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도성

검색결과 2,304건 처리시간 0.032초

온라인 소프트웨어 교육 학습자들의 자기주도학습 유형 분류 및 특징 분석 (Analysis of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elf-Directed Learning of Learners in Online Software Education)

  • 성은모;채유정;이성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31-4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효과성을 증진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교육 학습자들의 자기주도학습 유형을 분석하고 각 유형에 따른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보다 전략적인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대학교에서 온라인 소프트웨어 교육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중학생 42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자기주도학습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잠재계층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소프트웨어 교육 학습자들의 자기주도학습 유형은 '최고수준 자기주도학습형(계층 1)', '자기 학습스타일 인식형(계층 2)', '자기 학습스타일 선호형(계층 3)', 그리고 '자기주도학습 부재형(계층 4)'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프트웨어 교육 학습자들의 자기주도학습 유형에 따른 소프트웨어 학업성취도 수준은 '최고수준 자기주도학습형(계층 1)'이 가장 높고, '자기 학습스타일 선호형(계층 3)'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지능형 교통체계(ITS) 기발기술 연구개발 추진방향

  • 이시복
    • 정보화사회
    • /
    • 통권111호
    • /
    • pp.50-56
    • /
    • 1997
  • ITS는 내용상 공공성을 강하게 띠고 있기 때문에 그 운영의 담당기관은 대부분 중앙부서.지자체.공기업 등 공공기관이어야 하며, ITS장비의 구매는 주문생산방식을 취하게 될 것이므로 ITS 기술개발은 전형적인 정부주도형 연구개발분야라고 할 수 있다. ITS는 지역별 특성에 따라 기능별로 미분화된 독립적인 시스템의 도입 및 구축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독립성이 강한 시스템간의 정보교환방식의 표준화는 이용자의 편익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는 시스템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서도 핵심적인 사항이므로 ITS 기술의 표준화 추진을 위하여 정부주도의 연구개발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학습자 주도와 교수자 주도 기본간호학실습에 따른 술기수행능력과 자기주도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실습만족도 비교 (Comparisons of Nursing Skill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Competency, and Satisfaction by Learner-led vs. Faculty-led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 김영주;송효빈;나윤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391-400
    • /
    • 2020
  • 본 연구는 학습자 주도 및 교수자 주도 기본간호실습이 술기수행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및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학습자가 주도하는 실습은 사전 오픈랩 실습과 동료 간의 지도로 구성되어 있고, 교수자 주도 실습은 사전 오픈랩 실습 없이 교수자가 학생을 일대일로 개별 지도하는 실습이다. 연구설계는 두 집단간 비동등성 사전사후 시차설계의 유사실험연구로써 교수자 주도 실습에 참여한 54명, 학습자 주도 실습에 참여한 80명, 총 134명의 간호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와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술기평가를 시행하였다. 학습자 주도 실습 그룹의 술기수행능력 점수와 실습 만족도는 교수자 주도 실습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사전 오픈랩 실습과 동료 간의 지도로 구성된 학습자 주도 기본간호실습이 학생들의 술기수행능력을 향상시키면서 실습만족도를 높이는 효과적인 실습수업 방법임을 보여주었다.

중소기업의 외부 기술 정보 네트워크의 다양성과 매출 성장 : 생산성 향상의 매개 효과와 최고경영자가 주도하는 기술 개발의 조절 효과 (SMEs' External Technological Information Network Diversity and Sales Growth : The Mediating Impact of the Productivity Improve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Technology Development Driven by CEO)

  • 허용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9호
    • /
    • pp.147-153
    • /
    • 2017
  •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외부 기술 정보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 흐름의 깊이를 더하기 위해 외부 기술 정보네트워크의 다양성이 중소기업의 기술개발로 인한 매출 증대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뿐만 아니라, 이러한 직접인 영향에 대한 생산성 향상의 매개 효과와 최고 경영자가 주도하는 기술 개발의 조절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2,200개의 한국 중소기업 데이터를 사용한 최소자승 회귀분석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본 연구는 제공한다. 첫째, 중소기업의 외부 기술 정보네트워크의 다양성은 기술 개발로 인한 매출 성장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은 외부 기술정보 네트워크의 다양성이 매출 성장에 미치는 이러한 정(+) 영향을 부분 매개한다. 셋째, 최고경영자가 주도하는 기술개발은 중소기업의 외부 기술 정보 네트워크의 다양성이 매출 성장에 미치는 정(+)의 영향을 조절한다.

