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관적감각

Search Result 173,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n the Classfiction of Sounds by Psycho-acoustic Experiment (음향심리실험에 의한 음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 김선우;장길수;이태강;한명호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2 no.6
    • /
    • pp.36-44
    • /
    • 1993
  • 효과적인 음향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음과 언어로써 표현하여 그 주관적인 가치기준을 설정할 것인가가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음의 물리적 특성과 인간의 청각간의 상호관계를 규명하는 심리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서 음의 효율적 평가체계를 확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음에 대한 주관적 감각표현으로써 음원기술선택법을 이용한 음향심리실험에 의해서 음에 대한 감각적 인상으로부터 음을 유형화하였다. 실험에 참여한 피험자는 221명이고, 41개의 음원과 음을 수식하는 48개의 형용사를 이용하여 그 유사도의 차이를 군집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생활환경음은 "금속성이고 시끄러운 음", "날카롭고 긴장되는 음", " 울려퍼지고 강한 음 ", " 밝고 활기찬 음 ", " 적막하고 여린 음", "조화롭고 부드러운 음", "안정되고 적당한 음"의 그룹으로 분류된다.

  • PDF

An Analysis on the Effect of Retirement on Health (은퇴자의 건강상태 분석)

  • Yee, Seung-Yeol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30 no.2
    • /
    • pp.61-86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ealth outcomes of the aged male workers who retired before 2003, using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data. Empirical study shows that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health conditions of the retiree are worse than the non-retired. And the random-effect panel probit analyses got the results that the effects of retirement on health are different by the retirement reason and the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 PDF

A Study for extracting emotional information evoked by multi-sensory stimulation (복합감각 자극하에서의 감성정보 도출에 관한 연구)

  • 손기호;김지훈;임재중;김남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03a
    • /
    • pp.261-264
    • /
    • 1999
  • 복합 감각 자극하의 감성정보를 도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시각과 청각자극에 따른 주관적 평가 및 생리신호를 계측하였다. 심리적 평가와 생리신호 계측으로 단일 자극에 더하여 동적, 정적감성의 심화를 유도하는 결과를 보였고, 부가된 자극을 반영하는 생리신호로 HRV가 유용함을 발견하였다.

  • PDF

Influences of Unilateral Mandibular Block Anesthesia on Motor Speech Abilities (편측 하악전달마취가 운동구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 Yang, Seung-Jae;Seo, In-Hyo;Kim, Mee-Eun;Kim, Ki-Suk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31 no.1
    • /
    • pp.59-67
    • /
    • 2006
  • There exist patients complaining speech problem due to dysesthesia or anesthesia following dental surgical procedure accompanied by local anesthesia in clinical setting. However, it is not clear whether sensory problems in orofacial region may have an influence on motor speech 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ransitory sensory impairment of mandibular nerve by local anesthesia may influence on the motor speech abilities and thus to evaluate possibility of distorted motor speech abilities due to dysesthesia of mandibular nerve. The subjec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7 men and 3 women, whose right inferior alveolar nerve, lingual nerve and long buccal nerve was anesthetized by 1.8 mL lidocaine containing 1:100,000 epinephrine. All the subjects were instructed to self estimate degree of anesthesia on the affected region and speech discomfort with VAS before anesthesia, 30 seconds, 30, 60, 90, 120 and 150 minutes after anesthesia. In order to evaluate speech problems objectively, the words and sentences suggested to be read for testing speech speed, diadochokinetic rate, intonation, tremor and articulation were recorded according to the time and evaluated using a Computerized Speech $Lab^{(R)}$. Articulation was evaluated by a speech language clinicia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subjective discomfort of speech and depth of anesthesia was increased with time until 60 minutes after anesthesia and then decreased. Degree of subjective speech discomfort was correlated with depth of anesthesia self estimated by each subject. On the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bjective assessment item including speech speed, diadochokinetic rate, intonation and tremor. There was no change in articulation related with anesthesia.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ot thought that sensory impairment of unilateral mandibular nerve deteriorates motor speech abilities in spite of individual's complaint of speech discomfort.

Research on presentation of subjective tactile sensation by stiffness model of haptic system (주관적 촉감 재현을 위한 Haptic System의 Stiffness Model에 관한 연구)

  • Lee, Yoon-Joung;Whang, Min-Cheol;Hyun, Hye-Jung;Kim, Young-Joo;Kim, Jong-Hwa;Park, Jun-Seok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863-868
    • /
    • 2007
  • 본 연구는 Haptic System의 물리적 stiffness(N/mm)와 사용자의 주관적 촉감정보(단단하다, 무르다)의 상관성에 관한 것이다. tangible media와 같은 컨텐츠의 촉감을 실감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힘의 강도가 haptic system에 매핑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주관적인 힘의 강도와 haptic system의 물리적 stiffness간에 상관성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특성을 결정하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연동시켜 촉감을 모델링하는 haptic 렌더링을 통해 정량화된 외부의 자극(변화)에 대해 사람이 심리적으로 느끼고 있는 감각을 정량화하여 입력 자극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팬텀을 이용해 두 번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haptic system에서 사용자가 힘의 차이를 느낄 수 있는 stiffness의 해상도를 측정하고, 그에 따라 나뉘어진 해상도 별로 촉감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를 하였다. ANOVA결과에 따르면 haptic system의 물리적 stiffness와 사용자의 주관적 촉감정보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분석되었으며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유의한 정도를 회귀 방정식으로 도출하였다. 따라서tangible media를 이용한 실감적인 촉감 컨텐츠를 재현하는 기술에 본 연구결과가 유용하게 사용되리라 기대된다.

