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부의 인식

Search Result 14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Perception of Native and Prohibitive Foods in Hansan - Do Area (한산도 지역의 향토음식과 금기식품에 대한 인식)

  • 박영선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15 no.1
    • /
    • pp.23-36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inds of native and prohibitive foods in Hansan-Do area. The kinds of the prohibitive foods and the reason prohibiting those from pregnant or lactating woman, fisherman and sick people were surveyed by using a guestionnaire from 1994 to 1998. The results showed that Chungmu Gimbab was perceived highly as a native foods and the reason for prohibiting specific foods was not based on scientific evidences.

  • PDF

Home Management Behavioural Patterns of Urban Housewives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to Their Life Styles (도시주부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가정관리행동유형과 가정생활만족)

  • 임정빈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2
    • /
    • pp.239-251
    • /
    • 1994
  • 본 연구는 주부의 라이프스타일을 유형화하여 구분하고, 유형화된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가정관리행동유형 및 가정생활만족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여 주부의 가정생활의 질적 향상을 증진시킬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라이프스타일을 알아보기 위해 주부의 태도, 관심, 의견(A.I.O)에 관해 요인분석과 클러스터 분석을 한 결과 우리나라 도시주부의 라이프스타일은 현대적향유형(28.1%), 보수전통주의형(26.3%), 건전활동형(21.5%), 소극적침체형(24%)으로 분류되었다. 주부의 관리행동유형은 대체로 변화지향적으로 나타났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자녀수가 적을수록 변화지향적인 관리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부의 가정생활만족도는 약간높게 나타났으며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전반적인 가정관리행동유형은 의사소통과 계획의 융통성에 있어서는 변화지향적인 관리행동을 보이고 자원활용에서는 안정지향적이고 자원인식에서는 안정, 변화의 중립적인 관리행동을 하는 것으로나타났다. 라이 프스타일에 따라 가정생활만족도는 건전활동형이 높았으며 소극적 침체형이 가장 낮았다가 정관리행동유형이 가정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의사소통, 자원활용 자원인식 등의 하위영역에서 변화지향적일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 PDF

A Survey on the Consumption and the Perception of Salted Sea Foods among Seoul Area Housewives (서울지역 주부들의 젓갈에 대한 이용실태 및 인식 조사)

  • Lee, Na Gyeom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5 no.4
    • /
    • pp.123-129
    • /
    • 2019
  • A total of 165 housewives in Seoul area were interviewed to survey the Salted Sea Food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preferences of 20s~50s housewives to salted sea foods. As to the recognition of salted sea foods, shrimp salted sea foods(100%)>anchovy sauce(97%)>canary sauce(91%)answered. Necessity of the Development plan of salted sea foods as to its importance 23%, regarded salted sea foods very important, while 44.8% and 6.1% not important. The Participants considered that we need to succeed and develop salted sea foods. We need to develop new recipes to increase the usage of salted sea foods.

Perception of Drinking Water and Water Environment among Housewives in Gumi City Area (구미 지역 주부들의 먹는 물과 물 환경에 대한 인식)

  • Cheong, Cheol;Park, Hye-Gyoung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2 no.1
    • /
    • pp.73-8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perception of drinking water and water environment held by housewives in Gumi city area.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20 housewives and surveyed with a questionnaire on a self-reporting basis. Results are as follows: 1. Housewives were concerned about drinking water and water environment as natural resource affecting Gumi city area. The percentage og the housewives who had used the purified tap water and the boiled water as drinking water was 35% and 30%, respectively. Also, The percentage of the safety of tap water was 75%. However, their perceived level about the safety of drinking water was relatively low. 2. Housewives suggests that a drinking water conservation campaign and active participation may be more effective if it is linked to local community. Furthermore, continuous education about drinking water and water environment promoting perception of tap water as drinking water.

