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중점지원분야

Search Result 11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nalysis of the Effects of Public R&D Subsidy on Private R&D Investment in the Cleaner Production - Complementary or Crowding-out Effect - (청정생산R&D 정부출연금의 기업R&D투자에 대한 효과분석 - 민간기업R&D투자의 보완.대체효과를 중심으로 -)

  • Ju, Hong-Shin;Kim, Jum-Su;Park, Jung-Gu
    • Clean Technology
    • /
    • v.17 no.2
    • /
    • pp.181-188
    • /
    • 2011
  • In this study, the complementary or crowding-out effects of public R&D subsidy on private R&D investment in the cleaner production were analysed between the effects and the major determinants (company size, R&D investment intensity, ratio of government investment, R&D manpower intensity). Among 207 firms' projects, the number of the complementary effect was 95 (45.9%) while that of crowding-out effect was 38 (18.4%). Resulting from logistic regression, the higher the R&D investment of sponsored companies is, the more complementary effect they show, responding to public R&D subsidy, and increase own R&D investment. The other determinants, however, showed no significant effects on firms' R&D investment. To heighten the effect of public cleaner production R&D, it is need to increase the priority of R&D investment intensity among the determinants. And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governmental R&D investment, further studies for the individual public R&D programs are necessary.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herapeutics (DTx)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disorders (의사소통장애 분야에서 디지털 치료제(DTx) 개발과 관련된 국내 연구동향 분석)

  • Eunmi Yun;Ikjae Im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 /
    • v.14 no.4
    • /
    • pp.57-66
    • /
    • 2022
  • In this study, the definition of "digital therapeutics" was clarified by examining related studies, and the development trend of digital therapeutics at the domestic level was investigated. Further, research data and technologies applied to various communication disorders since 2015 were analyzed. From all these, digital therapeutics can be defined as software that can support evidence-based treatment when used on patients to prevent, manage, and treat disorders With huge investments and research efforts increasingly made in the field of digital therapeutics, 17 of the 22 studies examined were on digital therapeutics applied in the treatment of language disorders. In the research papers examined, the technologies applied were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with augmented reality used in most cases. The effects of applying digital treatment were positive, and most studies focused on content development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reatment, although one study was conducted for app development. Future studies could examine the application of digital therapeutics to more diverse communication disorder subjects. Active government support is expected in developing more sophisticated software that can be applied using a wider range of technologies in the field of digital therapeutics to treat more communication disorders.

Exploring the Model of Social Enterprise in Sport: Focused on Organization Form(Type) and Task (스포츠 분야 사회적기업의 모델 탐색: 조직형태 및 과제)

  • Sang-Hyun Park;Joo-Young Park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22 no.2
    • /
    • pp.73-83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various problems arising around social enterprises in the sport fiel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rganization and derive necessary tasks and implica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study was largely divided into three stages,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First, the main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enterprises in the sport field were examined. The current status was analyzed focusing on aspects such as background and origin, legislation and policy, organizational goals,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procedures,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ocial enterprises in the sport sector were in their early stages, and the government's social enterprise policy goal tended to focus on increasing the number of social enterprises in a short period of time through financial inpu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most individual companies rely on government subsidy support due to insufficient profit generation capacity. In the second stage, we focused on the situational factors that affect the functional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in the sport fiel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value, ideology, technology, and history of the organization, which are situational factors, it was derived that when certified as a social enterprise in the sport field and suppor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s, political control is strong to some extent and exposure to the market is not severe. In the last third step, tasks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to form an appropriate organization for social enterprises in the sport field. After the social enterprise ecosystem in the sport sector has been established to some extent, it is necessary to gradually move from the current "government-type" organization to the "national enterprise" organization. This is true in light of the government's limited financial level, not in the short term, but in order for the organization of social enterprises in the sports sector to survive in the long term.

A Study on the Information Usage Behavior of Researchers in the Field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해양과학기술 분야 연구자의 정보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 Han, Jong Yup;Seo, Man D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1 no.1
    • /
    • pp.163-18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information usage behavior of researchers in the field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The study mainly collected primary data for advancement of special library services as well as establishment of personalized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education level, and area of research.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or two weeks during January 2014, through a web survey to 348 researchers in national ocean research institutions in South Korea. Total of 115 researchers replie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most preferred type of information medium was a scholarly journal. Researchers used more foreign published journals compared to Korean ones, while favoring digital formats rather than printed ones. The top channels for information collection were 'web search' and 'affiliated libraries.' Most pointed out difficulties of data collection were 'lack of variety of digital resources in affiliated libraries' and 'reluctance to use charged information.' Key elements for satisfactory user experience were ranked in the order of 'digital library system,' 'library staff,' and 'library collection' and so on;which prove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library service and information usage service satisfaction. The result of an assessment for demands in special libraries showed that 'personalized information search service,' 'project support service,' and 'research direction analysis service' should be implemented in the future.

