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공 형성체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8초

도넛형 중공형성체를 사용한 중공슬래브의 휨성능 평가 (Flexural Capacities of Hollow slab with Donut type Hollow Sphere)

  • 김병훈;정주홍;최현기;이승창;최창식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31-32
    • /
    • 2010
  • 본 연구는 중공 형성체의 형상이 중공 슬래브의 휨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살펴보기 위하여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전 해석적 연구를 통하여 도출한 최적 중공 형성체 형상인 도넛형 중공형성체를 적용한 중공 슬래브의 일방향 휨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중공 형성체의 형상이 중공 슬래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성능을 파악하였다.

  • PDF

중공형성체 재료에 따른 중공슬래브의 휨성능 평가 (Flexural Capacities of Hollow slab with Material properties)

  • 정주홍;김병훈;최현기;이승창;최창식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69-70
    • /
    • 2010
  • 본 연구는 중공 형성체의 재료가 중공 슬래브의 휨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살펴보기 위하여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중공형성체의 재료를 일반 플라스틱과 유리섬유 보강 플라스틱으로 제작하였으며, 이를 적용한 중공 슬래브의 일방향 휨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중공 형성체의 재료가 중공 슬래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성능을 파악하였다.

  • PDF

도넛형 중공형성체를 사용한 중공슬래브의 뚫림 전단 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about Punching Shear Strength of Biaxial Hollow slab with Donut type Hollow Sphere)

  • 정주홍;최현기;이승창;최창식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59-60
    • /
    • 2010
  • 본 연구는 도넛형 중공 형성체를 적용한 중공 슬래브의 뚫림 전단 성능을 실험적으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위험단면 내 중공 슬래브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으며, 중공형성체 고정철물의 뚫림 전단 보강성능을 파악하였다.

  • PDF

중공형상 및 재료의 영향을 고려한 도넛형 이방향 중공슬래브의 일방향 전단강도 (One-Way Shear Strength of Donut Type Biaxial Hollow Slab Considered Hollow Shapes and Materials)

  • 정주홍;이승창;최창식;최현기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391-398
    • /
    • 2012
  • 이 연구는 도넛형 중공형성체를 사용한 이방향 중공슬래브의 일방향 전단 성능에 관한 연구이다. 최근 건물의 고층화 및 장경간화로 인하여, 다양한 자중 저감형 슬래브 공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방향 중공슬래브 시스템은 구조성능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자중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시스템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 따르면 이방향 중공슬래브는 일반 RC 슬래브에 비해 낮은 전단강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중공형상 및 중공형성체 재료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현재의 설계기준은 이방향 중공슬래브의 일방향 전단강도에 대해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도넛형 이방향 중공슬래브의 일방향 전단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총 4개의 전단강도 실험체를 제작/실험하였다. 그 중 한 개의 실험체는 기준 RC 실험체이고 나머지는 모두 중공슬래브이다. 변수는 도넛형과 비도넛형 두 가지의 중공형상 및 일반 플라스틱과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중공형성체로 설정하였다. 실험 결과, 중공형상과 재료에 따라 이방향 중공슬래브의 전단강도는 차이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구형 중공슬래브의 일방향 전단강도 산정시 사용되는 유효단면 산정법의 도넛형 이방향 중공슬래브 적용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도넛형 이방향 중공슬래브의 부착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Bond Characteristics of Deformed Bar Embedded in Donut Type Biaxial Hollow Slab)

  • 정주홍;강성훈;이승창;최창식;최현기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155-163
    • /
    • 2013
  • 이 연구는 도넛형 이방향 중공슬래브에 매입된 이형철근의 부착특성 및 부착강도 산정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이다. 도넛형 이방향 중공슬래브의 철근 부착특성 및 부착강도 산정을 위해 pull-out test를 수행하였다. 도넛형 중공형성체는 슬래브 내부에 배치되어 철근과 중공형성체 사이에 내부의 피복이 형성된다. 이러한 내부피복두께는 외부피복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피복두께를 가지며 중공형상에 따라 $2.5d_b$보다 작은 내부피복두께가 형성되기 때문에 철근의 부착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중공형성체가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으므로 인장철근을 감싸고 있는 피복두께의 조건이 철근의 길이방향으로 변하게 된다. 따라서 도넛형 이방향 중공슬래브의 부착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중공형성체 형상에 따라 부착구간을 구분하였다. 구간별로 내부피복두께에 따른 부착응력-슬립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중공형성체 전 구간에 걸친 부착응력분포를 확인하여 철근의 길이방향에 따른 부착응력의 발현정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구간별 부착응력-슬립 관계를 기반으로 하여 도넛형 중공슬래브의 부착강도를 산정할 수 있는 부착강도 산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온성액체를 이용한 이산화티타늄 미세중공체 합성 (Synthesis of TiO2 Hollow Microspheres Using Ionic Liquids)

