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등 수업

검색결과 413건 처리시간 0.024초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초.중등 교사의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 Comparison of Conception by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

  • 방정숙;권미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317-338
    • /
    • 2012
  • 본 연구는 교사들이 생각하는 좋은 수학 수업을 알아보기 위해 4개의 대영역(교육과정과 교육내용, 교수 학습, 교실환경 및 수업 분위기, 평가)과 48개 하위 요소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초등학교 교사 223명과 중학교 수학 교사 151명의 반응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 교사는 대영역 중 교육과정과 교육내용 영역을, 중등 교사는 교수 학습 영역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세부 요소 별로 살펴보면, 초 중등 교사는 공통적으로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신장시키는 수업, 학생 수준에 맞게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실시한 수업, 학생과 교사간의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는 수업 등을 좋은 수학 수업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초등 교사는 좋은 수학 수업과 관련된 23개 요소에 대해서 중등 교사보다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중등 교사는 수학적 표현 능력을 신장시키는 수업, 동기 유발이 잘 이루어지는 수업의 2개 요소에 대해서만 초등 교사보다 유의미하게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본연의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이에 따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초 . 중등학교 과학 실험수업의 유형 분석 (Analysis of the Types of Laboratory Instruc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Science)

  • 양일호;김석민;조현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35-241
    • /
    • 2007
  • 이 연구는 실험수업 유형 분류틀을 사용하여 초 중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주요 실험수업의 유형들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사용된 실험수업 유형 분류틀의 타당도는 4.23이다. 이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에서 100차시, 중등학교에서 30차시의 실험수업이 분석대상으로 수집되었다. 실험수업들의 유형을 분석결과, 분석자간 일치도는 0.91이었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에서는 발견실험수업과 확인실험수업이 주요 수업 유형임이, 중등학교에서는 확인실험수업과 발견실험수업이 주요 수업유형으로 확인되었다.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에서 대부분 실험절차가 교사나 활동지를 통해 학생들에게 주어지고 있었다. 실험의 접근방식은 초등에서는 귀납적인 형태가 많았고, 중등에서는 연역적인 형태가 많았다.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과학수업에 대한 초·중등 교사들의 인식조사 (Investiga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for science class using technology)

  • 최은선;백성혜;최정원;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1호
    • /
    • pp.165-166
    • /
    • 2016
  • 오늘날 요구되는 새로운 인재 교육을 위하여 초 중등학교에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수업에 도입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직 초 중등학교 교사 37명을 대상으로 테크놀로지를 도입한 과학수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교사들은 과학 수업에서 테크놀로지를 도입하는 것의 효과를 인식하고 있었으나, 구체적으로 실행할 방법적인 측면에서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과학 교수법을 개발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사들의 수업전문성을 발달시킬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PDF

창의·융합형 중등예비교사 양성을 위한 수업 혁신 요소를 중심으로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Based Learning:PBL)에서 중등예비교사의 성찰일지 분석 (An Analysis of Self-reflection Journal of Pre-service Teachers' in PBL by focusing on Teaching Innovation Components for Pre-service Teachers' Creativity-convergence)

  • 김은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481-490
    • /
    • 2020
  • 본 연구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Based learning: PBL)에서 중등예비교사들의 성찰일지를 분석하여 인식변화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등예비교사 30명이 계절학기 4주간의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참여하였으며, ATLAS.ti 8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성찰일지 내용에서 한국교육평가원에서 개발한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수업 혁신 지원 방안' 연구보고서의 수업 혁신 요소의 의미가 도출되는지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등예비교사들은 교사의 시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수업지도안 작성부터 시연까지의 과정을 통해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 교수방법의 중요성 인식, 새로운 경험, 상호작용 등에 관한 인식의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창의·융합형 중등예비교사 양성을 위한 수업 혁신 연구의 필요함을 시사한다.

멘토링을 통한 초임중등과학교사의 탐구지향적 교수실행 변화 (The Change in Beginning Science Teachers' Inquiry-Oriented Teaching Practice through Mentoring Program)

  • 남정희;김현옥;고문숙;고미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44-556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멘토링 과정을 통하여 초임중등과학교사의 탐구지향적 교수실행이 어떻게 변화해 나가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직 경력 3년 이하의 초임중등과학교사 3명을 멘티교사로 선정하고, 교직 경력 10년 이상의 멘토교사 3명과 짝을 이루어 멘토링을 실시하였다. 멘토링에 의한 초임중등과학교사의 탐구지향적 교수실행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멘토링 전과 멘토링이 진행되는 동안 총 5차시의 수업을 녹화한 후 분석을 위하여 전사하였다. 멘토 교사는 멘티교사의 수업을 관찰한 후 실시한 멘토링을 통해 멘티교사들에게 지속적으로 교수실행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멘티교사들의 전문성 발달을 유도하였다. 초임중등과학교사의 수업에서 탐구지향적 교수실행의 정도을 알아보기 위해 RTOP(The Reformed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을 수업분석도구로 활용하였다. 수업을 분석한 결과 멘토링 실시 전 초임중등과학교사의 수업은 교사주도의 내용 전달에 치중한 수업이 주로 진행되고 있었고, 수업 중학생들의 다양한 탐구활동이나 문제해결이 장려되지 못하고 학생들의 자유로운 의사소통이 부족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멘토링이 진행되는 동안 초임중등 과학교사들은 학생활동이 강화된 실험활동과 주제발표 및 토론 수업 등의 다양한 수업을 시도하는 변화를 보였다. 또한 멘토링 후반부로 갈수록 교사가 학생들의 다양한 표현을 격려하고 토론을 통해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제시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려고 노력하였다.