조미산업

  • 임재각
    • Food Industry
    • /
    • s.181
    • /
    • pp.68-91
    • /
    • 2004
  • 조미료란 식품을 조리, 가공, 섭취할 때 맛을 증진시키거나 강화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일컫는다. 발효, 종합 및 천연계 조미료의 국내외 시장동향에 대해 살펴보고, 조미료의 향후 발전방향과 중점 연구 분야, 관련업계의 연구개발 동향에 대한 고찰을 토대로 조미료 분야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육성방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미원, 아이미 등으로 대표되는 발효조미료의 내수시장은 성숙기를 거쳐 소폭 감소세를 보이는 쇠퇴기에 접어들고 있다. 이는 소비자의 MSG에 대한 기피현상이 주 원인으로 판단된다. 전반적으로 품질 차별화 없이 가격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종합조미료 시장은 1975년 국내에 처음으로 CJ에서 다시다 제품을 출시한 후 대상에서 1982년 맛나, 1988년 감치미를 출시하면서 30여 년간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다. 현재 시장규모는 2천억원에 이르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성장세가 완만해지고 있고 가정용은 거의 정체되어 있다. 일본 조미료 시장은 발효조미료, 종합조미료 그리고 다양한 조미식품의 소재로 활용되는 천연조미료로 구분할 수 있다. 발효조미료 시장은 국내와 비슷한 상황으로 전체적인 물량변화는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며 생산기지의 해외이전 현상이 뚜렷하다. 종합조미료 시장은 한국과 유사한 풍미조미료 외에도 보다 전문화되고 다양한 형태의 조미료가 시판되고 있으며, 전통적인 풍미조미료는 정체현상을 보이고 건강지향, 전용화 조미료가 호조를 보이고 있다. 일본과 한국의 조미료 발전 단계는 조금 차이를 보이고 있다. 현재 한국은 종합조미료 시대에서 용도별 조미료 시대로 넘어가는 단계에 있는 반면, 일본은 이미 메뉴 전용 조미료시대에 접어들었고, 건강, 기능성을 강조하는 시대로 나아가고 있다. 이들 변화는 건강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과 그로 인한 보다 천연에 가까운 조미소재에 대한 수요, 동시에 맛에 대한 충족까지 요구하는 시대적 변화에 따른 필연적 결과로 보인다. 미래의 조미료는 천연계 소재의 사용량이 증가할 것이고, 소비자의 건강, 안전 추구심리에 부흥하여 안전성과 기능성을 부여하는 소재에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전반적인 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제품의 고급화와 전용화도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향후 조미료시장을 주도할 각 현상에 대해 좀더 자세히 알아보고 학계 및 업체의 최근 연구동향과 제품개발 현황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기술연구 동향을 보면, 나노 기술에 의한 조미신소재연구, 초미분쇄기술, 미세 캡슐화 기술, 생물공학 기술이 활용된 발효 및 효소분해에 의한 펩타이드계 조미소재 개발 등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선진업체 연구 및 제품개발 동향은 아지노모트/교와의 ''코쿠미''계 조미소재 연구개발, 일연푸드/동해물산의 천연 엑기스계 조미소재 연구개발, 보조주(주)의 주류 조미료 개발 위주로 살펴보았다. 조미료 시장의 발전 과정과 선진 업체들의 연구, 개발동향을 종합해 보면 첫째는 천연 건강지향에 부응하는 차별화된 소재 및 기능성 소재 개발이고 둘째는 맛과 편리함의 추구에 대응하는 메뉴 전용화 추세이다. 이를 위한 기술적 연구도 기능성 소재(히스티딘 함유 디펩타이드)개발, 나노기술, 미세캡슐화 기술 등을 통하여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조미료 산업을 첨단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R&D 투자확대와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각 기업단위에서는 장기적 차원에서 첨단식품 기반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거나, 전문 중소기업, 벤처를 육성하는데 지원해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당장의 수익과 회사간 경쟁으로 인해 장기적 투자, 사회적 인프라 육성 등에는 관심을 쏟지 않고 있다. 조미료를 비롯한 식품에 관련된 기술들이 다양한 기초연구와 응용기술, 개발연구 등의 총합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들 상이한 연구 분야간의 연계를 강화하고 개발된 기술의 이전, 확산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기업간 수평적 네트워크 외에도 국가기관이 참여하는 연구 자원의 효율적 집행 기관이 필요하리라 본다.

