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한외국인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7초

주한 외국인 유학생의 주거유형 선택 및 주생활특성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Housing Type and Characteristics of Dwelling for Foreign Students in Korea)

  • 안선민;장상옥;신경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9-1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election of housing type and the characteristics of dwelling of foreign students' residence in order to provide some information for better housing plans for foreign students in Korea.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dwelling,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171 students who study in the university located in seoul, Kore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Overseas students in Korea can get from their house to school within 30 minutes and they spend more than 9 hours a day at home on average. Hous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oversea students. For the dormitory group, they chose their houses based on fee, distance from the school, stability, etc. The lodging group, chose their houses based on fee, distance from school, and Korean culture experience. The Go-Si-Won group chose their houses based on fee, distance from the school, privacy and so on.

신기술 신소재 - 한식 테이블용 가열조리기구 개발 (Emerging Technology - Development of Heating Equipment for Korean Food Table)

  • 권기현
    • 식품기술
    • /
    • 제25권1호
    • /
    • pp.28-43
    • /
    • 2012
  • 한국 식품화의 위상은 구이류 및 전골류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 연기, 기름 튐 등의 문제로 인해 낮게 평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불판 및 가열원료가 다양하여 맛의 균일화가 어렵고 사용 후 세척처리가 번거로운데다 환경오염까지 발생시킨다. 구이 및 전골에 소비되는 에너지가 잔량을 모두 섭취할 동안 연속적으로 공급하므로 에너지 소비 및 내부 공기조건이 열악한데 반해 연기 및 냄새와 관련된 제품의 개발과 생산에 참여하는 업체는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기술력 및 자본력이 미미한 수준에 있어 많은 기술적 측면의 보완이 요구된다. 또 소스, 양념, 부재료 등의 가공처리를 외국인의 식문화에 적합하도록 맛, 향, 관능의 관점에서 규격화 및 현지화도 요구되며, 공급되는 원재료의 고기종류, 규격, 등급 등의 조건들이 국내 관능뿐만 아니라 외국인의 관능적인 관점에서 표준화가 시급하다. 주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 59%가 한국음식의 세계화가 가능하고 89.9%가 한식메뉴를 소개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외국인 소비자의 인지도에서 불고기와 갈비 등의 구이류가 다른 한식보다 선호도가 증가하는 것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2009년 농림수산식품부가 '한식 세계화 프로젝트'를 선포하여 1만여 곳의 해외식당을 2017년까지 4만 곳으로 증가할 예정이다. 따라서 한식문화의 표준화를 위한 용어 재료 기구 단위 등의 표준화 기반개발을 바탕으로 조리 및 식문화의 표준화가 요구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구이전문점들이 일반주거 및 아파트 단지에 위치하고 있어 연기와 냄새에 대한 민원 및 분쟁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집진, 제연 설비의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구이설비가 수입제품으로 규모가 매우 크다. 일본의 경우 2002년도부터 음식점에서 발생하는 연기에 관한 규제를 법제화하였다. 위의 기술적, 경제 산업적, 사회 문화적 측면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연기 음식 냄새 저감 성능이 뛰어난 친환경 저에너지의 가열조리 기구 개발 및 국내외 현장적용 산업화 모델 구축을 통해 한식당 시설 개선 및 고급화를 유도하고 세계시장에서의 한식문화 경쟁력을 확보코자 한식문화 경쟁력 확보와 경제, 문화, 산업적 성공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한식당에서 인지된 한국문화가 한식당 및 한국문화 이미지와 한식당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주한 외국인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the Recognition of Korean Culture in Korean Restaurant on Foreign Residents in Korea)

  • 이행순;황진숙;전혜미;이수범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64-75
    • /
    • 2010
  • 본 연구는 한국 음식을 문화를 담은 상품으로 바라보고 한식당에서 외국인들이 어떠한 한국 문화를 인지하는지를 바탕으로 한식당 이미지, 한국문화 이미지, 한식당 만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한식당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주한 외국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한식당에서 인지된 한국문화는 멋, 맛, 정의 3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세 가지 가설이 모두 채택되었는데 한식당 이미지와 한국문화 이미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두 가지 모두 멋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정, 맛의 순서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식당 만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한국문화 이미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멋, 맛, 정 중 멋이 한식당과 한국문화 이미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나타났으므로 한식당과 한국문화의 이미지 향상을 위해서는 멋에 해당하는 부분을 강조하는 것이 좋다. 둘째, 한식당 이미지와 한국문화 이미지 중 한국문화 이미지가 한식당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한식당 만족을 위해 한국문화 이미지를 잘 관리하고 표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PDF

주한 외국인의 한국 식당의 음식 및 써비스에 대한 의견조사 (Food preferences of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 문수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63-73
    • /
    • 198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oreigners' preferences in Korean foods as served in Korean restaurants. A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for this study and sent to foreigners residing in the Seoul area. The study showed that when they have a chance to choose a restaurant for eating out, the decision to choose a Korean-Style restaurant is made on the basis of the special flavor of Korean food as well as the desire to experience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Korean style barbecue, mixed vegetables, and dumplings are preferred by most foreigners. Beef rib stew and pibimbab were also selected frequently. Muk, maeuntang, rice cakes, cold noodles and sea weeds were not preferred.