  • 홍기원;유계상
    • 공업화학
    • /
    • 제22권3호
    • /
    • pp.340-342
    • /
    • 2011
  • 다양한 종류의 이온성액체를 사용하여 미세중공체 이산화티타늄 입자를 제조하였다. 이온성액체의 종류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티타늄 입자는 다양한 크기와 모양을 형성하였다. 이는 이온성액체와 유기용매 계면 사이에서 형성되는 이산화티타늄이 두 물질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모양 형성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여러 가지 이온성액체 중에서 미세중공체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가장 효과적인 이온성액체는 1-Butyl-3-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였다.

Porous한 물유리 기반 실리카 중공 미세구 형성에 대한 계면활성제 농도의 영향 (Effect of the Surfactant Concentration on the Formation of Water Glass-based Porous Hollow Silica Microsphere)

  • 이지훈;김영훈;김태희;박형호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79-8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silicon alkoxide(tetraethyl orthosilicate, TEOS)에 비해 단가가 저렴하여 상업화에 유리한 물유리를 전구체로 사용하여 계면활성제의 농도에 따라 형성되는 다양한 크기의 실리카 중공 미세구(hollow silica microsphere, HSM)를 합성하였다. 계면활성제의 농도에 따른 실리카 중공 미세구의 형성에 대한 물성을 퓨리에 분광기(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 접촉각 측정기(contact angle measurement), Brunauer-Emmett-Teller 및 Barrett-Joyner-Halenda 분석기와 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계면활성제를 적정량의 농도로 투입하여 porou s한 물유리 기반 실리카 중공 미세구를 제조할 경우 비표면적은 169 m2/g, 평균 입자 크기 25.3 ㎛ 및 표준편차는 6.25로 우수한 실리카 중공 미세구가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자중저감 철선일체형 중공 데크플레이트 슬래브의 휨 및 전단내력에 대한 구조성능평가 (Structural Performance Evaluation on Flexural and Shear Capacity for Weight Reducing Steel Wire-Integrated Void Deck Plate Slab)

  • 김상섭;유덕수;부윤섭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411-422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철선일체형 데크플레이트에 오메가형 강판을 삽입한 중공 데크플레이트 슬래브의 휨 및 전단내력의 구조성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휨 및 전단내력에 대한 구조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슬래브 두께를 주요 변수로 하여 150mm 실험체 5개와 200mm 실험체 3개를 제작하였다. 각 실험체는 기존의 철선일체형 데크플레이트 슬래브 1개씩과 콘크리트 토핑두께를 변수로 하는 2개씩의 실험체로 구성되어 있다. 실험결과 중공부에 형성에 의한 휨 및 전단내력에 대한 구조성능의 저하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공 데크플레이트는 효과적으로 콘크리트 사용량을 저감하면서도 기존의 철선일체형 데크플레이트에 준하는 구조성능을 갖춘 것으로 판단된다.

Synthesis of Cerium Doped Yttrium Aluminum Garnet Hollow Phosphor Based on Kirkendall Effect

