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Qualitative Case Study of Science Core School Curriculum Management

과학중점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이재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
  • 이현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7.12.05
  • Accepted : 2017.12.22
  • Published : 2017.12.31

Abstract

The Ministry of Education selected and implemented 'science core school' since 2009 as a policy to strengthen science education to produce talented science students. This study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urrent management practice and diagnose problems to propose improvement measures for more successful management of science core school in the future. To this end, we interviewed and observed teachers and students at a high school specialized in science based in Gyeonggi province which was selected as a science core school, as qualitative study methods such as interview and observation to survey and analyze the current management practice of the school. The management outcome was that the school contributed to fostering talented students in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because more varied activities were implemented at the school to develop scientific knowledge of students including experiment, excursion, and circle activity. Identified problems were increased amount of private education due to intense competition over school achievement, negligenc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burdensome workload for teachers of specific subjects, and lack of expertise of math and science teachers. In conclusion, the following improvement measures are suggested for sustainable management of science core schools: greater liberty should be granted to science core schools; more training opportunities should be given to teachers; college admission program should be improved for science core school students; an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courses taught by external teachers, and provide systematic support such as increasing administration staff.

교육부는 우수 과학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2009년부터 과학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으로 '과학중점 학교'를 선정 운영하여 확대되었다. 향후 성공적인 과학중점학교의 운영을 위해서 현 시점에서 운영 현황과 문제점을 점검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과학중점학교로 선정된 경기도 소재 과학중점 고등학교의 교사, 학생을 대상으로 면담, 관찰 등의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운영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운영 성과로는 일반 고등학교에서 과학적 소양을 기르고 실험, 견학, 동아리 활동 등이 확대되어 이공계 인재 양성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점으로는 치열한 내신 경쟁으로 사교육 증가, 비교과 활동의 위축, 담당 교사의 업무 부담, 수학 과학 교사들의 전문성 부족 등이 나타났다. 과학중점학교의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한 개선 방안으로 과학중점학교의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 확대, 교사 연수기회 확대, 과학중점학교 대학전형 개선, 외부강사 활용, 행정실무사 증원 등의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중점학교 운영 및 STEAM 가이드, 2017
  2. 한혜정, 교과중점 고등학교 편성.운영 현황 및 내실화 방안, 교육과정연구, 13권, 1호, 2012, pp.99-124
  3. 정호일, 과학중점학교 운영의 교육만족도 연구: 전북지역 과학중점학교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4. 김나미, 과학중점과정 운영에 따른 기대효과와 학생들의 인식조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5. 박세환, 과학 중점화 학교 교육 현장의 실태와 효과적인 운영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6. 오혜란, 김희백, 과학중점학교의 과학관련 비교과 체험활동 운영 실태, 현장과 교육, 5권, 2호, 2011, pp.73-83
  7. 정미진, 과학 중점 고등학교에서 비교과 활동에 대한 연구,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8. 김지희, 과학중점학교에서 비교과 체험활동 인식 조사,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9. 홍지혜, 과학중점학교 운영이 학생의 과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과 과학교사의 학교 환경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0. 송경훈, 과학중점학교 교육과정이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1. 류성창 외, 과학중점학교 운영 현황에 관한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권, 10호, 2014, pp.305-328
  12. 정영희 외, 과학중점고등학교 담당교사들의 반성적 실천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교원교육, 31권, 2호, 2015, pp.315-351
  13. 최병관, 과학.수학 교과교실 및 과학중점학교를 위한 교육환경 조성 방안, 한국교육시설학회, 17권, 6호, 2010, pp.20-26
  14. Marriam, S. B, Qualitative Rea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ucation. Sanfrancisco, CA: Jossey-Bass, 1998
  15. 신철균, 연구학교 운영과정 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6. Wolcott, H, Transforming Qualitative Date: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London: Sage, 1994
  17. Hatch, J. A, Doing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Settings.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2
  18.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I: Bricoleur,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2012
  19. 명성고(가칭), 학교운영계획서, 2014
  20. 조용환,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1999
  21. 명성고(가칭), 1학년 계열 및 교과 선택 안내 자료,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