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민 만족도

검색결과 397건 처리시간 0.021초

주민의 부정적 관광개발 영향 지각이 지역만족과 개발태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Residents' Negative Tourism Development Impact Perceptions on Their Local Satisfaction and Attitudes toward Development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 정성문;강신겸
    • 지역과문화
    • /
    • 제7권1호
    • /
    • pp.127-152
    • /
    • 2020
  • 본 연구는 관광목적지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개발을 위한 관리의 수단으로 사회적 자본의 역할에 주목 하였다. 관광개발이 관광목적지에서 사는 주민들의 지역만족과 관광개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이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을 견인하는 중요한 장치라는 점을 규명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과잉관광 현상이 나타나는 전라남도 여수시를 원도심과 비원도심으로 구분하여 관광개발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지각이 주민 지역만족과 관광개발 태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실증 결과 관광개발이 집중된 원도심이 상대적으로 개발에서 벗어난 비원도심보다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사회적 자본이 관광개발의 부정적 영향을 줄이거나 또는 지속가능한 발전과 성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관리의 수단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에 따라 민관협치 활성화 기본조례. 지역사회 동호회, 마을 총회 등과 같은 사회적 자본의 특성들이 반영된 다양한 정책들을 마련하여 활성화 시켜야 함을 제안하였다.

쪽방밀집지역의 주거환경과 주민들의 사회적 배제에 대한 GIS 활용 연구 (GIS-based Study on Residential and Neighboring Environment and Residents' Social Exclusion in Slum Area)

  • 김동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209-225
    • /
    • 2017
  • 대전시 쪽방밀집지역의 주거환경 문제점 및 주거환경이 주민들의 사회적 배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GIS(지리정보시스템)기반 커뮤니티매핑 및 주민 대상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지역주민들의 지리정보 및 기타 속성을 지도화한 결과, 여성과 고령자가 중심지역에 밀집하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2009년과 2016년의 자료비교를 통해 빈곤밀집지역이 다소 분산되는 경향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이 지역의 실내외 모습을 담은 252장의 사진을 대상으로 의미단위별 유목화, 범주화 작업을 실시, 주거환경문제를 미관-위생, 협소-주택기능미비, 안전-사생활노출, 낙인의 4가지 범주로 분류하였다. 사진자료를 통한 커뮤니티매핑실시 결과 이 지역이 4곳의 구역으로 구분되며 주택형태, 주거형성의 역사, 비빈곤지역과의 접촉면, 폐쇄와 개방 등의 특징으로 주거문제가 달라진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또 주민대상 설문조사를 실시, 구역별로 일자리참가여부, 이웃만족도, 낙인, 사회적 배제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회귀분석 결과, 주거만족도가 사회적 배제에 가장 큰 요인임이 드러났다. GIS기반의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이 지역에 대한 주거환경 개선에 있어서 구체적 접근과 문제별 대응이 이루어질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금연 공동주택 주민들의 정책 순응도와 흡연 관련 행태 변화 (Policy Compliance and Smoking related Behavior Change in a Smoke-free Apartment)

