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sk Characteristics and the Success Factors of End-User Computing

현업부서의 과업특성과 현업사용자주도 전산의 성공요인과의 관계

  • 김상훈 (광운대학교 경영대학 경영정보학과)
  • Published : 2000.03.01

Abstract

End-User Computing(EUC) is a rapidly growing phenomenon in organizations As EUC gets to be a major segment of information systems, it becomes more important to manage EUC effectively. This paper focuses on developing an integrative framework of EUC management in the contingent perspective. The characterstic of task for which EUC is implemented was considered as a contingent variable. Based on systematic review of previous research on success factors of EUC implementation, three generic variables for EUC management were identified theoretically, which were support, promotion and control. The contingent relationships between these three EUC management variables and EUC performance were reasoned and four hypotheses concerning these relationships were derived. A field study was undertaken to test the hypotheses. Data were collected from 83 End-Users belonging to Korean business organizations. Correlation analyses and Fisher's Z tests were employed to test the hypotheses. The results supported the hypotheses for the most part and gave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the management for EUC.

현업부서의 보다 전문화된 영역에 대한 정보시스템의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대되는 반면 전산전담부서의 시스템개발적체는 더욱 심화되어감에 따라 많은 조직들은 현업사용자 또는 현업부서 주도의 정보시스템구축·운영의 필요성에 직면하고 있으며, 정보기술 측면에 있어서의 다운사이징(Downsizing)화의 가속화와 클라이언트/서버(Client/Server) 아키텍쳐의 보급확대는 현업사용자 또는 현업부서 주도의 정보시스템구축·운영을 보다 급속히 확산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조직들에 있어서 현업사용자주도 전산업무의 효과적 관리는 매우 중요한 사안인 바, 본 연구는 현업사용자주도 전산업무의 효과적 관리를 위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실시코자 하였다. 본 연구는 상황적 관점에서의 연구모형 및 가설을 도출·제시하였고 포함된 상황변수로서는 정보시스템개발 대상업무특성이며 대상업무특성의 하위변수들로서는 변동성, 분석가능성, 상호의존성 등 세 변수가 도출되었다. 현업사용자주도 전산관리업무의 성공요인변수들로서는 기존의 관련 연구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지원체제정비도, 활성화기반조성도, 통제체제정비도 등의 세 변수를 이론적으로 도출하였고 이에 대한 구성적 타당도(Constuct Validity)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정보시스템 성과를 측정키 위하여는 시스템사용도, 시스템의 질, 업무성과향상도 등 세 변수에 의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자료수집은 현업사용자 주도전산업무가 비교적 활성화되어 있는 한국의 83개 대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의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해 Pearson 상관관계 계수분석과 Fisher's Z 검증 등의 통계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