  • PDF

주한 외국인 근로자 갈등방안에 관한 연구 -대전.충남지역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flict plan of the foreign worker in Korea)

  • 김정범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권
    • /
    • pp.355-390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onflict plan of the foreign worker in Korea. The concrete purpose of this study as follows : First, To Analyze Conflict factor of job according to the foreign worker conflict. Second, To present rethinking plan of job and efficiency management foreign worker in Korea.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308 foreign worker form 408 small and medium business in taejon city, Chung-Nam. Conflict factor of job was measured according to questionare used in precedent study. Statistical treatment were the mean, Standard, Deviation, One-way ANOVA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e paper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Foreign worker showed occasionally lower degree conflict of job. Second, Woman foreign worker had higher conflict of job than man foreign worker in wage, working condition, human relation, communication. Third, The foreign worker is short In Job-experience. therefore, efficiency management of job was fall. Fourth, The relationships between Korea-worker and foreign-worker were conflict in communication, human relation. Fifth, The relationships between Korea-worker and foreign-worker were conflict wage-discrimination. Sixth, The more education-level had lower conflict. Seventh, According to cultural characteristic had different.

  • PDF

관광 회복세에 따른 방한 여행 의향에 관한 연구, 주한 외국인 대상 조사를 바탕으로 (Research on the Traveling Intention to Korea under the Background of Tourism Recovering, Based on Investigation on Foreigners in Korea)

  • 린밍밍;정유민;유자양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69-77
    • /
    • 2024
  • 전 세계적으로 관광 산업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관광객의 한국 여행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데이터 분석에는 TAM 모델을 사용했으며, 실제 시나리오에 더 적합하도록 신뢰, 정보 품질, 개인 혁신성 등 몇 가지 주요 외부 변수를 추가했습니다. 구조방정식 모델링 방법인 SPSS와 AMOS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지각된 위험은 의도와 큰 관련이 없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지각된 위험은 구매 의도와 유의미한 관계가 없으며, 이는 소비자가 지각된 위험보다 편의성을 우선시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그리고 다른 많은 요인들이 이 둘 사이의 잠재적인 매개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주한 독일인의 한국 음식에 대한 인식 및 기호도 조사 (A Survey on the Knowledge and Preferences for Korean Food Targeting Germans Residing in Korea)

  • 장정자;정희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1-14
    • /
    • 2011
  • 본 연구는 한국에 6개월 이상 거주하고 있는 독일인들을 대상으로 한국의 음식에 대한 관심 및 인식을 조사하여 향후 한국음식의 세계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독일인의 식습관에 대한 분석 결과에서는 전체적으로 한국 내에서 일상적으로 선호하는 음식이 한식과 자국 음식인 독일식으로 나타났고, 사회활동이 많은 남성이 여성에 비해 다양한 한국음식을 접할 기회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음식의 직접조리현황에 있어서는 응답자의 대부분이 거의 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한국음식을 직접 조리하지 않는 이유로는 복잡한 조리방법과 레시피의 이해부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음식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레시피의 간편화, 표준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독일인의 외식습관에 따른 한국 음식의 선호도 분석 결과는 위치적으로 식당 밀집 지역이나 도보로 갈 수 있는 곳 등이 가장 많았으며, 분위기적인 측면으로서는 조용한 분위기나 우아한 분위기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음식이 독일인, 더 넘어서 유럽인의 입맛을 사로잡기 위해서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음식교육 및 적용 가능한 레서피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 PDF

부산역(釜山驛) 상점가(商店街)의 패턴( I ) (The Pattern of Pusan Station Shopping District( I ))

  • 김원경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5-75
    • /
    • 1999
  • `역전(驛前) 상점가(商店街)'는 도시 내부에 있어서 자연적 혹은 유기적인 중심지의 계층구조에 의해서 결절된 중심지가 아니다. '기차역'이라고 하는 특수한 기능의 견인력에 의해서 그 부근에 형성된, 오히려 특수 상점가적인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지역은 개항(開港) 이전에는 왜관(倭館)이 있었던 곳이며, 개항 후에는 왜관이 일본인 거류민지로 승격하게 된다. 또한 지금은 점차 쇠퇴하고 있긴 하지만 '차이나 타운'이라고 하여 중국인의 거주지가 이 지역의 서부지대에 아직까지 존속하고 있다. 이곳과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지역에 '텍사스 타운'이 있어서 과거부터 주한미군(駐韓美軍)과 외국인 선원들을 고객으로 하는 환락가가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지금의 이곳은 '러시아 타운'으로 변하여 가로의 대부분의 간판은 러시아어로 되어 있다. 이 가로를 따라서 가면 러시아 사람들을 많이 만날 수 있다. 이 상점가와 인접하여 '초량시장'이 위치하고 있어서 과거부터 인근의 주택지를 serve하는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1969년 6월 10일에 새로운 역사(驛舍)가 준공되고 부산역이 현재의 위치로 이전해 오면서 과거의 기능에 기차역이 견인하는 기능이 부가하게 된다. 크게 보면, 이러한 두 가지의 속성이 현재 부산역 상점가의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역사(驛舍)가 있는 동부지대와 전통적으로 형성되어 왔던 서부지대는 그 토지이용과 구조면에서 않은 차이가 있다. 동부지대는 업무관리기능이 집적하고 있는 반면에 소매업 중에서도 상점가의 계층을 결정할 수 있는 중심성 상점은 전혀 입지하지 않고 있다. 이 지대는 대형의 고충건물이 많은 업무지구이다. 이것은 도심의 축소판으로서의 경향을 오히려 부도심보다도 더 강하게 나타내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부산역 상점가에 대해서 그 기능구성과 분포를 중심으로 패턴을 밝히려고 한다. 이 연구는 부산시 전체의 내부공간 구조를 밝히려는 일련의 연구의 한 부분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