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도적 성격

Search Result 12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Influence of Self 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on Problem-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간호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및 자기주도적 학습태도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 Sim, Mi-Jung;Oh, Hyo-So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6
    • /
    • pp.328-337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which influence problem-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A total of 217 third year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two nursing colleges in Gwangju.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self-administered from March 2 to 31, 2012. In academic self-efficac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high school type, character. Problem-solving abil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urriculum usability after graduation.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were significant factors of problem-solving ability explaining 37.3% of the variables. In conclusion,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problem-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To enhance problem-solving ability for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aching program and curriculum for increasing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Personality Type and Learning Type Classifying System Through Fingerprint Pattern (지문 형태 분류를 이용한 성격유형 및 학습유형 검사시스템)

  • Kim, Yong;Jeong, Yang-Kw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2 no.6
    • /
    • pp.1211-1218
    • /
    • 2017
  • This paper deals with personality types and study type test methods and system by using finger prints. The purpose and goal of the study is to implement the system that provides the information about appropriate study methods for each individuals based on analysis of the natural characteristics (innate trait and aptitude) by using fingerprints.

정보보호관리 국제표준화 동향

  • Kim, Jung-Duk
    • Review of KIISC
    • /
    • v.21 no.2
    • /
    • pp.19-22
    • /
    • 2011
  • 정보보호관리 표준은 ISO/IEC JTC1/SC27 WG1에서 주도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ITU-T SG17 Q.3에서는 SC27과의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면서 정보통신조직에 특화된 정보보호관리 표준에 치중하고 있다. 현재 제정된 정보보호관리 국제표준으로는 정보보호관리체계에 관한 요구사항 (27001) 및 통제표준 (27002)과 이와 관련된 지침 성격 표준들이 상당 부분 국제표준으로 발표되었다. 최근에는 기 발표된 국제표준에 대한 개정 작업과 정보통신조직, 금융조직 등 특정 산업이나 정보보호 거버넌스 등 특정 이슈에 해당되는 정보보호관리 표준 제정 작업이 한창 진행 중에 있다. 인터넷의 확산과 정보화의 역기능 증가에 따라 능동적인 정보보호관리체계의 수립을 위하여, 국내에서도 정보보호관리 표준의 제정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뿐 아니라 국내 많은 조직에서 정보보호관리 표준이 적용되어 전반적인 정보보호관리 수준이 향상 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User's Personality Type on Continuous IS Usage Intention (정보시스템 사용자 성격유형이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 Nam, Gil-Woo;Kim, Sang-Hoon;Kim, Chang-Kyu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5a
    • /
    • pp.183-187
    • /
    • 2009
  •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이 조직에 수용된 후의 이용단계에서 사용자의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간의 관계 모형을 도출하고, 실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성격심리유형과 주관적 지각인 기대일치, 자기주도성, 자기효능감이 정보시스템 수용 후 단계에서 지속적인 사용을 예측할 수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보시스템 도입 초기의 기술수용관점에서 설명하였던 TAM과 그 확장모형들과는 달리, 수용 후 정보시스템 지속사용 성과 요인에 대한 인식을 사용자 중심으로 하는 방향으로 관점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PDF

해양바이오 분야 R&D 지원의 동향분석과 함의 : 정부 R&D 사업 분석을 중심으로

  • Jang, Duckhee;Doh, Soo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375-1399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해양바이오 분야에 지원된 정부 R&D의 지원동향 분석을 기초로 향후 이 분야 정부연구개발 사업에 필요한 함의를 도출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NTIS DB를 통해 식별한 3,030건의 세부과제를 대상으로 기술통계와 과제명을 기초로 한 주제어 간 연결 관계를 SNA(Social Network Analysis) 방법을 이용해 실증분석 하였다. 이 연구에서 수행한 실증분석 결과를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통계 분석 결과 최근으로 올수록 해양바이오 분야에 지원된 정부지원 연구개발 사업은 사업수와 연구비 지원규모 면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 둘째, 분야 특성상 이 분야에 대한 R&D 지원은 해수부가 주도적이지만, 대체로 범부처적 성격을 갖는다. 셋째, SNA를 통한 실증분석 결과 대부분의 사업이 해양생명자원이 가진 특이기작으로부터 유용신소재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Individual and Family Background Predictors of Nontraditional Career Orientation among Korean College Women (전통적으로 남성주도적인 전문직 진출을 준비하는 우리나라 여대생의 성격 및 가정환경의 특성 연구 : 법대 및 의대 재학생을 중심으로)

  • 김용미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30 no.1
    • /
    • pp.257-265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college women in regard to personality and family background characteristics. Subjects were 180 college women majoring in Education, Nursing, Medicine, and Law. ANOVA and discriminant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nontraditional women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acacemic achievement, SES, and parental support and influence than traditional women. SES, psychological masculinity, and parental support and influence were the most powerful predictors of nontraditional career orientation. Suggestions were made regarding precautions and need of cross-cultral study.

