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im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 Content to Cultivate Professional Workers of Support Organizations for Sexual Violence Survivors

성폭력피해자 지원기관 전문인력 양성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송인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정신보건.보건복지연구실) ;
  • 김지은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정신보건.보건복지연구실) ;
  • 신수민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정신보건.보건복지연구실) ;
  • 이상혁 (차의과학대학교 정신건강의학과)
  • Received : 2016.07.26
  • Accepted : 2016.08.11
  • Published : 2016.09.28

Abstract

Considering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sexual violence survivors,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content for the training of professional workers to support victims.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1)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existing training programs designed to produce workers to support sexual violence victims; (2) to conduct focus group interviews with 19 workers regarding their training needs; (3) to conduct a national-wide survey with 800 workers; and (4) to carry out a delphi study with 20 sexual violence professionals in regard to the topics and methods of training. According to the survey of practice workers, the areas of greatest need include the understanding of client characteristics,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in training, and strengthening of basic training. The delphi study of professionals revealed the need for counseling skills, understanding the psychology of sexual violence victims, and skills to provide emotional support for victim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research suggests training content designed to provide support services customized to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survivors.

최근 급격하게 증가하는 성폭력 피해자 지원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 교육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이 시급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1) 성폭력 피해자 지원 종사 인력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하고, (2)종사자 19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교육 내용의 요구에 대해 심층적으로 조사하고, (3) 이를 바탕으로 설문을 개발하여 전국의 종사자 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4) 성폭력 분야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양성교육 주제와 방법에 대해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종사자 설문조사결과 내담자의 특수성에 대한 이해와 다학제적 접근의 훈련 및 기본교육의 강화가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문가 델파이 조사에서는 상담기술과 피해자 심리이해 및 정서적 지원에 대한 교육이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집단의 피해자 유형과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의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콘텐츠를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배미란, "성폭력범죄의 발생현황 및 관련 정책의 향후과제-주로 성폭력범죄 관련 부가처분을 중심으로," 법학논총, 제40권, 제1호, pp.361-382, 2016.
  2. 김현동, 조현빈, "경찰의 성폭력 범죄피해자 보호를 위한 치안인프라 구축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715-723,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715
  3. http://www.spo.go.kr/spo/info/stats/stats0202_2015.jsp
  4. 최영애, 국내 성폭력 지원체계의 현황, 미상, 1997.
  5. 박성미, 이효영, 임혁, 채은희, 김혜숙, "정신건강 예방관리 전문직 직무교육 프로그램 개발,"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6권, 제2호, pp.219-234, 2012. https://doi.org/10.12811/kshsm.2012.6.2.219
  6. 강은영, 채종민, 홍해숙, 2012, 성폭력에 대한 법의학적 대응모델 개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7. 김승권, 이현혜, 김정숙, 박주영, 김정인, 김보경, 장혜연, 성폭력 피해자 지원시설 종사자 교육과정 개발, 여성가족부, 2013.
  8. 전종설, 심혜선, 신선아, "성폭력 피해자 지원체계 및 서비스 실태와 개선방안: 성폭력 상담소 및 보호시설 종사자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3호, pp.505-537, 2015.
  9. 이미정, 윤덕경, 변화순, 여성폭력 피해자 관련 시설종사자 자격강화 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1.
  10. 이정우, 김영배, 박원필, "병원경영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 개발 - 탐색적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2호, pp.699-709,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12.699
  11. 이윤정, "상담영역 건강가정사의 직무 및 보수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역량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5호, pp.358-368,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5.358
  12. 이성균, 윤영두, "미디어 교육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모델 연구 - 온라인 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호, pp.468-476, 2010.
  13. 이윤정, "문화사업 담당 건강가정사 양성 및 보수교육을 위한 직무와 역량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4호, pp.485-496,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4.485
  14. http://www.mogef.go.kr/korea/view/support/support01_01_02_02.jsp
  15. 김재엽 외, 2010년 성폭력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010.
  16. 변혜정, 조중신, 김지혜, 권수현, 정유석, 김혜정, 현혜순, 정희진, 정유희, 김애라, 권정혜, 박소라, 성폭력 피해자 치유프로그램, 여성가족부, 2005.
  17. 이미정, 황정임, 김동식, 이인선, 이호택, 박선주, 2012년 성폭력피해자 통합지원센터 평가, 여성.아동폭력피해 중앙지원단, 2012.
  18. 김영택, 김동식, 김인순, 차지영, 성폭력 피해자 정신건강 현황 및 정책지원 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2.
  19. 이미정, 이인선, 김기현, 성폭력피해자 사례분석을 통한 지원체계 개선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