잡 크래프팅(Job Crafting)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주도적 행동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Job Crafting on Organization Effectiveness - Mediating Role of Proactive Behavior -)

  • 최수형;이정미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8권2호
    • /
    • pp.47-66
    • /
    • 2019
  • 본 연구는 잡 크래프팅이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에서 주도적 행동의 매개역할을 고찰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이론적 및 실천적 측면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첫째, 잡 크래프팅, 주도적 행동, 조직유효성 간의 새로운 발현 기제를 증명하여 이를 통해 이론적 논의를 확장하고자 하였다. 둘째, 실증된 잡 크래프팅, 주도적 행동, 조직유효성 간 발현 기제를 토대로 국내 조직 구성원에게 적용될 수 있는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여 조직 구성원의 직무만족을 더 높이고 이직의도를 줄이는 일터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독립변수인 잡 크래프팅 행동을 구조적 직무자원 증가, 사회적 직무자원 증가, 도전적 직무요구 증가, 방해적 직무요구 감소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잡 크래프팅의 하위요소인 구조적 직무자원 증가, 사회적 직무자원 증가 및 도전적 직무요구 증가는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적 직무자원 증가, 사회적 직무자원 증가 및 도전적 직무요구 증가는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잡 크래프팅은 주도적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주도적 행동은 잡 크래프팅의 하위요소인 구조적 직무자원 증가, 사회적 직무자원 증가 및 도전적 직무요구 증가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주도적 행동은 구조적 직무자원 증가 및 사회적 직무자원 증가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잡 크래프팅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 있으며 향후 잡 크래프팅에 관한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기업 주도권이 파트너십과 SCM 특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Bargaining Power on Partnership, Information Quality, and SCM Features)

  • 장활식;최유정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4권5호
    • /
    • pp.171-189
    • /
    • 2015
  • 공급사슬상의 기업은 두 유형이 존재한다. 그 중 한 유형은 의사결정 과정에서 주도권을 가지며, 리더기업이라고 불리는 기업이며, 다른 한 유형은 리더의 결정을 따르는 팔로워기업이다. 이러한 관계구조는 파트너십 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주도권과 파트너십, 정보품질, SCM 특징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연구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급사슬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분석에는 총 116부의 설문이 이용되었다. 모형 검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SPSS 23과 smartPLS 3.2.3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기업의 협상력은 기업의 영향력, 파트너십, 그리고 정보품질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영향력은 파트너십과 정보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파트너십은 정보품질과 SCM의 특징인 공급사슬 유연성, 공급사슬 민첩성, 공급사슬 불확실성 모두에 영향을 미쳤으며, 넷째, 정보품질은 공급사슬 유연성과 민첩성에는 영향을 미쳤다.

  • PDF

초등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업적 효능감 및 학업성취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 유경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462-47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아동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업적 효능감과 학업 성취 간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교육현장에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규명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197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 학습능력 검사,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학업성취도 점수를 수집하였다.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학업성취를 더 잘 설명하는 자기주도 학습능력 검사,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의 하위변인들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업적 효능감과 학업성취는 정적인 상관이 있었으며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 취에서도 높은 정적 상관이 밝혀졌다. 회귀분석에 의한 설명력을 살펴보면 학업적 효능감에서는 자기조절 효능감과 과제난이도가 의미있게 설명하는 변인이었으며, 자기주도 학습능력에서는 자신의 학습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자기평가력과 스스로 학습을 선택하고 계획하며 자신의 과정을 확인하며 결과까지 평가하는 독립성 변인이 유의한 설명변인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하여 교육현장에서 학업적 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의 이러한 변인들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상호작용성과 사용편이성에 기초한 자기주도 학습운영시스템과 학습컨텐츠의 인터페이스 설계 및 구현 (The Interface Design and Development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Contents for Self-Directed Learning based on Interaction and Usability)