  • PDF

Proactive Personality and Knowledge Sharing: The Contrasting Effects of Leader-Member Exchange Social Comparison (LMXSC) (주도적 성격과 지식 공유: LMXSC의 상반된 조절효과 검증)

  • Park, Jisung;Chae, Heesun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 /
    • v.18 no.4
    • /
    • pp.119-136
    • /
    • 2017
  • This paper focuses on proactive personality as one of the main personality traits relevant to knowledge sharing and examines how this personal trait influences knowledge sharing behavior. Moreover, in order to consider the interactive effect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a contextual factor, this study utilized the construct of LMXSC which can reveal restoration of resource losses due to knowledge sharing. Because LMXSC can have opposite directions depending on used theorie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LMXSC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knowledge sharing behavior by using 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 and trait activation theory. This study tests hypotheses with the data of supervisor-employee dyads in various industries. An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proactive personality increased knowledge sharing behavior and LMXSC strengthen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knowledge sharing behavior as 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 predicts. Based on these theoretical arguments and empirical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the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A Study of Chatbot Personality based on the Purposes of Chatbot (사용목적에 따라 선호하는 챗봇의 성격에 관한 연구)

  • Kang, Minje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5
    • /
    • pp.319-329
    • /
    • 2018
  • With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strong AI chatbot, the role of chatbot has been extended from conducting simple tasks to being a friend or counsellor. For this newly emerging purpose of chatbot, endowment of personality is important to make the chatbot regarded as a human being. Nevertheless I found that there are few guides about it. Thus, this study identifies the proper personality of chatbot depending on the purpose of services and user types. The purposes of chatbot services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such as leisure-time, counselling, and task. The DISC theory is used for categorizing personality, which consists of 4 types such as dominance(D), inducement(I), submission(S), and compliance(C). An interview and survey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ferred personality of chatbot and contents for leisure-time. As results, people tend to prefer people-oriented types such as I, S for their leisure time, task-oriented types such as D,C for their task, and slow types such as C,S for counselling. Women prone to prefer neutral gender except for counselling and men tend to prefer female in all chatbot services. Preferred chatbot age is either same or younger age for leisure-time, same or older for counselling, and 30's for tasks. Preferred contents for leisure-time are mostly recent information but many 20's want fun contents and 50-70's want emphatic conversation. 30-50's want honorific but 20's and 60-70's don't care. The research results useful guide on proper personality of AI chatbot for each purpose of its service.

Work & Life Balance and Conflict among Employees : Work-life Balance Effect that Reflects Work Characteristics (일·생활 균형과 구성원간 갈등관계 : 직장 내 업무 특성을 반영한 WLB 효과 중심으로)

  • Lee, Yang-pyo;Choi, Chang-bum
    • Journal of Venture Innovation
    • /
    • v.7 no.1
    • /
    • pp.183-200
    • /
    • 2024
  • Recently, with the MZ generation's entry into society and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female population, conflicts are occurring between workplace groups that value WLB and existing groups that emphasize collaboration due to differences in work orientation. Public institutions and companies that utilize work-life balance support systems show differences in job Commitment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work and the activation of the support system.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WLB support system actually operated by the company and present universally valid standa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upport system for work-life balance and to find practical consensus amid changes in policies and perceptions of the working environment. Second, the influence of work-life balance level and job immersion according to work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to verify the mutual influence in order to establish standards for WLB operation that reflects work characteristics. For the study, a 2X2 matrix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impact of work-life balance and work characteristics on job commitment, and four hypotheses were established. First, analysis of the job involvement level of conflict-type group members, second, analysis of the job involvement level of leading group members, third, analysis of the job involvement level of agreeable group members, and fourth, analysis of the job involvement level of cooperative group members. To conduct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employees working in public institutions and large corporat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9 days from October 23 to 31, 2023, and 163 people responded, and the analysis was based on a valid sample of 152 people, excluding 11 copies that were insincere responses or gave up midway. As a result of the study's hypothesis testing, first, the conflict type group was found to have the lowest level of job engagement at 1.43. Second, the proactive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 of job engagement at 4.54. Third, the conformity group showed a slightly lower level of job involvement at 2.58. Fourth, the cooperative group showed a slightly higher level of job involvement at 3.80. The academic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that it subdivides employees' personalities into factors based on the level of work-life balance and nature of work.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that it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WLB support systems operated by public institutions and large corporations by grouping them.

