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점개선

검색결과 630건 처리시간 0.028초

산학협력 매개 주체로서 산학협력중점교수 제도의 운영 실태와 제도 개선 방향 (Whither th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Faculty System? : Realities and Alternatives)

  • 허선영;장후은;이종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649-659
    • /
    • 2015
  • 2011년부터 시행된 교육과학기술부의 LINC 사업을 통해 산학협력중점교수 제도가 처음 도입된 이후, 산학협력중점교수의 수는 가파르게 증가하였고, 산학협력 활동의 매개 주체로서 산학협력중점교수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산학협력중점교수 제도 운영에 필요한 인건비의 70%를 LINC 사업비에 의존하고 있는 프로젝트 사업의 특성상 LINC 사업에서 중도 탈락하거나 LINC 사업이 종료된 후에도 산학협력중점교수 제도가 존속할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비롯해 산학협력중점교수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대학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및 전문가 심층면담조사 결과를 토대로 산학협력중점교수의 실태 및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제도 개선방안을 법 제도적, 재정적, 구조적인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 PDF

IPA기법을 적용한 사회복지사례관리 직무수행 및 수퍼비전에 관한 연구 -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ase Management Practice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 박은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78-29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들의 사례관리직무를 IPA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사례관리직무 수행 능력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울산지역 사례관리업무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제시하는 사례관리직무(능력단위 9개, 능력단위요소 33개)에 대한 중요도-직무역량, 수퍼비전필요도-경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IPA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요도-직무역량에 대한 분석결과, IPA격자도 영역별로 강화유지 12개, 중점개선 1개, 개선 9개, 과잉 11개 능력단위요소가 도출되었다. 수퍼비전필요도-경험에 대한 IPA분석결과는 강화유지 15개, 중점개선 5개, 개선 4개, 과잉 9개의 능력단위요소가 포함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외부운영체계구축', '자원연계체계 개발'에 대한 직무역량을 중점적으로 강화하고, '외부운영체계구축', '내부운영체계구축'에 집중적인 수퍼비전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례관리직무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논의와 제언을 하였다.

PPA기법을 적용한 민간경호경비원의 여가제약과 중점개선 여가활동 참가지수 분석 (Analysis on the Leisure Constraint and Index Concentrate Here Improvement's Leisure Activities among the Private Security Agents Applying PPA Technique)

  • 김경식;김찬선;박영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317-325
    • /
    • 2010
  • 이 연구는 PPA 기법을 적용하여 민간경호경비원들의 여가활동 집중개선 여가활동을 도출하고, 나아가 여가제약이 참가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민간경호경비원들의 여가후생복지 개선을 위한 정책투자우선순위를 도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0년 2월 서울 소재 6개소 민간경비업체를 대상으로 판단표집법을 적용하여 최종분석에 사용된 사례 수는 총 267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7.0 프로그램으로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대응표본 t검증, PPA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값이 .768 이상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경호경비원의 여가활동 참가 지수인 선호도와 참여도는 차이가 있다. 중점개선 여가활동은 헬스, 산책/조깅, 숙박관광, 당일여행 등이며, 노력지속 여가활동은 영화, 국내유명관광지, 이성교재, 외식, 대인관계, 스포츠 관람, 독서, 노래방, TV 비디오 시청, 음주 등이다. 개선요망 여가활동은 수상스포츠, 등산, 자전거, 축구, 사진촬영, 구기운동, 항공스포츠, 바둑/장기, 인라인스케이트, 요리 등이다. 둘째, 민간경호경비원의 여가제약은 여가활동 참가지수에 영향을 미친다. 여가제약의 하위요인인 개인내적 제약, 주변의식적 제약이 클수록 선호하는 여가활동 참가지수는 감소하는 반면, 구조적 제약, 시간 경제적 제약과 같은 어려움을 극복할 경우 여가활동 참가지수는 증가한다.

NEW TECH&PRODUCT - 신기술(NET) 인증제도 개선

  • 박성유
    • 기술표준
    • /
    • 통권120호
    • /
    • pp.36-37
    • /
    • 2012
  • 산업기술혁신촉진법 개정으로 신기술(NET) 인증제도가 개선됐다. 수요자의 부담을 줄여주고, 현실적으로 제도를 시행할 수 있도록 개선하는데 중점을 뒀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자.

  • PDF

과학중점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A Qualitative Case Study of Science Core School Curriculum Management)

  • 이재림;이현서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6권3호
    • /
    • pp.37-50
    • /
    • 2017
  • 교육부는 우수 과학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2009년부터 과학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으로 '과학중점 학교'를 선정 운영하여 확대되었다. 향후 성공적인 과학중점학교의 운영을 위해서 현 시점에서 운영 현황과 문제점을 점검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과학중점학교로 선정된 경기도 소재 과학중점 고등학교의 교사, 학생을 대상으로 면담, 관찰 등의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운영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운영 성과로는 일반 고등학교에서 과학적 소양을 기르고 실험, 견학, 동아리 활동 등이 확대되어 이공계 인재 양성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점으로는 치열한 내신 경쟁으로 사교육 증가, 비교과 활동의 위축, 담당 교사의 업무 부담, 수학 과학 교사들의 전문성 부족 등이 나타났다. 과학중점학교의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한 개선 방안으로 과학중점학교의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 확대, 교사 연수기회 확대, 과학중점학교 대학전형 개선, 외부강사 활용, 행정실무사 증원 등의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국산 의료기기 사용률과 사용자 및 관리자 인식 조사를 통한 국산 의료기기 개선 방안 (Suggest Improvement for Medical Device Made in Korea by the Investigation of Domestic Medical Device Percentage and Survey of Medical Device Users and Manager)

  • 이정현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99-306
    • /
    • 2017
  • 국산 의료기기 산업에 대한 다양한 투자와 신기술 도입에 따라 국내의료기기 산업은 비약적인 증가를 하고 있으나 국내 대형의료기관의 국산의료기기 사용률은 여전히 저조한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대형병원에서의 국산 의료기기 사용률과 사용자 및 관리자의 인식조사를 수행하여 국산의료기기의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4곳의 국립대학교병원을 대상으로 전체 의료기기의 종류와 국산 의료기기 사용률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의료기기 중 중점조사 대상 의료기기를 선정하였다. 중점조사대상 의료기를 대상으로 고장통계와 사용자 인식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점조사대상 의료기기의 개선사항을 제시하였다.

지반함몰 사고 분석을 통한 제도 개선안 연구 - 지하시설물 및 주변지반 관리 중심으로 - (Study on Improvement Plan of System through Analysis of Ground Sink Accidents - Focused on the management of underground facilities and their surrounding ground -)

  • 김동진;이종근;김홍균;노태길
    • 한국건설안전학회 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18-2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반함몰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제도 개선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수행절차를 따른다. 첫째, 지반침하 및 지반함몰 등의 혼용되어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한다. 둘째, 지반함몰 사고 현황 및 원인 분석과 강우량과 지반함몰 원인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여 중점관리 원인을 도출한다. 셋째, 중점관리 원인에 대한 제도 개선안을 제안한다. 그 결과, 지하관로 손상과 지하공사 부실이 중점관리 원인으로 규명되었으며, 이를 관리할 두 가지의 제도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보다 실효성 있는 지하함몰 예방을 위한 제도개선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