  • 백수희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3호
    • /
    • pp.149-160
    • /
    • 2005
  • 본 연구는 e-러닝 환경에서 자기주도적 교수학습전략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상호작용성과 상용편이성을 고려한 자기주도 학습운영시스템과 학습컨텐츠를 구현한 것이다. 상호작용유형은 학습자를 중심으로 (1) 학습자와 교수자 (2) 학습자와 학습자 (3) 학습자와 학습컨텐츠 (4) 학습자와 학습운영시스템으로 나눈다. 학습운영시스템은 학습자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고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이 촉진될 수 있도록 유형에 따라 상호작용 설계전략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구성요소들을 설정하여 구현한다. 학습컨텐츠는 자기주도적 학습전략을 기초로 단순한 네비게이션, 일관성,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연결성, 사용자 지원, 즉각적 피드백이라는 여섯 가지 인터페이스 전략을 기초로 학습자의 사용편이성을 최대한 고려하여 구현한다. 본 연구개발은 학습운영시스템의 자기 주도적 기능을 보완하고 그러한 기능들을 학습컨텐츠와 연결함으로써 학습자 중심의 상호작용성과 사용편이성을 개선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e-러닝 학습 환경의 질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현업부서의 과업특성과 현업사용자주도 전산의 성공요인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sk Characteristics and the Success Factors of End-User Computing)

  • 김상훈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87-101
    • /
    • 2000
  • 현업부서의 보다 전문화된 영역에 대한 정보시스템의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대되는 반면 전산전담부서의 시스템개발적체는 더욱 심화되어감에 따라 많은 조직들은 현업사용자 또는 현업부서 주도의 정보시스템구축·운영의 필요성에 직면하고 있으며, 정보기술 측면에 있어서의 다운사이징(Downsizing)화의 가속화와 클라이언트/서버(Client/Server) 아키텍쳐의 보급확대는 현업사용자 또는 현업부서 주도의 정보시스템구축·운영을 보다 급속히 확산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조직들에 있어서 현업사용자주도 전산업무의 효과적 관리는 매우 중요한 사안인 바, 본 연구는 현업사용자주도 전산업무의 효과적 관리를 위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실시코자 하였다. 본 연구는 상황적 관점에서의 연구모형 및 가설을 도출·제시하였고 포함된 상황변수로서는 정보시스템개발 대상업무특성이며 대상업무특성의 하위변수들로서는 변동성, 분석가능성, 상호의존성 등 세 변수가 도출되었다. 현업사용자주도 전산관리업무의 성공요인변수들로서는 기존의 관련 연구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지원체제정비도, 활성화기반조성도, 통제체제정비도 등의 세 변수를 이론적으로 도출하였고 이에 대한 구성적 타당도(Constuct Validity)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정보시스템 성과를 측정키 위하여는 시스템사용도, 시스템의 질, 업무성과향상도 등 세 변수에 의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자료수집은 현업사용자 주도전산업무가 비교적 활성화되어 있는 한국의 83개 대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의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해 Pearson 상관관계 계수분석과 Fisher's Z 검증 등의 통계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 PDF

일 대학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사회성 및 자기주도적 학습간의 관계 (Relationship of Academic Stress, Socia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Nursing Students)

  • 김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498-505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사회성 및 자기주도적 학습의 정도를 조사하고, 제 변수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2015년 12월 5일부터 10일까지 일 대학교 간호학과의 1학년과 2학년 학생 208명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형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SPSS Inc., Chicago, IL,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학업스트레스는 평균 $3.20{\pm}0.53$점, 사회성 $2.91{\pm}0.25$점, 자기주도적 학습태도는 $3.33{\pm}0.33$점이었다. 일반적 특성과의 차이에서 학업스트레스는 전공만족도(F=6.37, p=0.002)와 가족관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F=4.60, p=0.033), 사회성은 일반적 특성에 대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자기주도적 학습은 종교(F=6.61, p=0.011)와 전공만족도(F=4.66, p=0.010)에 대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변수 간 상관관계는 학업스트레스와 자기주도적 학습 간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0.16, p=0.024), 사회성과 자기주도적 학습 간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0.17, p=0.015). 결론적으로 효율적인 간호교육을 위해 초기부터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사회성과 자기주도적 학습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