  • PDF

Subjective Evaluation of Frictional Sounds from Sportswear according to Speeds of Movements (운동 속도별 스포츠웨어용 직물의 마찰음에 대한 주관적 평가)

  • Yang, Yun-Jeong;Kim, Chun-Jeong;Jo, Gil-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8.10a
    • /
    • pp.25-2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웨어 착용 시 운동 속도별로 직물이 스치면서 발생하는 마찰음에 대한 음향특성과 주관적 감각 감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3종류의 스포츠웨어용 직물 마찰음을 walking(0.63m/s), jogging(1.10m/s), running(0.98m/s)의 3가지 속도로 녹음한 후, 총음압(SPL)과 Loudness(Z), Sharpness(Z), Roughness(Z), Fluctuation Strength(Z)를 계산하였다. 이들 마찰음에 대한 주관적 평가는 9개 쌍의 형용사(시끄러운, 높은, 날카로운, 거친, 딱딱한, 탁한, 변화있는, 거슬리는, 불쾌한)에 대해 의미미분척도로 평가되었다. Jogging시 직물의 마찰음은 가장 시끄럽고 거슬리며 불쾌하게 평가되었고, running시의 직물 마찰음은 walking시나 jogging시의 마찰음보다 덜 시끄럽고 거칠기와 탁한 정도가 적으며 거슬리고 불쾌한 정도가 가장 적게 평가되었다.

  • PDF

후각의 지리학?:동남아시아의 두리안을 사례로

  • 김학희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11a
    • /
    • pp.209-214
    • /
    • 2003
  • 후각은 현대 서구 문화에서 가장 과소평가 되는 감각일 것이다. 1) 냄새는 명명하거나 객관적으로 측정하거나 똑같이 재생하기 어려운 현상이기에, 후각의 영역은 대체로 주관적 묘사와 정서적 기억에 의존한다. 실증주의, 과학ㆍ기술ㆍ발전에 대한 믿음이 강화될수록 냄새는 침묵당해 왔으며, 특히 서구의 지식 엘리트에 의해 그 중요성이 평가되어 왔다. 지리학 분야 역시 이런 경향에서 자유롭지 않을 것이다. (중략)

  • PDF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Multiple Sensory Modalities in Virtual Environments (가상 환경 하에서 다감각 변수들의 영향도 평가)

  • Hong, Jeong-Hun;Jeong, Dong-Hyeon;Sim, Song-Yong;Song, Chang-Geun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7 no.9
    • /
    • pp.931-941
    • /
    • 2000
  • 본 논문은 가상환경 속에서 사용되는 다감각(시각, 청각, 후각, 촉각)요소가 현실감에 끼치는 영향력을 평가한다. 이번 실험에 80명의 피실험자가 참여하였으며, 여러 감각 요소들을 조합한 가상환경을 경험하게 하여 얻은 실험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각 요소들의 영향도를 평가한다. 주된 평가 요소는 가상 현실 환경 속에서 피실험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현심감과, 감각 요소들이 피실험자들의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한 결과를 가지고 분산분석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여 본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 우리는 이러한 다중 감감 요소들이 단일한 감각요소가 있을 때에 비하여 가상 환경 속에서의 사물에 대한 기억력과 현실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얻는다. 또한 피실험자가 느꼈던 가상환경 속의 현실감과 사물에 대한 기억력에 대하여, 시각적인 요소를 증가시키는 것보다 그 외의 다른 요소(청각, 후각, 촉각)들을 첨가시키는 것이 현실감과 기억력을 배가시키는 요소로써 더 효과적이고 민감하게 반응한다.

  • PDF

Diagnostic Usefulness of Quantitative Sensory Test Comparison with Photoplethysmography (광용적맥파와 정량적 감각검사의 비교를 통한 진단적 유용성)

  • LEE, Sang-Bong;SEO, Jeong-Hy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9 no.5
    • /
    • pp.315-322
    • /
    • 201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sensitivities of two tests, QST(quantitative sensory test)and PPG(photoplethysmography) in normal adults. We evaluated the sensory thresholds of QST and PPG and diabetes mellitus test in 17 normal adults. The finding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The diagnostic sensitivities of QST was similar to PPG. There is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Blood sugar and parasympathetic nerve in ANS. Concluded that the QST might be complement to NCS for early of diabetic polyneuropathy. A new diagnostic approach, QST was introduced and exploited for diagnosis. This study provides support for PPG performed a ANS analysis.

Touch Variation due to Vibration (미세 진동에 따른 촉감의 변화)

  • 박연규;강대임;양희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379-382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촉각의 효과적인 제시를 위한 하나의 보조수단으로 진동의 제시를 상정하고, 이를 위한 사전작업으로 진동에 따른 촉감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진동 제시 장치를 제작하였고, 진동에 의한 촉감의 효율적인 평가를 위하여 손가락을 제외한 다른 경로로의 진동 전달 및 소음 전달을 차단하고자 하였다. 또한, 진동과 관련된 물리량으로 주파수와 진폭을 결정하였으며 이를 정량화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이 진동에 의한 촉감의 미세조정과 관련된 것임을 고려하여 주관 평가 시 진동의 제시는 각 주파수별로 진동에 의한 촉감의 변화가 발생하는 기준 진폭으로 하였다. 주관 평과 결과,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더 매끄럽게 느끼며 그 감각이 분명해 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