  • PDF

A Study on Generating a Coastal Flood Hazard Map (국내 적합한 연안침수지도제작에 관한 연구)

  • 원대희;김계현;박태옥;최현우;곽태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435-440
    • /
    • 2004
  • 연안침수지도는 태풍이나 해일에 의한 연안침수 발생 시 방조제의 월류 및 붕괴로 인한 예상 침수구역을 강우빈도(200년)별로 나타내고, 침수면적과 깊이를 표현한 지도로서 국외 선진국에서 방재형 국토관리 정책결정과 침수피해에 대한 대민 홍보의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연안침수에 의한 피해가 나날이 커지고 국토의 개발에 따른 자연 재해가 많아짐에 따라 보다 방재형 국토개발로 국민의 안전과 복리를 증진하고, 연안침수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연안침수지도의 제작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의 시범지역인 대부도 남부지역의 GIS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문헌조사 및 기구축 데이터 확보, 지역의 특성에 맞는 신규 GIS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제시하였다. 침수구역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링을 지원하기 위한 정확도와 경제성, 객관성, 현실성이 높은 지형공간자료의 효율적인 구축이 강조되었다. 구축한 데이터베이스의 세부 유형은 침수위험구역, 침수경계구역, 침수량 화살표이며, 기존에 구축된 데이터를 활용한 레이어는 해안선, 도로, 건물, 등고선, 등심선, 연안 표고점 측량데이터이다. 연안침수지도는 효율적인 재난관리를 위하여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나아가 주민의 침수에 대한 경각심 고취와 사전 교육, 지방자치단체의 침수위험 관리업무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연안침수지도는 지자체 주민들을 위해 보기 쉽고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제작되었으며, 이를 위해 사진과 삽화를 추가하여 주민들에게 침수피해에 대한 경각심과 이해를 높이는데 중점을 두었다. 유지관리 후 활용체계 정비의 중요성’을 점검하고, ‘변동자료 발생원인의 분석’, ‘명확한 변동자료 입력 근거의 확보’, ‘갱신주체별 역할의 정의 및 유지관리 기준의 설정’, ‘분야별업무 특성을 고려한 관련 기준의 마련 및 타 시스템과 연계되는 항목을 고려한 절차 정의’ 등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유지관리 모델을 기반으로 각 지자체별로 적절한 컨설팅이 진행되고 이에 따라 담당자의 실천이 이루어진다면 지자체 GIS의 투자대비 효과에 대한 기대는 이상이 아닌 현실로 다가오게 될 것이다.가오게 될 것이다. 동일하게 25%의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 ?스굴 시추사업은 2008년까지 수행될 계획이며, 시추작업은 2005년까지 완료될 계획이다. 연구 진행과 관련하여, 공동연구의 명분을 높이고 분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시료채취 및 기초자료 획득은 4개국의 연구원이 모여 공동으로 수행한 후의 결과물을 서로 공유하고, 자세한 전문분야 연구는 각 국의 대표기관이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스굴에 대한 제1차 시추작업은 2004년 3월 말에 실시하였다. 시추작업 결과, 약 80m의 시추 코아가 성공적으로 회수되어 현재 러시아 이르쿠츠크 지구화학연구소에 보관중이다. 이 시추코아는 2004년 8월 중순경에 4개국 연구팀원들에 의해 공동으로 기재된 후에 분할될 계획이다. 분할된 시료는 국내로 운반되어 다양한 전문분야별 연구에 이용될 것이다. 한편, 제2차 시추작업은 2004년 12월에서 2005년 2월 사이에 실시될 계획이다. 수백만년에 이르는 장기간에 걸쳐 지구환경변화 기록이 보존되어 있는

  • PDF

A study on the policy conflict structure to Identify Demand for Regulatory Innovation in OTT Industry (OTT산업의 규제혁신 수요 파악을 위한 정책 갈등구조 분석)

  • Choi, HaeOk;Lee, KwangHo;Ha, ReeDa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2
    • /
    • pp.1-8
    • /
    • 2022
  • Although the OTT industry is an area that needs urgent policy response as a priority area under the new industry regulatory reform master plan, various issues are occurring due to the lack of related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olicy conflict structure in which regulatory obstacles and delays occur by listening to the opinions of major stakeholders and using the Q methodology to identify the regulatory innovation demand of the OTT industry.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implementation of OTT-related polici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tandard system for the method of settlement of copyright fees. Second,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support method that can reduce the burden of OTT operators' fund. Third,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system by changing the regulatory application method for potential regulatory issues related to zero-rating. This study can be utilized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a system in which various stakeholders are connected and developed in a complex manner in the process of regulatory innovation in new industries and services.

