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전문도서관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운영방안 연구 - 해양과학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

An Study of Operational Strategy for Special Libraries on Social Network Service (SNS)

  • 한종엽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과학도서관) ;
  • 이승민 (숙명여자대학교 문과대학 문헌정보학과) ;
  • 서만덕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과학도서관)
  • 투고 : 2014.07.16
  • 심사 : 2014.08.19
  • 발행 : 2014.08.30

초록

이 연구는 전문도서관의 특성에 맞는 SNS 운영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해양과학도서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SNS 운영조직, 인력, 콘텐츠, 홍보에 관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전문도서관의 SNS 운영방안을 요약하면, (1) 운영목적에 적합한 SNS 채널의 선택, (2) SNS 운영에 대한 도서관 업무분장, (3) 연성형 T/F팀 조직 운영과 전담인력 지정, (4) 전문주제별 콘텐츠 특성화, (5) 참여형 이벤트 중심의 온 오프라인 홍보 실시, (6) 정기적인 로그분석을 통한 콘텐츠 개선, (7) SNS 이용을 통한 도서관 홈페이지 이용 유도 등이 있다. 또한 전문도서관 SNS 운영의 발전방향으로 전문도서관 직원 간 업무소통 및 협력강화, 모기관 연구 및 학술성과의 확산, 이용자와의 소통창구로서 역할 강화, 도서관의 소셜 큐레이터 역할 수행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proposes a customized SNS operational strategy for special libraries based on a case study on the Ocean Science Library (OSL) of South Korea. The study conducted an in-depth analysis on an organizational structure, manpower, contents, and promotion. The outcome of SNS operational strategy deducted from this study can be categorized into several items, including: (1) a selection of an appropriate SNS channel, which meets the objective of the operation; (2) a formal division of works for SNS operation; (3) a designation of full-time managers and an establishment of a task force team; (4) a specialization of contents according to specific subjects; (5) on/off-line promotions focused on events, which encourage participations; (6) an improvement of contents through regular log analyses; and (7) a promotion of library website access through SNS, and so on. This research also suggested the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SNS operation: strengthening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mong librarians; distribution of academic and research outcomes of the umbrella organization; enhancement of a role as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librarians and users, and carry out a role as a 'social curator.'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지은, 노영희. 2013. 도서관 SNS 마케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3): 157-180. (Kim, Ji Eun and Noh, Younghee. 2013.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Library SNS Marketing."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24(3): 157-18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3.24.3.157
  2. 변회균, 조현양. 2013. 국내 도서관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실태조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3): 255-275. (Byeon, Hoi-Kyun and Cho, Hyun-Yang. 2013. "A Study on the Using of Social Network Services of Librari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4(3): 255-275.)
  3. 이란주, 김수영. 2011. 국내 대학도서관 블로그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3): 57-73. (Lee, Lan-Ju and Kim, Soo-Young. 2011.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Blogs in University Libraries at Kore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22(3): 57-73.)
  4. 이수상. 2012. 도서관 페이스북 페이지의 운영 실태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4): 347-372. (Lee, Soo-Sang. 2012. "A Preliminary Study on the Current Condition of University Library Facebook Pages: around Korean & USA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4): 347-372.)
  5. 이유진, 곽승진. 2011. 대학도서관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8: 43-51. (Lee, Yoo-jin and Kwak, Seung-Jin. 2011.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Social Network Service of University Libraries." 18th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18: 43-51.)
  6. 조재인. 2008. 도서관 정보 수요자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2): 169-186. (Cho, Jane. 2008. "A Study on Social Network of Library Information User."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2): 169-186.)
  7. 조정연. 2011. 대학도서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현황과 필요성에 대한 연구: 마케팅 관점과 이용자 특성을 중심으로. 사대도협 연구보고서, 11. 서울: 한국사립대학교 도서관협의회. (Cho, Jeong Youn. 2011. "A Study on Social Network SEsrvice in University Libraries: From the Perspective of Marketing and Library Users." Report of Korean Private University Library Association, 11. Seoul: Korean Private University Library Association.)
  8. 최연진, 정연경. 2013. 공공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4): 319-340. (Choi, Yeon Jin and Chung, Yeon Kyoung. 2013. "A Study on Activating Social Network Services for Public Librari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24(4): 319-34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3.24.4.319
  9. 한종엽, 임보람. 2013. SNS로 도서관 서비스를 Boost 하라! 제50회 전국도서관대회논문집, 166-183. (Han, Jong yup and Lim, Bo Ram. 2013. "Boost Library Service with SNS." Proceedings of the 50th Annual Conference of Korean Library Association, 166-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