  • 조후선;김은수;남해성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5권4호
    • /
    • pp.221-234
    • /
    • 2020
  • 이 연구는 금연 공동주택 지정에 대한 주민들의 정책 순응도와 지정 전후의 흡연행태 변화를 파악고자 연구하였다. 연구는 대전광역시 금연 공동주택 1곳의 주민 28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하여 T 검정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 다중 회귀분석, 교차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정책순응도는 여성과 2년 미만 거주집단이 높았고, 비흡연자가 유의하게 높았다. 전체 대상자의 정책순응도 관련요인은 거주기간이 2년 미만이면서, 소득 수준이 높고 금연에 대한 인지된 유익성이 높은 경우 정책순응도가 높았고, 흡연자의 관련요인은 주변 관계 만족도, 금연에 대한 인지된 장애성, 흡연 빈도 및 흡연량과 관련성이 있었다. 또한, 금연구역 지정정책 실시 후 흡연자들의 흡연행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주민들의 간접흡연 빈도를 줄이는 결과로 이어졌다. 따라서, 금연구역 지정정책에 대한 순응도를 높이고 흡연행태의 개선과 공동주택 내 간접흡연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실내 금연구역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 시행하고, 인구사회학적 요인 외에도 흡연이 가져올 수 있는 심각성 등 건강신념모형 구성요소를 활용하여 주민들에게 홍보 방안과 효과적으로 병행할 수 있는 정책 개발 및 제도적 보완이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전주천 섶다리의 주민의식 및 이용성취도 평가 - 중요도-성취도분석을 중심으로 - (User's Evaluation on the Supdari in Jeonju-River through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 김상욱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78-84
    • /
    • 2011
  • 본 연구는 전주천 여울목 섶다리를 대상으로 하여 섶다리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의식 및 이용 성취도를 조사함으로써, 섶다리가 전통문화의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상징물로서 또한 주민편의를 위한 생활시설로서 자리매김하기 위한 요건들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섶다리에 대한 인지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일상에서의 섶다리 이용에 대한 지역주민의 성취도 분석을 위해서는 중요도-성취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을 연구방법으로 채택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주민들은 섶다리사업이 민관협력 사업임을 정확히 인식하지는 못하고 있었으며, 섶다리 축제에 대한 참여도 또한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섶다리 이용자들은 섶다리를 고향마을의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전통문화시설로 인식하였으며, 이러한 사업이 지역의 공동체성 회복에 기여할 것으로 답변하였다. 하지만 섶다리를 전주천의 랜드마크로 인식하고 있지는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섶다리의 이용과 관련한 14개 항목에 대한 IPA 분석 결과, 중요도는 높지만 성취도는 낮아 반드시 개선이 필요한 항목은 섶다리 주변 조경시설, 섶다리의 폭원, 경고안내판 및 통제시설 및 섶다리 난간 등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섶다리 및 주변공간의 장소성 부여를 위해 향후 섶다리와 연계하여 전통문화 및 생태교육을 담을 수 있는 광장과 같은 공간의 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섶다리를 건너거나 경관 및 생태자원 감상에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설계 및 시공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자치 역량 수준별 임차인 주민조직 참여에 관한 주관성 유형 연구 (Types of Tenants Participation in Public Housing Maintenance Analysed by Q Method)

  • 김규빈;김문현;권태환;김주형;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31-40
    • /
    • 2015
  • 공공주택은 효율적인 주택관리와 개개인의 주거환경 보호를 위해 임차인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임차인들의 참여를 비관적으로 전망하고 있어 임차인들의 참여 유형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기존연구들은 설문조사를 통한 관리의 선호도 및 만족도를 측정하거나 성공적 임차운동 사례를 검토하는데 중점을 두는 것에 한정되어있어 참여자 입장에서 수행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행복주택에 거주 가능한 젊은계층을 대상으로 자아구조 속에 있는 주민조직 참여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주관적 의견이나 인식의 구조를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Q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주민들의 주민참여방안에 대한 참여자들의 유형분류 및 특성을 조사하는 것이 주목적이며, 28명의 거주가능 대상자를 통해 28진술문으로써 강제적으로 유형을 분류하였고, 5가지의 유형이 파악되었다. Type 1은 '신뢰기반 주민주도형(적극형)', Type 2는 '기관불신 주민주도형(불신형)', Type 3은 '불신기반 인센티브형 (회피형)', Type 4는 '주민참여기반 기관주도형(협력형)', Type 5는 '기관신뢰 기관주도형(위탁형)'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형마다의 특징에 맞춘 각각의 문제점과 해결책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주어 주민과 관리주체에 대한 바람직한 역할을 논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지역박탈이 주민의 계층상승 가능성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를 대상으로 - (The Multilevel Effects of Regional Deprivation on Perceived Upward Social Mobility of Residents)

  • 송태수;임업
    • 지역연구
    • /
    • 제36권3호
    • /
    • pp.3-16
    • /
    • 2020
  • 도시 내 공간적 불평등은 꾸준한 관심을 받고 있는 연구주제다. 그러나 공간적 불평등이 주민에게 미치는 세부적인 영향과 공간적 불평등이 지속되고 재생산되는 방식에 대한 실증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공간적 수준에서의 박탈을 나타내는 개념인 지역박탈이 주민의 계층상승 가능성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2015년 서울서베이 자료를 순서형 로지스틱 다층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지역박탈 수준이 높은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일수록 자신의 계층상승 가능성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지역박탈이 주민의 계층상승에 대한 믿음을 저해함으로써 삶의 만족도와 기회 실현을 저해하는 것은 물론 지역 격차가 지속되는 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공간적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도시정책에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층모형을 활용한 상수원 관리지역 주민지원사업 평가에 관한 연구 (Using Multilevel Model for Evaluation on Community Support Program)