  • PDF

The Effect of Doubles Roles and Perception of Korean Married Women Professors About Combining their Career and Family (한국기혼 여교수의 가족 및 직업역할 수행과 그 효과 및 인식)

  • Juhee Park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41 no.1
    • /
    • pp.125-138
    • /
    • 2003
  • 한국기혼 여교수의 가족 및 직업역할 수행과 그 효과 및 인식 본 연구는 한국의 중상 층 기혼 여교수들의 그들의 가정과 직장생활의 균형을 위한 복수역할 수행에 따른 역할 긴장도 와 역할 만족도를 조사하는 것과 한국 기혼 여교수들이 그들의 취업이 자신과 가족에게 어떤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고 있는지를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기혼여교수들과 4년제 대학에 근무하는 남자교수들의 부인 및 한국과학 기술연구소의 연구원들의 부인인 전업주부들과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여교수들은 전업주부들과 비교하여 더욱 높은 역할 만족도와 긴장도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여교수들은 자신의 취업이 자녀들과 가족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onsumers' Purchase Tendency and the Importance of Salespersons' Role at the Department Store (소비자의 백화점 이용성향과 상품 구매시 판매원의 중요성 인지도)

  • 김시월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2
    • /
    • pp.26-40
    • /
    • 1994
  • 본 연구는 주부 소비자의 상품 구매시 백화점 판매원 능려의 중요성 인지도와 백화 점 이용성향을 관련변수 및 판매원의 능력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의 관계를 비교.분석하며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기업과 백화점 판매원 및 소비자에게 백화점 판매원 능력의 중요성을 밝혀 백화점 판매원이 소비자엑 질적.양적으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소비생활상담자로서의 전문인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 아래 서울시에 거주하며 백화점을 이용하는 주부 51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하여 조사하 였다. 그 결과 주부소비자는 상품 구매시 백화점 판매원을 중요한 정보원으로 인식하고 백 화점 이용성향이 다소 많았으며 소비자의 백화점 이용성향과 판매원의 중요성 인지도는 정 의 상관관계를 이루었다 또한 소비자가 젊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백화점 이용성향은 높아 이들을 위한 소비자교육이 실행되어야 할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여러변수중 특히 주부 소비자의 교육수준은 소비자의 판매원 능력에 대한 인시을 매개로 하여 구매시 백화점판매 원의 중요성 인지도와 이용성향에 영향을 미치므로 소비자가 최종 구매결정 단계에서 최선 의 선택을 하도록 기업측은 보다 질이 강화된 판매원 양성에 주력하여야 하고판매원 능력중 에서 판매기술은 더욱 소비자 지향적인 체계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 PDF

Home Manager's Time Use & Management Strategies of ChungJoo City (청주시 주부의 생활시간 사용과 관리전략)

  • 오경희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3 no.3
    • /
    • pp.74-87
    • /
    • 1995
  • 본 연구는 청주시 주부의 시간사용과 관리전략을 조사하여 가정생활 개선과 질적향상을 도모하기 위한것이다. 94년 10월 중순에 예비조사를 거쳐 동안 11월~12월에 걸쳐 본조사를 실시하였고 기재미비를 제외한 38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AS/PC program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리적 생활시간 사용은 휴일이 평일보다 2시간 더 많고 가사적 생활시간은 휴일과 평일이 거의 비슷하다. 또한 사회문화적인 생활시간 사용은 휴일이 평일보다 2,2시간 더 많았던 반면, 수입노동시간은 평일이 휴일보다 5배나 많았다. 마감시간, 가사분담, 편의품 및 서어비스이용 의 관리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반면, 긴장해소, 시간계획, 가정기기이용의 관리전략을 적게사용한다. 2) 배경변인에 따라 생활시간 사용 및 관리전략은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3) 역할갈등인식이 낮을수록, 결혼지속년수가 짧을수록, 주부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소득이 많을수록, 시간관리전략을 더 자주 사용하였다.

  • PDF

닭고기에 대한 품질개선 요구사항 많다

  • 안종남
    • KOREAN POULTRY JOURNAL
    • /
    • v.31 no.8 s.358
    • /
    • pp.84-89
    • /
    • 1999
  • 본 조사는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닭고기에 대하여 소비자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향후 국내 닭고기의 품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11개 문항에 대하여 설문을 하였다. 조사 대상으로는 서울, 성남, 수원지역의 주부 516명이 였으며, 연령별로는 30대 주부가 $64.55\%$, 40대 $34.29\%$, 50대 $0.77\%$, 20대 $0.39\%$ 였고, 가족 수는 평균 4.2명으로 한 달에 소비하는 닭고기는 평균 2.4마리 정도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