모바일 컨텐츠 공급파트너와 서비스 제공업체의 관계에 대한 연구 -전략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특성을 중심으로-

  • 송영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2a
    • /
    • pp.169-200
    • /
    • 2003
  • 소비자의 욕구변화와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정보경제시대, 신경제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가치사슬이 변화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신산업이 등장하고 있다. 인터넷의 확산과 더불어 선으로부터의 자유, 개인성, 즉시성이 가능한 모바일 비즈니스가 우리나라에서도 태동하고 있다. 모바일 비즈니스는 금융업체, 정보제공업체, 통신망 운용업체, 최종이용자간의 새로운 가치의 결합이 특징이며, 막 흐름이 만들어지고 발전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이해관계자가개입하고 있어 협력이 특히 강조되고 또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들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바일 비즈니스를 주도하고 있는 통신망 제공업체와 모바일 컨텐츠 공급 파트너간의 조직간 협력관계에 대한 실증 연구를 수행하였다. 관계마케팅, 거래비용, 자원기반관점, 네트워크 이론 등 기업간 관계를 기술, 설명, 예측하는 주요이론에서 논의되고 있는 개념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컨텐츠 공급파트너의 전략적 성과에 영향을 주는 연구 모형을 제시한다. 최근 중요성이 더 강조되고 있는 항목은 신뢰와 결속임을 감안하여, 매개변수로써 전략적 성과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요소로 신뢰와 결속을 제시하고 있다. 컨텐츠 제공업체의 전략적 성과는 서비스제공업체에 대한 신뢰와 결속에 큰 영향을 받고있다는 점을 반영하고 있다. 한편 신뢰에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로는 서비스 제공업체에 대한 평판, 서비스제공업체와 컨텐츠 제공 파트너간의 상호의사소통, 그리고 업무처리의 절차에 대한 공정성을 제시하고 있다 결속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는 동의된 목표, 업무정보교류, 거래특유자산의 3개의 변수를 선정하였다. 독립, 매개, 종속변수간의 9개의 연구 가설을 수립하였다. 국내의 주도적인 이동통신망소유업체에 모바일 컨텐츠를 공급하고 있는 170여개의 파트너를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수행했다. 공변량 구조분석을 위주로 분석한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본 연구의 모델은 충분한 적합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설의 상당수가 채택이 되었다. 그러나 모바일 비즈니스의 기업간관계의 실제측면을 나타내는 업무정보교류와 결속자의 관계의 유의하지 않게 나와 기각되었다. 기각에 대한 여러 가지의 해석이 가능하지만 측정의 신뢰성을 확보해야 하고 개념의 타당성을 더 엄격하게 준수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조직이론에 근거한 변수를 채택하고 있으나 모바일 비즈니스의 생명주기특성상 태동기이기 때문에 기업간 관계를 연구하는 측면에서는 탐험적 연구성격이 강하다. 더 나아가 본 산업의 주된 연구가 질적이고 기업내부만을 연구했던 것에 비교하면 시초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관계마케팅, CRM 등의 이론적 배경이 되고 있는 신뢰와 결속의 중요성이 재확인하는 결과도 의의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신뢰는 양사 간의 상호관계에서 조성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반면, 결속은 계약관계 초기단계에서 성문화하고 규정화 할 수 있는 변수의 성격이 강하다고 할 수가 있다. 본 연구는 복잡한 기업간 관계를 지나치게 협력적 측면에서만 규명했기 때문에 많은 측면을 간과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방법론적으로 일방향의 시각만을 고려했고, 횡단적 조사를 통하고 국내의 한 서비스제공업체와 관련이 있는 컨텐츠 공급파트너만의 시각을 검증했기 때문에 해석에서 유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타당성확보 노력을 기하였지만 측정도구 면에서 엄격한 개발과정을 준수하지는 못했다. 향후에는 모바일 컨텐츠 파트너의 기업의 특성을 조사하여 관계성 변수와의 상호관련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관계기간, 의존성, 거래처의 단/복수여부, 서비스 범주 등의 제반 변수를 고려하여 이러한 변수가 양사와의 관계성 변수에 어떤 영향이 있는가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신뢰, 결속 등 다차원의 개념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와 최근 제기되고 있는 이론의 확대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신뢰와 결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간의 개념적 분류, 차이의 검증, 영향력 등을 광범위하게 진행시킬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