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제전문인력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3초

주제전문인력 확보 및 제도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quisition of Subject Specialized Manpower and Institutionalization)

  • 노영희;신영지;곽우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3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사서자격 발급현황이나 국내외 주제전문사서 운영현황, 그리고 유사 문화시설의 전문인력 현황 및 채용방식 등에 대해서 조사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주제전문사서 양성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첫째, 주제전문사서 양성 방안으로는 정규교육과정과 재교육과정을 통한 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며, 학부부터 주제전문사서로 양성하는 방안과 기존사서를 주제전문사서로 양성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둘째, 주제전문사서의 기본적인 자격은 석사이상의 학력으로 3년 이상의 주제분야서비스 경력을 갖추어야 하며, 주제분야 배경을 갖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주제분야에서 학사학위나 석사학위를 갖추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셋째, 이러한 주제전문사서의 처우 개선을 위해 행정직군 내의 주제사서직렬을 연구직 아래의 학예직군으로 하위 직렬에 연구사서(또는 문헌정보) 직렬 및 직류를 편성하는 것이다. 즉 현재의 사서직렬은 그대로 두고 주제전문사서의 직렬 및 직류를 편성함으로써 사서와 주제전문사서의 차별화를 도모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주제전문사서 현황 및 인식조사 연구 (The Current State of and Needs for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in Korea)

  • 노동조;안인자;노영희;김성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43-63
    • /
    • 2009
  • 대학도서관 서비스의 전문화 추세, 주제 분야별, 직능별 도서관의 본격적인 출범에 따라 해당 분야의 주제전문 지식과 실무를 겸비한 주제전문사서의 교육과 자격에 대한 제도화의 필요성이 본격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도서관 현장의 주제전문서비스 실태를 조사하고 전담인력의 교육배경 및 직무경력 등 현황분석을 실시하여 주제전문사서의 인력수급 및 수요전망을 분석하며, 나아가 국내실정에 부합하는 자격제도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가족친화 전문인력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기초연구: 가족친화 전문인력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reorganization of training programs for professionals in family-friendly workplaces)

  • 손서희;박수선;강기정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5권1호
    • /
    • pp.63-75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가족친화 컨설팅 컨설턴트, 인증심사원, 직장교육 전문강사 등 가족친화 전문인력의 활동 경험을 통해 전문인력의 필요 역량을 살펴보고, 전문인력 양성 교육과정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0명의 전문인력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세 영역에서 활동하는 가족친화 전문인력 모두 가족친화제도 및 가족친화사업 이해라는 공통 역량을 필요로 하지만, 활동 영역에 따른 필요 역량이 상이하므로 공통 교육과 함께 전문인력별로 차별화된 교육과정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육과정 개편 방향과 관련하여 전문인력별 교육과정 간 연계성 강화, 가족친화 전문인력 교육 시수 확대, 신규 양성교육과 보수교육 간의 차별화가 제안되었다. 이와 함께 교육 운영과 방법의 다양화, 시의성 있는 주제의 심화보수 교육의 필요성 등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족친화 전문인력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활동 중인 전문인력의 교육 요구에 따라 가족친화 전문인력 교육과정이 재구성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주제전문사서로서의 정신보건사서 양성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al of Curriculum for Training Professional Librarians Specializing in the Field of Mental Health)

  • 임성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59-282
    • /
    • 2017
  • 본 연구는 사회구조의 변화 및 새로운 도서관 서비스의 출현에 대한 대응기제로서 정신보건사서라는 전문 인력 양성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 조사를 통해 독서치료의 특징, 정신보건사서의 역할, 자격요건과 양성제도를 살펴보고, 이에 따른 계속 교육의 필요성과 실제 교육과정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일련의 단계를 고찰하였다. 나아가 정신보건사서 양성을 위하여 문헌정보학과 교과목에 독서치료 영역에 해당하는 교과목을 개설하고, 향후 교과과정 편성에 있어서 주제전문화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의 필요성, 그리고 우리나라 현실에서 정신보건사서의 양성을 위한 바람직한 방안으로 문헌정보학과 대학원에 '정신보건사서' 과정을 설치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주제전문사서의 자질 개발과 확충을 위한 지침으로서, 주제전문사서의 역할 확립과 우리나라 도서관 현장과 학계의 당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성폭력피해자 지원기관 전문인력 양성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Prim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 Content to Cultivate Professional Workers of Support Organizations for Sexual Violence Survivors)

  • 송인한;김지은;신수민;이상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349-361
    • /
    • 2016
  • 최근 급격하게 증가하는 성폭력 피해자 지원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 교육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이 시급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1) 성폭력 피해자 지원 종사 인력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하고, (2)종사자 19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교육 내용의 요구에 대해 심층적으로 조사하고, (3) 이를 바탕으로 설문을 개발하여 전국의 종사자 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4) 성폭력 분야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양성교육 주제와 방법에 대해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종사자 설문조사결과 내담자의 특수성에 대한 이해와 다학제적 접근의 훈련 및 기본교육의 강화가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문가 델파이 조사에서는 상담기술과 피해자 심리이해 및 정서적 지원에 대한 교육이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집단의 피해자 유형과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의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콘텐츠를 제언하였다.