  • 김민정;;공달성;정현석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2년도 제43회 하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185-185
    • /
    • 2012
  • 중공 발광 나노 물질은 특유의 구조적 특성(낮은 밀도, 높은 비표면적, 다공성 물질, 낮은 열팽창계수 등)과 광학적 성질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 광결정, 약물전달체, 바이오 이미징 라벨 등의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적용에 있어 균일한 크기와 형태의 중공 입자는 필수 조건으로 여겨진다. 지금까지 합성된 중공 발광 입자에는 BaMgAl10O17 : Eu2+-Nd3+, Gd2O3 : Eu3+, $EuPO_4{\cdot}H_2O$과 같은 것들이 있으나 크기 조절이 어렵고, 그 균일성이 확보되지 못하였다. 균일한 크기의 중공 발광 입자를 만들기 위해 SiO2나 emulsion을 템플릿으로 이용하여 황화카드뮴, 카드뮴 셀레나이드 중공 입자를 합성한 예가 있으나, 양자점의 독성으로 인하여 바이오분야 응용에는 적합하지 않다. YAG는 모체로써 형광체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물질로, 화학적 안정성과 낮은 독성, 높은 양자 효율 등 많은 장점을 갖고 있다. 특히 세륨이 도핑된 YAG형광체의 경우 WLED, 신틸레이터, 바이오산업에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중공 YAG:Ce3+형광체를 합성한 예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단분산 수화 알루미늄 (Al(OH)3) 입자 위에 세륨이 도핑 된 이트륨 베이직 카보네이트 ($Y(OH)CO_3$)를 균일하게 코팅한 후 열처리를 하여 균일한 크기의 Y3Al5O12:Ce3+(YAG) 중공 입자를 합성하였다. 열처리 온도에 따른 고분해능 투과 전자 현미경(HRTEM), X-선 회절(XRD), 고분해능 에너지 분광법(HREDX) 분석결과, 중공 YAG: Ce3+입자는 Kirkendall 효과에 의해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전계방사형 주사 전자 현미경(FE-SEM) 측정을 통해, 열처리 후에도 입자의 크기와 형태가 균일함을 확인하였으며, 공초점 현미경 관찰을 통해 중공 형태를 명확히 확인 할 수 있었다. Photoluminescence (PL) 분광법과 형광 수명 이미징 현미경(FLIM)을 이용한 광 특성 분석결과, 합성된 입자는 400-500 nm에서 흡수 파장 (456 nm에서 최대 강도)과 500-700 nm 범위의 발광 파장(544 nm에서 최대 강도)을 나타냈고, 상용 YAG: Ce3+(70 ns)에 준하는 74 ns의 잔광 시간(decay time)이 측정되었다. 단분산 수화 알루미늄 입자의 크기를 조절하여 최종 합성된 YAG: Ce3+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었다. 지름 약 600 nm의 Al(OH)3를 사용한 경우, $1,300^{\circ}C$에서 열처리를 한 후 평균 지름 590 nm의 중공입자를 합성하였고, 약 170 nm의 Al(OH)3를 이용하여, 더 낮은 온도인 $1,100^{\circ}C$에서의 열처리를 통해 평균지름 140 nm의 중공 YAG: Ce3+입자를 합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합성된 균일한 크기의 YAG 중공입자는 LED와 같은 광전변환 소자 및 다기능성 바이오 이미징 등의 나노바이오 소자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음이 기대된다.

  • PDF

커켄달 효과와 주형법을 통해 합성한 α-Fe2O3 중공입자로 구성된 다공성1차원 구조체의 리튬 이차전지 음극활물질 적용 (Application of Porous Nanofibers Comprising Hollow α-Fe2O3 Nanospheres Prepared by Applying Both PS Template and Kirkendall Diffusion Effect for Anode Materials in Lithium-ion Batteries)

  • 이영광;정순영;조중상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6권6호
    • /
    • pp.819-825
    • /
    • 2018
  • 본 연구는 ${\alpha}-Fe_2O_3$ 중공입자로 구성된 다공성 1차원 나노구조체를 전기방사 공정 및 두단계의 후 열처리 과정을 통해 주형법과 커켄달 효과를 동시 적용하여 합성했다. 열처리 과정 중, 수 nm의 치밀한 Fe 금속입자는 커켄달 효과에 의해 중공구조를 갖는 ${\alpha}-Fe_2O_3$ 입자로 최종 변환되었다. 또한, 전기방사 용액에 첨가한 PS 나노비드는 첫 열처리 과정 중 분해되어 구조체 내 수많은 기공을 형성, 환원 및 산화를 위한 가스들이 구조체 내부로 원활히 침투될 수 있는 역할을 했다. 최종 생성물인 ${\alpha}-Fe_2O_3$ 중공입자로 구성된 다공성 1차원 구조체를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활물질로 적용한 결과, $1.0A\;g^{-1}$의 높은 전류밀도에도 불구하고 30 사이클 후 $776mA\;h\;g^{-1}$의 높은 방전 용량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우수한 리튬 저장특성은 본 구조체를 구성하는 중공형 ${\alpha}-Fe_2O_3$ 입자와 입자들 사이의 나노기공으로부터 기인한 결과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중공 입자로 구성된 다공성 1차원 나노구조체 합성 방법은 다양한 전이금속 화합물 조성에 적용 가능하므로 에너지 저장 분야를 포함한 여러 분야에 응용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