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성수

검색결과 1,606건 처리시간 0.034초

몽골산 크롬철광 중의 금속성분 분석 (Determination of Metal Elements in Mongolian Chromite)

  • 최광순;이창헌;표형렬;박순달;조기수
    • 분석과학
    • /
    • 제13권6호
    • /
    • pp.766-774
    • /
    • 2000
  • 유도결합 플라스마 원자방출분광법(ICP-AES)을 이용하여 몽골산 크롬철광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크롬철광을 용해시키기 위하여 과염소산-인산의 흔합산과 융제로서 $Na_2O_2$의 적용성을 검토한 결과 최적의 용해방법은 용융법이었다. 크롬광의 주성분과 미량성분을 ICP-AES로 정량할 때 과량의 Na가 측정파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Al, Cr, Fe 및 Mg과 같은 주성분원소의 경우 Na가 250 mg/L까지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Co, Ni, Ti, V 및 Zn과 같은 미량성분들은 Na가 1,250 mg/L인 경우 측정원소와 파장에 따라 방출선의 세기는 1-5% 정도 감소하였다. 본 방법의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중성자방사화분석으로 얻은 결과와 상대편차를 비교하였다. $Al_2O_3$, $Cr_2O_3$, FeO 및 MgO의 경우에는 FeO를 제외하고 상대편차가 5% 이내이며, Co, Mn, V 및 Zn의 경우에는 ~20-8% 범위였다.

  • PDF

발아 전후 보리 당단백질 추출물의 영양성분 및 면역 활성 변화 (Changes in the Nutritional Components and Immune-enhancing Effect of Glycoprotein Extract from Pre- and Post-germinated Barley Seeds)

  • 유아름;박호영;홍희도;민진영;최희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511-516
    • /
    • 2015
  • 발아 전후 보리 당단백질 추출물에 대한 영양성분 변화와 RAW 264.7 세포에 처리 후 생성하는 산화질소 II와 사이토카인(인터류킨-6, 종양괴사인자-${\alpha}$) 양을 측정하여 면역 증진 효능을 예측하였다. 보리의 발아가 진행됨에 따라 당단백질 추출물의 단백질과 지방질 함량은 감소하고 총당 함량은 증가하는 추세를 확인하였다. 주요 중성당은 아라비노스, 포도당, 자일로스이며 발아함에 따라 6탄당인 포도당은 감소한 반면, 5탄당인 아라비노스와 자일로스는 증가하였다. 아미노산 함량은 GEB에 비해 24-GEGB와 48-GEGB에서 각각 1.03, 1.24배 증가하였다. 면역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RAW 264.7 세포에 24-GEGB와 48-GEGB를 처리한 결과 GEB에 비해 더 높은 산화질소 II와 사이토카인(인터류킨-6, 종양괴사인자-${\alpha}$)을 생성하였다. 결론적으로, 보리 종자가 발아하면 종자 내 단백질, 지방질 및 당질 등의 영양성분 조성이 변하고, 그 결과 발아보리 당단백질 추출물은 외부 침입에 대해 1차적으로 방어하는 대식세포를 자극하여 세포에 독성을 미치지 않는 범위의 면역매개물질 생성하여 면역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Loperamide로 유도된 변비 증상에 유산균 제제가 미치는 영향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Powder on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in Rat)