  • 김동현;정주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3D호
    • /
    • pp.469-476
    • /
    • 2011
  • 본 연구는 다층모형(multilevel model)을 상수원관리지역 주민지원사업 정책평가에 활용하는데 있어 유효성 및 효과를 이해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정책의 대상이 위계적인(hierarchical)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경우 다층모형을 이용하여 정책평가를 하는 것이 정책의 효과를 평가하고 검증하는데 있어 적절하다. 또한 이 모형은 기존 평가결과의 재평가 등에 응용될 수 있다. 상수원관리지역의 주민지원사업을 대상으로 주민만족도와 경제적 도움정도를 정책효과변수로 하여 다층모형을 적용 하였다. 그 결과 정책효과변수에 기존 평가결과 및 중요한 사업으로 여겨지던 소득증대사업 등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정책적 함의를 지닌다. 첫째, 정책 및 사업평가에 있어 정책의 효과를 엄밀히 파악하기 위하여 위계적 구조를 고려할 수 있는 다층모형을 이용하여야 한다. 둘째, 기관평가의 순위 도출에 있어 다층모형을 이용하여 지표에 의한 성과지표와 보완적으로 이용해야 한다. 셋째, 위계적 구조의 하나로서 공간적 위계를 고려하여 정책평가를 시행하여야 한다.

제주지역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실태분석 및 이용자 만족도 연구 (A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of Cultural Programs of Public Library in Jeju Area)

  • 조인숙;김수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1-42
    • /
    • 2010
  • 공공도서관의 문화적인 기능의 확대는 소득수준의 향상과 여가시간의 증가로 인해 문화적인 욕구를 해소하고 문화 복지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다양한 요구를 해결하는데 필수적인 사항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 공공도서관에서 운영되는 문화프로그램에 대한 실태조사와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이용자 만족도 조사 및 문화프로그램 담당자 설문조사를 통하여 문화프로그램 운영상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제주지역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지역적 특성화와 개선사항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공동주택 내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주민공동시설 설치기준과 주민 만족도와의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Relation between Supply Criteria of Public Facilities and Residents' Satisfaction for the Community Revitalization in the Apartments)

  • 최기택;이주형
    • KIEAE Journal
    • /
    • 제11권6호
    • /
    • pp.19-28
    • /
    • 2011
  •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n the supply of community facilities based on the supply criteria of present welfare facilities. Analyzing satisfaction of residents about community facilities based on physical supply criteria. The study sets up the concept and proposed trend of the related studies and distinction through the examination of previous researches. Next, the present systematical supply criteria, was used to make indication in order to propose the promotion of improvement on supply criteria for community facilities. Multi dimensional analyzing system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community facility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e direction of policy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is as per the following.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supply criteria of household to guarantee the minimal amount of space. Second, specification of the minimum distance of community facility to residential area in the complex is needed. Also, the presentation of bottom boundary line of the formation area size to expand the size up to minimal level of size is needed. Third, resident exercise facility supply criteria among the community facility supply criteria need to be improved from the number of household base to the size for each household base. Forth, resident resting facility criteria among the community facility supply criteria should be changed from the present criteria of one facility per five hundred households.

주민참여를 위한 환경디자인 지원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of an Environment Design Supporting System for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 여욱현;김미연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25-32
    • /
    • 2012
  • 환경디자인은 건축, 도시, 조경 등 서로 다른 분야의 전문가 및 대상 지역 거주하는 일반시민 등 많은 참여자를 가지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협조설계 단계에서는, 시행착오를 최소화시키기 위해서 디자인 초기단계에서부터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계획에 관해서 협의하여 디자인 내용을 변경해 나갈 필요가 있다. 또한 대상지 지역을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있으며 계획 후 이 지역에 살게 될 주민들의 참여도 환경디자인 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여러 분야의 전문가 또는 비전문가들이 서로 커뮤니케이션하고 협조하기 위해서는 누구나가 쉽게 디자인 내용을 이해 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툴이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빠른 구축속도, 대화형 기능, 빠른 표현속도, 사실적인 표현기술 등이 필수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환경디자인 분야의 전 분야에서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디자인 안을 검토할 수 있는 3D CG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 시스템을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시켜서 활용하면서 개발된 시스템의 기능강화를 추진하며, 실제 프로젝트 적용을 통한 시스템의 평가를 진행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의 유용성을 증명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표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