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의 집중

검색결과 3,548건 처리시간 0.034초

정답과 구절의 공동 주의 집중 계층을 이용한 한국어 질문 생성 (Korean Question Generation Using Co-Attention Layer of Answer and Passage)

  • 김진태;노형종;이연수;김학수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9년도 제31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315-320
    • /
    • 2019
  • 질문 생성이란 구절이 입력되면 구절에서 답을 찾을 수 있는 질문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작업으로 교육용 시스템, 대화 시스템, QA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질문 생성에서 정답의 단어가 질문에 포함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구절과 정답을 분리한다. 하지만 구절과 정답을 분리하게 되면 구절에서 정답의 정보가 손실되고, 정답에서는 구절의 문맥 정보가 손실되어 정답 유형에 맞는 질문을 생성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분리된 정답과 구절의 정보를 연결시켜주는 정답과 구절의 공동 주의 집중 계층을 제안한다. 23,658개의 질문-응답 쌍의 말뭉치를 이용한 실험에서 정답과 구절의 공동 주의 집중 계층이 성능 향상에 기여해 우수한 성능(BLEU-26.7, ROUGE-57.5)을 보였다.

  • PDF

주행 시 운전자의 운전작업 중 주의집중 모니터링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A Study on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the Attention Monitoring of Drivers During Driving Tasks)

  • 한가을;김종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83-386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주행 중 운전자의 운전작업 중 전방 주의집중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연구 방안들을 조사하고 최신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자율주행자동차에서 운전자의 주의집중이 필요한 상황들에 대해 사전에 안내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동향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방법은 시각 자료 기반과 생체신호 기반으로 진행하고 있다. 연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두 가지 방법 중 본 연구에서는 시각 자료 기반 연구 방법에 초점을 맞추어, 자동차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영상에서 운전자의 운전작업 주의 여부를 식별하는 방법들에 대해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주행 영상에서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s) 특징과 딥러닝 학습을 통해 운전자의 주의집중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이 효과적임을 제시한다. 본 연구조사를 통해 분석된 운전자 모니터링 방안들을 자율주행 자동차에 적용하기 위한 운전자 주의 태만 경고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함을 제시한다.

주의 단서 수준에 따른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공동주의집중 반응 연구 (Differential Response to Joint Attention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Depending on the Level of Attentional Cues)

  • 유가을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1권1호
    • /
    • pp.21-37
    • /
    • 2014
  •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은 초기 사회-의사소통 기술 중 하나인 공동주의집중에 있어 심각한 장애를 보인다. 이로 인해 언어 및 인지, 사회성 발달에도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공동주의집중을 평가하거나 향상시키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적 단서를 포함해 주의를 유도하는 단서 수준에 따라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공동주의집중에 반응하기(Responding to joint attention: RJA) 행동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보고자 하였다. 평균 연령이 65.3개월인 총 9명의 아동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1회로 진행된 평가 세션 동안에는 주의를 유도하는 총 8개의 단서가 사용되었다.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량에 따라 네 가지 수준의 단서가 구성되었고, 각각의 단서는 언어적 및 음악적으로 제시되었다. 자폐 아동들은 음악적 단서가 제시되었을 때, 언어적 단서가 제시된 시도에 비해 이전 표적 자극에서 주의를 철회해 새로운 자극으로 전환시키는 시도가 증가하고, 공동주의집중에 반응하기 행동의 정확도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서 유형에 따른 비교에 있어서는, 아동의 이름을 부른 후 주의를 유도하는 단서가 손가락으로 가리키기와 함께 음악적으로 제시되었을 때 주의 전환 시도 및 공동주의집중 행동의 정확도가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적 요소가 포함된 주의 단서가 주의 전환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고, 전달되는 정보의 정확한 처리를 촉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이는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공동주의집중을 목표로 하는 조기 중재 시 음악의 효과적인 사용에 대한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사료된다.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 훈련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 단일대상연구 (The Effect of Interactive Metronome Training on Attention to Autism Spectrum Disorder Children: Single Case Study)