  • 김은영;조경애;안소현;박성선;손흥수;한성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956-964
    • /
    • 2015
  • Loperamide를 통해 변비가 유발된 실험동물에 유산균 투여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14일 동안 저농도($10^7CFU/mL$ per kg of body weight)의 유산균과 고농도($10^9CFU/mL$ per kg of body weight)의 유산균을 투여한 후, 변비개선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변비 유발 후 유산균을 투여한 실험군들의 경우, 대조군(CON)에 비하여 변의 개수, 변 중량 및 수분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소화관 이동률을 조사한 결과, 대조군(CON)에 비하여 변비 유발 후 유산균을 투여한 군에서 정상대조군(NOR)인 군과 유사한 이동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변비가 유발된 실험동물의 혈청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함량, HDL-콜레스테롤 함량에는 유산균 투여 유무 및 유산균의 농도에 대한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은 것으로 보여진다. 고농도의 유산균을 섭취시킨 실험동물군(HIG)의 경우, 분변으로 유도된 아세트산과 프로피온산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 염색을 통한 장내 상피세포 관찰을 통해 유산균 분말 투여시 장 점막의 길이와 넓이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메타지노믹스 유전자 분석을 통한 미생물 분포의 상동성을 비교해 본 결과, 고농도의 유산균 투여군(HIG)이 정상대조군(NOR)과 가장 흡사한 분포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유산균 제제는 변비 개선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파프리카 급여가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혈청 지질과 $\alpha$-Tocopherol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prika (Capsicum annuum L.) on Serum Lipid Profile and $\alpha$-Tocopherol Concentration in Rats Fed a High-Cholesterol Diet)

  • 박재희;노상규;김창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11-317
    • /
    • 2010
  • 본 연구는 추출물 형태에 따른 파프리카 첨가 식이가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혈청 지질과 $\alpha$-tocopherol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Sprague-Dawley 수컷 25마리를 대조군(NC), 고콜레스테롤군(HC), 고콜레스테롤+동결건조 파프리카 분말 섭취군(HC-FDP), 고콜레스테롤+파프리카 물 추출물 섭취군(HC-WEP), 고콜레스테롤+파프리카 에탄올 추출물 섭취군(HC-EEP)으로 나누어 실험 식이를 6주간 공급하였다. 6주 후 HC군과 파프리카 급여군에서 체중 증가는 각각 85.2%와 65.5~68.88%로 HC군에서 체중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내장지방 무게는 HC군보다 파프리카 급여군에서 감소하였으며, 파프리카 급여군의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과 atherogenic index 역시 HC군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그리고 파프리카 급여군들 중에서는 HC-EEP 군이 혈청지질농도 감소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혈청 $\alpha$-tocopherol 농도는 HC-EEP에서 $30.5{\pm}0.6\;{\mu}mol/{\ell}$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HC-WEP($30.0{\pm}0.8\;{\mu}mol/{\ell}$)>HC-FDP($29.1{\pm}0.5\;{\mu}mol/{\ell}$)>HC($27.7{\pm}0.3\;{\mu}mol/{\ell}$)이었다. 이는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혈청 $\alpha$-tocopherol이 소모되는 것을 파프리카 급여로 절약하는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파프리카는 혈중 지질 농도 저하 효과를 보였고, $\alpha$-tocopherol 절약 작용을 통해 체내 항산화제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2형 당뇨병 모델 마우스에서 ginsenoside Rg1의 항당뇨 효과 (Antihyperlipidemic Effect of Ginsenoside Rg1 in Type 2 Diabetic Mice)

  • 박재홍;이지연;여지영;남정수;정명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7호
    • /
    • pp.932-938
    • /
    • 2011
  • Ginsenoside Rg1은 인삼에서 분리한 약물학적인 활성을 가지는 물질이다. 본 연구는 Rg1이 제2형 당뇨병 모델 동물에서 혈당과 지질대사에 유익한 효과를 가지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10주령의 db/db 마우스에 Rg1을 10 mg/kg 농도로 15일간 경구투여한 결과 공복혈당이 감소하였고, 포도당 내성이 개선되었다. 특히 혈중 중성지방과 유리지방산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혈중 HDL-콜레스테롤이 증가되었다. 또한 chimeric GAL4-PPAR${\alpha}$ receptor 활성 프로모터를 활성화시켰고 PPAR${\alpha}$ gene인 CPT-1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1)과 ACO (acyl-CoA oxidase)의 발현을 증가시켰는데 이것으로 Rg1의 지질대사 개선이 PPAR${\alpha}$ 활성에 의한 지방산 산화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 볼 때, Rg1은 제2형 당뇨병과 관련된 고혈당증과 고지혈증에 유용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감마선을 조사한 간장의 미생물 및 일반품질 특성 (Changes in Microbiological and Gener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mma Irradiated Kanjang and Shoyu)