중등예비수학교사의 효과적인 교육실습을 위한 수업 포트폴리오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Utilization of Teaching Portfolio for Effective Teaching Practicum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 강현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2호
    • /
    • pp.225-246
    • /
    • 2016
  • 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 중에서 수업능력은 가장 핵심이며, 예비교사 시기에서부터 관련된 교육 경험이 매우 중요하다. 예비교사의 수업능력 개발 및 강화를 위해서는 학교현장에서 스스로 계획하고 체계적으로 반성하고 그것을 개선해 나가는 실천능력을 길러야 한다. 교육실습은 예비교사에게 필수적인 과정으로 수업능력 향상을 경험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교육실습에서 중등 예비수학교사에게 요구되는 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포트폴리오의 활용방안, 구성요소와 적용절차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교육실습에서 중등예비수학교사의 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포트폴리오의 적용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초·중등학교에서의 인공지능 융합교육 수업 설계를 위한 제언 (Suggestions for Class Design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 윤혜진;조정원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2-184
    • /
    • 2022
  • 초·중등학교 교육에서 인공지능(AI)이 강조됨에 따라, 교과 활동에 AI를 접목한 수업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학교에서의 AI 수업은 관련 교과뿐만 아니라 다양한 교과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교수자는 융합교육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 및 평가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먼저 융합교육의 의미와 효과적인 수업 활동을 위해 검토할 사항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초·중등학교에서의 AI 수업 설계를 위해 고려할 사항에 대해 학교에서의 AI 교육의 특징, 교육과정 총론에 제시된 학교급별 교육목표, 수업 내용 구성을 위해 참고할 자료, AI가 적용된 소프트웨어에 대한 관점, 예상 수업 절차의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제언으로서 첫째, 초·중등학교 교육의 특징에 기반하여 AI 교육을 통해 함양할 수 있는 역량 도출의 필요성과 둘째, 학교에서의 AI 교육의 기존 사례 탐구를 바탕으로 교과 특성을 반영한 AI 수업의 교수·학습 설계 요소 및 절차 규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PDF

좋은 과학수업에 대한 중등 과학교사의 인식 (Secondary Science Teachers' Concepts of Good Science Teaching)

  • 이봉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03-11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과학 교사들의 좋은 과학 수업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등 과학교사 13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과학 교사들은 교육 내용, 교육 방법, 교육 환경 및 분위기, 평가 등의 범주로 구성된 32개의 수업에 대하여 리커트 5점 척도로 응답하였다. 추가적으로 교사들이 경험한 가장 좋은 수업에 대해서 기술하도록 요청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 과학 교사들이 생각하는 가장 좋은 과학 수업은 교육 내용 영역에서 학생 수준에 맞게 교육 내용을 재구성한 수업, 교육 방법 영역에서 상호작용이 활발한 수업, 교육 환경 및 분위기 영역에서 신뢰롭고 존중해 주는 분위기의 수업, 평가 영역에서 수업과 연계된 평가를 통해 학생들이 배울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된 수업을 선택하였다. 둘째, 중등 과학 교사들은 학생들의 권한이 많은 자기주도적 수업, 수준별 수업,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수업 등은 좋은 과학수업의 특징으로 인식하지 않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이 인식한 좋은 수업과 경험한 좋은 수업 사이에 차이가 있었다. 이는 교사들이 좋은 과학 수업에 대해서 명확하게 인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좋은 과학수업 사례의 발굴과 상호작용이 강조된 수업의 지원 등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중등예비교사의 창의역량 강화를 위한 융합수업지도안 작성 및 수업시연의 효과 (The Effect of Convergence Lesson Plan and Teaching Demonstration for Enhancing Creative Competency of The Pre-service Teachers')

  • 김은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466-474
    • /
    • 2019
  • 본 연구는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수업에서 중등예비교사에게 요구되는 창의역량 강화와 학업도전 변화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등예비교사 94명이 한 학기 동안 융합수업지도안 작성 및 수업시연으로 진행되는 프로젝트 학습에 참여하였다. 설문지는 지은림, 주언희(2012)가 개발한 창의적 인재 역량측정도구와 배상훈 외(2015)의 학부교육 실태조사(K-NSSE)의 학업도전 사전-사후 설문을 실시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IBM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 검정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창의역량에서는 '고차적 사고력', '문제해결능력', '호기심', '감수성', '과제집착력', '사회 가치추구', '협동 및 배려'가 유의미하였다. 학업도전에서는 '고차원 학습'과 '학습전략'이 유의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융합교육, 융합수업을 일반화하여 수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융합수업설계, 지도안 작성, 실천연구와 반복적인 융합수업의 효과를 검증하며 수정 보완 과정의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중등예비수학교사의 학습보조교사 활동을 통한 반성과 변화 (Reflections and Changes Through Assistant Teacher Experience For Secondar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 김수진;권나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2권1호
    • /
    • pp.59-77
    • /
    • 2018
  • 본 연구는 교원양성기관 프로그램에서 교육실습이 아닌 형태의 현장실습을 포함한 수업을 통한 중등예비수학교사의 반성과 그 변화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정규 수학수업에서 학습보조교사 활동을 한 중등예비수학교사 2인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2015년도 1학기 수업에 참여한 중등예비수학교사들의 학습보조교사 활동 보고서 및 간담회 등의 자료를 통해 반성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보조교사 활동을 한 중등예비수학교사의 반성내용은 교사, 학생, 교과내용, 자기 자신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생에 대한 반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중등예비수학교사가 참여한 수업의 형태에 따라 반성내용의 비율도 달라짐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