도서관의 특성화 사례 분석을 기반으로 한 도서관 특화방향 모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Library Specialization Based on Case Analysis)

  • 노영희;곽우정;신영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45-270
    • /
    • 2018
  • 연구에서는 문체부 정책과 특화지향 사회적 분위기의 영향으로 증가하고 있는 특화도서관의 사례를 조사 분석하고 향후 특화도서관의 발전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도서관의 지역 분포, 장서, 시설, 전문 인력, 프로그램, 서비스 등에 대해서 조사 분석하였다. 총 55개의 도서관에 대해서 분석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한 시사점 및 정책방향 제안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이 특화주제를 선정할 때는 지역자원, 지역정체성, 지역브랜드, 지역주민의 수요 등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특화장서는 특화주제와 관련이 있어야 하며 특화장서의 비중은 1만권이 넘도록 하되 전체장서에서 특화장서가 차지하는 비중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공간구성도 특화 주제를 고려해야 하며, 특화분야에 따라 요구되는 공간이나 유형은 다르다는 것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넷째, 특화도서관에서는 특화분야의 전문인력을 배치하야 하며, 특화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대학과 사서교육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특화도서관에서 운영되는 프로그램의 유형에는 관람형, 행사형, 강좌형, 참여형, 콘테스트형이 있었는데, 특화주제에 따라 적절한 유형을 선택해서 운영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전문도서관 운영평가를 위한 평가지표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Research Libraries)

  • 김상준;황재영;박계숙;최호남
    • 정보관리연구
    • /
    • 제39권4호
    • /
    • pp.97-120
    • /
    • 2008
  • 경쟁력 향상과 생산성 제고의 도구로서 디지털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전문도서관 평가지표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전문도서관의 경우 다른 도서관과 달리 다양한 주제적 배경을 가지고 있고, 1인 운영 소규모 도서관도 많다는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평가지표가 개발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7년에 작성된 전문도서관 평가지표를 기초로 하여 이해하기 쉽고 적용 가능성이 높은 새로운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전문도서관 평가지표는 선행연구와 타관종의 평가지표를 충분히 검토하였으며, 다양한 주제 분야 전문도서관 소속 전문가들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수차례의 회의를 거쳐 완성되었다. 새 평가지표의 개발 후 타당성과 실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평가지표 타당성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아울러 일부 전문도서관을 대상으로 모의평가도 실시하였다. 개발된 평가지표로 전문도서관 운영평가를 정착시킨다면, 새 평가지표는 전문도서관의 현재 수준을 파악하고 개선하여 미래 지향적 전문도서관 육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공공도서관의 특성화 방향에 대한 도서관 관장의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the Library Director's Perception on Public Library Specialization Service)

  • 노영희;오의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51-17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장을 대상으로 공공도서관의 도서관 특성화 및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인식과 의견을 조사함으로써, 도서관 특성화에 대한 발전적인 방향성을 논의하는데 있다. 69명의 관장이 설문에 응하였으며, 주요 결과로는 특성화서비스 제공에 있어 인력과 예산 부족의 어려움이 있지만 도서관 특화서비스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으며 앞으로 유지 발전해 나갈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이 공공도서관의 특화서비스 제공과 주제전문사서 배치는 필수적이라고 하였다.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자격은 석사 이상의 학력과년 4-7년 이상의 해당 업무경력이 적절하며 국가자격제도로 관리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서비스는 서비스를 담당할 주제전문사서 양성시스템 정비, 주제전문사서 자격제도의 확립과 운영, 특성화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주제관련 기관들과의 협력 등에 관한 깊은 논의가 향후 후속 연구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전문도서관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운영방안 연구 - 해양과학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 (An Study of Operational Strategy for Special Libraries on Social Network Service (SNS))

  • 한종엽;이승민;서만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35-351
    • /
    • 2014
  • 이 연구는 전문도서관의 특성에 맞는 SNS 운영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해양과학도서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SNS 운영조직, 인력, 콘텐츠, 홍보에 관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전문도서관의 SNS 운영방안을 요약하면, (1) 운영목적에 적합한 SNS 채널의 선택, (2) SNS 운영에 대한 도서관 업무분장, (3) 연성형 T/F팀 조직 운영과 전담인력 지정, (4) 전문주제별 콘텐츠 특성화, (5) 참여형 이벤트 중심의 온 오프라인 홍보 실시, (6) 정기적인 로그분석을 통한 콘텐츠 개선, (7) SNS 이용을 통한 도서관 홈페이지 이용 유도 등이 있다. 또한 전문도서관 SNS 운영의 발전방향으로 전문도서관 직원 간 업무소통 및 협력강화, 모기관 연구 및 학술성과의 확산, 이용자와의 소통창구로서 역할 강화, 도서관의 소셜 큐레이터 역할 수행을 제안하였다.

사람이 경쟁력이다- 국내 DC관련 대학을 찾아서

  •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 디지털콘텐츠
    • /
    • 5호통권132호
    • /
    • pp.40-55
    • /
    • 2004
  • 정부는 이미 차세대 성장동력 10대 과제로 디지털콘텐츠 산업을 선정, 2007년까지 세계 5대 디지털콘텐츠 강국으로 부강하겠다는 야심찬 포부를 밝혔다. 2003년 627억달러의 세계시장 규모에서 2007년 1,267억달러, 2012년 2,563억달러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정부는 디지털콘텐츠 관련 분야를 집중 육성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디지털콘텐츠 강국이 되기 위해서는‘사람이 경쟁력’이라는 것에 누구나 동의하고 있다. 디지털 지식경제사회가 진전할수록 뛰어난 한 사람이 평범한 1만명을 먹여 살리는 구조가 정착되고 있다. 이에 본지는‘사람’의 중요성을 일깨우고자 대학 ·기업 ·연구소 등 각계각층의 인력현황과 구조적 문제점, 그리고 나아갈 방향 등을 제시하는‘사람이 경쟁력이다’라는 주제로 지난 1월호부터 기획 연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호에는 국내 디지털콘텐츠 관련 대학의 전반적인 현황 및 각 지역에서 디지털콘텐츠 관련 전문 인력을 배출하고 있는 우수대학을 소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