  • 송태호;김동호;박병준;신명곤;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38-344
    • /
    • 2001
  • 간장의 미생물 관점에서의 보존성 향상 및 살균을 목적으로 양조간장과 한식간장에 5, 10, 20 kGy의 선량으로 감마선을 조사하고 상온에 18주간 보존하면서 간장의 미생물 및 일반품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간장의 Bacillus는 10kGy의 감마선 조사에 의하여 5 log cycle 이상 제거되었으며 효모와 젖산균은 5 kGy의 선량에서도 완전 사멸에 가까운 살균효과를 보였다. 간장 보존 중의 일반품질 평가 요소인 총질소, 아미노산성질소, 중성단백분해효소 활성, pH등은 감마선 조사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고 보존기간 중에도 안정적인 품질 수준을 유지하였다. 간장의 갈색도는 감마선 조사 직후에 낮아졌으나 보존 2주 이후부터는 비조사구의 수준으로 환원되었다. 감마선을 조사한 간장은 관능적으로도 안정된 품질 수준을 유지하였다. 따라서 감마선 조사는 간장의 보존?유통 및 가공에서 위생화 및 미생물적, 이화학적, 관능적 품질을 유지하는데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몰로키아가 고 콜레스테롤 식이를 투여한 흰쥐에서의 콜레스테롤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lokhia (Corchorus olitorius) and Its Mucilage on Cholesterol Metabolism in High Cholesterol Fed Rats)

  • 정창화;최인욱;김성란;석호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79-385
    • /
    • 2003
  • 국내산 몰로키아와 몰로키아 점질추출물인 mucilage가 콜레스테롤 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담즙산 흡착능과 콜레스테롤 식이를 투여한 동물실험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In vitro에서 mucilage는 몰로키아 열수추출물에 비해 더 높은 담즙산 흡착능을 나타내었으며, 추출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흡착능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 콜레스테롤 식이에 몰로키아 분말과 mucilage를 첨가한 경우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구인 셀룰로오스 첨가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triglyceride 함량은 몰로키아 첨가군에서 증가되었으나 HDL-콜레스테롤인 경우는 몰로키아 분말과 mucilage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간이 몸무게에 대해 차지하는 비율을 측정해 본 결과, 셀룰로오스 첨가군은 $4.01{\sim}4.31%$이었으나 몰로키아 분말 섭취군에서는 $3.74{\sim}3.84%$, mucilage 첨가군에서는 $3.40{\sim}3.45%$의 낮은 값을 보여 몰로키아의 섭취로 간의 지질 침착이 어느 정도 억제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간에서의 중성 지방 농도는 셀룰로오스 군에 비해서 몰로키아 분말과 mucilage 첨가군이, 콜레스테롤 함량은 몰로키아 10% 첨가군에서, triglyceride는 mucilage 10%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변으로의 콜레스테롤 배설량은 몰로키아 분말 첨가군이 가장 높았고 mucilage 첨가군도 셀룰로오스군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triglyceride는 5% 수준에서는 mucilage 첨가 군이 매우 높았으나 10% 첨가시에는 처리구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Dothiorella ribis가 생산하는 응유효소에 관한 연구 -제 2 보 응유효소로서의 일반적 성질- (Studies on Milk-clotting Enzyme of Dothiorella ribis -Part II. Properties of the Enzyme-)