  • 조선영;주유미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4호
    • /
    • pp.57-66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이하 IM)훈련이 자폐 스펙트럼 아동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주의집중력에 어려움이 있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 1명을 대상으로 ABA' 설계를 통한 단일대상연구이다. 회기 별 구성은 기초선(A) 3회기, 중재기(B) 14회기, 기초선 2(A') 3회로로 총 20회기 실시하였다. 중재기(B)동안에는 IM 훈련을 하였으며, 기초선(A), 중재기(B), 기초선 2(A') 기간 모두 종속변인으로 부주의 행동과 주의집중 행동을 측정하였다. 결과 : 기초선과 비교하여 IM 훈련 중재기에 대상자의 부주의 행동은 감소하였고, 주의 집중 행동은 증가하였다. 기초선 2 기간에도 중재 효과는 유지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IM 훈련이 주의력 결핍 증상이 있는 자폐 스펙트럼 아동의 주의집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중재로써 IM 훈련의 임상적 근거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스마트 러닝에 기반한 교수학습활동이 지적장애아동의 학습 태도 및 주의집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Based Smart learning on Learning Attitudes and the Atten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orders)

  • 장오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235-243
    • /
    • 2013
  • R본 연구는 스마트 러닝에 기반한 교수학습활동이 지적장애아동의 학습 태도 및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를 향상하는 방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두 집단(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의 사전 사후 비교를 통해 이루어진 바, 첫째, 학습 태도 측면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이 향상되었다. 둘째, 집단의 주의집중을 분석한 결과 통제집단의 주의집중은 실험 초기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현저하게 낮아졌으나, 실험집단의 주의집중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이 지속되었다. 결론적으로 스마트 러닝에 기반한 교수학습활동이 지적장애아동의 학습 태도와 주의집중에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시각의 선택적 주의집중 분석을 위한 공간요소별 주시데이터 추출방법 (Method Extracting Observation Data by Spatial Factor for Analysis of Selective Attention of Vision)

  • 김종하;김주연
    • 감성과학
    • /
    • 제18권4호
    • /
    • pp.3-14
    • /
    • 2015
  • 본 연구는 지하철 입구 공공공간에서 피험자의 선택적 주의집중 분석을 위한 공간요소별 주시데이터 추출이다. 주시데이터의 추출방법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눈을 통해 획득되는 시각정보의 특성을 분석하는 과정에 중심와의 반경을 이용하여 주시범위를 설정하는 방식은 기존의 시지각 이론을 근간에 두면서 선택적 주의집중에 해당하는 주시데이터의 추출 결과를 객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정리했다. 둘째, 주시데이터 추출방법으로 기존에는 격자에 의한 빈도 분석이 주를 이루었는데 세부적 특성으로 공간정보를 분석함에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비해 선택적 주의집중 정도를 알 수 있는 주시데이터 추출방법은 공간에서 특정 요소에 시선이 얼마만큼 집중되는지를 분석해 낼 수 있었다. 선택적 주의집중을 통해 공간사용자의 주시특성을 분석하게 되면, 요소 맞춤형 주시데이터 추출이 가능하고, 이를 공간디자인이나 사인 배치에 활용하고 성과를 검증하는 것도 가능하다. 셋째, 공간요소에 대한 시간범위별 분석을 통해 특정 공간 요소를 주시한 데이터 특성을 시계열적으로 추적하여 정리하는 것이 가능했는데,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삼은 "해당 공간범위"의 결과를 보면, 남녀 모두 2분을 지난 시점에서 주의집중 정도가 급격히 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주시 우위빈도를 통해 선택적 주의집중이 일어난 구역을 시간범위별로 분석하였는데, 성별에 따라 남자는 I시간범위(52.4 %), 여자는 IV시간범위(24.0 %)에서 강한 주시가 이루어진 특성이 있어, 성별 차이가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성별에 따라 선택적 주의집중이 일어나는 시간범위가 서로 다르다는 것에서부터 성별 차이를 향후 피험자 특성으로 설정하여 실험하고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통적 종이형태의 평가와 전자매체를 적용한 평가에 따른 지적장애인들의 시지각 능력과 시각적 주의집중의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difference of the Visual Perception and Attention of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rom the Application of the Electronic Media and Traditional Paper Material)