Checklist Development for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in Form Work in Small and Medium Sized Construction Sites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거푸집 공사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체크리스트 개발)

  • Cho, Ye-Rim;Shin, Yoon-Seok;Shin, Jae-Kw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7 no.6
    • /
    • pp.587-594
    • /
    • 2017
  • The construction industry generates the greatest number of disasters. Laborer injury at construction sites is mostly reported by small and mid-sized construction sites. Moreover, of the injuries, the greatest number is related to formwork.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hecklist of the risk factors of formwork, in which industrial injuries occur most frequently in small and mid-sized construction sites, with which safety management can be done thoroughly. Risk factors and preventive measures are derived by analyzing 9,396 industrial disasters occurring at construction sites in Korea. The checklist drawn in this study was reviewed by five specialists in safety management, and applied to construction sites to verify its applicability. In a result, applying the checklist to the site showed that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of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sites were insufficient.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ffective safety management of small and mid-sized construction sites.

Healthy Japan 21 objectives and strategies (일본건강증진 사업의 목표 및 추진전략: Healthy Japan 21)

  • Hoshi, Tanj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5.09a
    • /
    • pp.55-88
    • /
    • 2005
  • Healthy Japan 21의 목적은 삶의 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노동가능 인구집단의 유병률을 줄이고 건강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21세기 모든 일본인들이 더욱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향유할 수 있도록 국가사업을 활성화하는 것이다. 구체적 목적은 조기사망을 예방하고 건강생활을 향상하는 것으로, Healthy Japan 21의 전략적 기획과정에서 건강수명의 연장을 실현하기 위하여 2010년까지 달성되어야 하는 구체적인 목적들이 또한 제시되었다. 조기사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고, 암, 자살, 심장병 감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9개의 주요 목표로 영양, 신체활동, 휴식과 이완, 금연, 절주, 구강보건, 당뇨병 예방, 심혈관계질환 예방, 암 예방을 설정하였다. 흡연, 알콜, 식사 그리고 운동과 같은 생활양식은 스트레스, 비만, 고혈압과 같은 위험요인 및 질병관리와 관련이 있으며, 위험요인은 암, 심장병, 구강질환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따라서 질병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건강증진과 일차예방이 강조되어야 한다. 일차예방에 중점을 두기 위해서 우리는 전통적인 질병관리의 중점사항인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질병 조기발견을 노력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아울러 의료비 감소, 병상에 있는 사람들의 감소, 사회세의 감소도 또한 달성되어야 하는 사업의 결과로 설정되어 있다. 가장 최근의 Healthy Japan 2000(1998-99)의 평가에 따르면 목표들의 15%가 달성되었거나 초과 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아동과 청소년의 사망률의 경우, 1-14세 아동의 사망률은 1987년부터 26%가 감소되어 2000년도 목표인 인구 100,000명단 28명의 사망을 초과 달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Healthy Japan 21의 두 가지 주요 전략은 일반 인구집단을 위한 전략과 고위험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전략으로 구성된다. 개인의 건강한 생활양식으로의 변화를 포함한 우리의 건강증진 노력은 사람 중심으로 개인의 선택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을 지원하기 위하여, 각 개인이 정보를 갖은 상태에서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적당량의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와 같은 일본의 건강증진계획은 2000년 3월에 Healthy Japan 21이 설립되었으며, 2000-2002년 사이 모든 현이 자신의 사업계획을 설정하였으며, 2001-2005년에는 약 반수 정도의 지방자치단체들이 자신들의 사업계획을 확정하였다. 건강증진을 이루는 중요한 수단은 파트너 쉽에 있다. 정부조직 뿐 아니라 건강보험회사,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자, 교육단체, 대중매체, 사기업, 봉사단체 등을 포함한 건강분야의 조직들은 자신들의 전문적 기술들을 한데 모아 서로 협력하여야 한다. 또 하나의 중요한 수단은 건강 지지적인 환경이다. 개인의 건강증진 노력을 체계화함으로써 지지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Healthy Japan 21에 대한 평가는 2005년에 중간평가가, 2010에 최종평가가 있을 예정이다. 평가결과들은 이후에 진행될 사업의 향상을 위한 기준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 PDF

Optimizing Skyline Query Processing Algorithms on CUDA Framework (CUDA 프레임워크 상에서 스카이라인 질의처리 알고리즘 최적화)

  • Min, Jun;Han, Hwan-Soo;Lee, Sang-Won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37 no.5
    • /
    • pp.275-284
    • /
    • 2010
  • GPUs are stream processors based on multi-cores, which can process large data with a high speed and a large memory bandwidth. Furthermore, GPUs are less expensive than multi-core CPUs. Recently, usage of GPUs in general purpose computing has been wide spread. The CUDA architecture from Nvidia is one of efforts to help developers use GPUs in their application domains. In this paper, we propose techniques to parallelize a skyline algorithm which uses a simple nested loop structure. In order to employ the CUDA programming model, we apply our optimization techniques to make our skyline algorithm fit into the performance restrictions of the CUDA architecture. According to our experimental results, we improve the original skyline algorithm by 80% with our optimization techniq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