관 이용자의 자율적 내적동기와 같은 미시적인 주제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이론을 기반으로 학교도서관 이용 동기에는 어떠한 유형이 더 중요한지, 학교도서관 이용 동기가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학교도서관 이용 동기와 서비스 품질 인식이 도서관 이용자의 학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예비 연구를 기반으로 서울에 소재한 4개의 고등학교와 2개의 중학교 학생 588명을 대상으로 학교도서관 이용 동기가 도서관 서비스 품질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서비스 품질, 그리고 서비스 품질 요소 중 서비스 감성, 정보제어, 도서관 장소를 종속 변수로 각각 설정하였을 때, 네 가지 경우 모두 내재적 동기요인이 외재적 동기요인보다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중학생과 고등학생 집단을 각각 별도의 대상으로 설정하였을 때에도 두 집단 모두 내재적 동기가 높을수록 서비스 품질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이론을 학교도서관 서비스에 적용하였다는 점, 이론을 토대로 구분한 동기 유형의 영향력을 측정하였다는 점, 그리고 학교도서관 서비스 향상을 위해 미시적 요인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