  • 손성민;전병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505-514
    • /
    • 2019
  • 본 연구는 전통적 종이형태의 평가와 전자매체를 이용한 평가적용에 따른 지적장애인들의 시지각과 주의집중의 차이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지적장애인 12명이다. 대상자들에게 전통적 평가방식과 전자매체를 활용한 평가방식을 적용하였으며, 그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그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대상자들의 시지각과 시각적 주의집중을 평가하였다. 시지각을 평가하기 위해 Motor free visual perception test-3를 활용하였으며, 주의집중을 평가하기 위해 Trail making test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전자매체를 적용한 평가에서 대상자들의 시지각과 주의집중 모두 높게 나타났다. 전자매체는 지적장애인들의 시지각과 주의집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지적장애인들에게 전자매체를 적용할 경우 이러한 차이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외적 표상들 간의 연계와 통합을 촉진하는 방안으로서의 그리기에 미치는 상황 흥미, 주의집중, 인지적 노력의 영향 (The Influences of Situational Interest, Attention, and Cognitive Effort on Drawing as a Method to Assist Students to Connect and Integrate Multiple External Representations)

  • 강훈식;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10-517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화학 개념 학습에서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외적 표상들 간의 연계와 통합을 촉진하는 방안으로서의 그리기에 미치는 상황 흥미, 주의 집중, 인지적 노력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2개 남녀공학 중학교 1학년 178명을 대상으로 '보일의 법칙'과 '샤를의 법칙'에 대해 2차시 동안 그리기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은 거시적인 현상을 시범 실험을 통해 관찰한 후, 제공된 언어적 정보에 대한 자신의 정신 모형을 그림으로 그리고 이를 시각적 정보와 비교하였다. 사후 검사로 상황 흥미, 주의집중, 인지적 노력, 개념 이해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상황 흥미는 주의집중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주의집중은 직접적으로 또는 인지적 노력을 경유하여 개념 이해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그리기에서 처음으로 유발되는 것은 상황 흥미이며, 주의집중과 인지적 노력이 그리기를 통한 개념 이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수용전념치료 기반 집중력프로그램이 고등학생들의 집중력 증가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concentration Program Based on Acceptance-Commitment Therapy with High School Students)

  • 이정화;손정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2호
    • /
    • pp.277-284
    • /
    • 2015
  • 본 연구는 수용전념치료 기반 집중력 프로그램이 고등학생들의 회피융합, 자기조절력, 집중력, 학습태도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S시 소재 남자 고등학생 478명을 대상으로 회피융합, 자기조절력, 집중력, 학습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참여의사를 밝힌 20명을 대상으로, 10명은 수용전념기반의 집중력 프로그램에, 10명은 통제집단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프로그램은 12회기로 구성되었고, 12주 동안 주 1회로 총 12회가 진행되었다. 사전. 사후. 추적조사로 회피융합, 자기조절력, 집중력, 학습태도 검사가 반복측정 되었다. 실험 결과 집중력 프로그램에 참여한 처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회피융합은 감소되었고, 자기조절력, 집중력, 학습태도는 증가하였고 9주후의 추적검사에서도 유지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용전념치료 기반 집중력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회피성융합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고, 자기조절력, 집중력, 학습태도를 증가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시사점 및 제한점이 논의 되었다.

지적장애를 동반한 사지마비형 뇌성마비 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을 위한 아이트래커기반 게임화 요소 연구 (A Study on The Gamification Elements of Eye-tracker for Improving Attention Concentration of Children with Quadratic Palsy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정윤아;우탁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57-66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아이트래커를 활용한 상호작용 요소들과 지적장애아 주의집중력의 특성을 분석하여 디지털콘텐츠를 설계 할 때 활용할 수 있는 게임화 요소들을 제시한다. 사지마비형 뇌성마비 아동에게 아이트래커는 디지털콘텐츠의 접근성을 높여 줄 것이다. 전경적 게임화는 선택적 주의집중력을, 배경적 게임화와 내재적 동기 유발은 주의집중력의 지속을, 전경적 게임화와 외재적 동기 유발은 주의집중의 이동능력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