  • 김유삼;홍윤명;유주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72-177
    • /
    • 1971
  • Dothiorella ribis에 의한 응유효소의 생산량은 밀기울 1g 당 950 S.U.이며 응유온도는 $20{\sim}62^{\circ}C$의 온도범위에서 온도상승과 더불어 응유력이 강화되었고 calcium의 농도는 짙어 질수록 탈지분유액의 pH는 보다 산성일 때 응유력이 강화되었다. 우유가 희석될 때 0.01M $CaCl_2$용액을 사용한 경우는 생우유나 탈지분유에 관계없이 희석과 더불어 응유력이 증가되었으나 증류수로 희석할 때는 희석도가 낮을 때 다소 응유력의 증가를 보이다가 희석도가 높아지면 급격히 응유력이 감퇴 됨을 알수 있었다. 또한 우유는 저온처리하는 것이 응유활성의 측면에서도 유리하다는 것을 나타내 주었으며 단백질분해력은 같은 응유력에 대하여 비교검토된 Mucor pusillus Lindt의 응유효소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다. pH의 안정범위는 중성부분이며 열에 대하여는 $45^{\circ}C$에서 비교적 안정하였고 우유를 응고시킨 후 curd로서의 단백질 회수율은 76.2%이었다. 이상의 결과로서 Dothiorella ribis의 응유효소는 단백질분해력이 높다는 결함이 있으나 보다 연구할 가치가 있으며 단백질분해효소로서의 개발도 또한 기대된다.

  • PDF

고구마를 이용한 된장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prepared with sweet potato)

  • 차수진;박서라;김동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21-229
    • /
    • 2017
  • 된장 담금시 소맥분의 일부를 고구마로 대체하여 고구마가 된장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된장의 효모수는 발효 4주 이후에 감소하였고, 호기성 세균은 발효 후기에 증가하였다. Amylase 활성은 발효 8주 이후에 증가하였고, 발효 중에 산성 protease는 감소하였으나 중성 protease는 높은 활성을 유지하였다. 색도는 발효중 L 값과 b 값은 저하하였으나 a 값은 증가하였다. 된장의 pH는 발효 10주까지 저하하였고 적정산도는 고구마 혼합구에서 낮았다. 산가는 밤고구마 혼합 된장에서 높았으며, 발효가 진행되면서 된장의 수분활성도와 산화환원전위는 저하되었으나 시험구간의 차이는 없었다. 환원당은 발효 2-6주 이후에 감소하여 고구마 혼합구에서 낮았고, 알코올은 2주 이후에 서서히 감소하였다. 된장의 아미노산성과 암모니아성 질소는 발효 중에 증가되어 각각 10주와 12주에 최고에 달했다. 12주 발효된 된장의 기호도는 맛과 향기,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밤고구마 8% 혼합구가 대조구나 호박고구마 혼합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양호하였다(p<0.05).

미성숙 목화다래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평가 (Evaluations on Antioxidant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Immature Cotton Boll)

  • 박희정;이기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26-43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미성숙 목화다래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알아보기 위해 다래를 크기별로 구분하여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DPPH radical의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및 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목화다래의 크기가 작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DPPH radical 소거능 및 ABTS radical의 소거능 또한 작은 크기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는 다른 선행연구들에서와 같이 페놀함량이 높은 실험군에서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radical 소거능이 높게 나타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인체 위 내부환경과 같은 pH 1.2에서는 높은 활성을 보이다가 pH 4.2에서는 점차로 활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중성에 가까운 pH 6.0에서는 아질산염 소거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SOD 유사활성은 대조군인 ascorbic acid에 비하면 낮은 활성이었지만, 기 보고된 다른 천연물들의 효소활성과 비교하였을 때 더 높거나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이 본 실험을 통해 미성숙 목화다래의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향후 화장품이나 기능성 식품 등에 있어서 새로운 소재개발의 가능성을 시사해주는 것으로서, 그동안 주로 천연 솜의 생산을 위해 재배되어왔던 목화의 제한적 활용성을 더욱 다양하게 해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